A Study on the Management Effectiveness Analysis of Construction Process Management

건설 프로세스 경영의 경영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 김영섭 (포스코건설,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
  • 황욱선 (한라대학교 경영대학) ;
  • 김용수 (중앙대학교 건축학부)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Management Effectiveness Analysis of Construction Process Managemen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that process management has in outcome has been done by setting 5 elements of process management system as independent variables, making hypothesis, survey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process management operation level can be measured effectively through the application of Business Process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 management strategy is found out to be contributed to improving strategy operation support, process management and IT connection technology. By seeing this research result, through optimally applying 'process management' in construction industry, process management can be used to improve the construction industry's potential competitiveness by improving effectiveness in works in the fields of strategy operation, process management, IT connection etc. So, by practicall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process management syste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e up with the necessity and the development of 'process management system' in construction industry.

본 연구는 프로세스 경영에 의한 건설업의 경영효과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즉 건설업 분야에서의 프로세스 경영에 대한 필요성과 지속적인 경영관리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수행되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한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세스경영에 대한 이론적인 개념을 정리하고, 둘째, 유사산업분야에서 기 개발된 프로세스경영 성숙도 모델을 건설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건설업 프로세스경영 성숙도 모델을 제시하였다. 셋째, 프로세스경영이 영향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가설을 세우고, 설문조사 통하여 검증하였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따라 도출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프로세스 IT 연계기술전략 실행에서는 유의적으로 분석되었으며, 자원관리체계에서는 비유의적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석원, 'EA (Enterprise Architecture) 관리 성숙도가 기 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5
  2. 조정진, 'SI업체의 총체적 품질경영을 위한 품질평가 모형 개발과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로의 적용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2004
  3. 류명재, 양철호, 전희철, 정태수, 'BPM: 프로세스경영 과 정보기술의 미래', 시그마인사이트컴, 2004
  4. 박기우,김일환, '프로세스혁신기반 지식경영 구축 전략', 삼성경제연구소, 2001
  5. 이광우, '프로세스 중심 품질경영시스템이 기업 품질 성과 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기업경영학과 석사 학위논문, 2005
  6. David M, Fisher Managing Director, Bearing Point The Business Process Maturity Approach for identifying Opportunities for Optimization', 2004
  7. Eliot et al.,' Process Management', 2003
  8. Hammer, Michale, 'Reengineering Work: Don't Automate', Obliterate Harvard Business Review, 1990
  9. MA: Addison Wesley. Chrissis, M.B. Konrad, M.& Shrum, S. CMMI:' Guidelines for Process Integration and Product Improvement.',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