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효과검증

Search Result 10,867,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실해역 운항 데이터를 활용한 최적항로 지원 시스템의 효과 검증

  • Jeong, Se-Yong;An, Gyeong-Su;Yang, Jin-Ho;Jo, Chun-J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66-68
    • /
    • 2015
  • 최적항로 지원 시스템은 실해역 속도 성능 예측방법에서의 선택 근거확보와 정확도 평가를 위한 효과 검증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이 같은 성능검증에 있어서 동일한 선박에 대한 다양한 대안 항로에서의 동시성능계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효과를 직접 비교하기는 상당히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적항로 지원 시스템의 효과 검증을 위한 간접적인 절차를 제안하였고, 시스템의 내부 분석코드를 이용하여 효과를 비교 검증하였다. 그 절차는 1) 계산의 근거 인기상 정보의 정확성 검증, 2) 실제 항로에서의 성능예측계산의 신뢰성 확인, 3) 신뢰성이 확보된 계산방법을 이용한 최적항로선택, 4) 실제 항로와 최적항로의 연료 효율성 비교의 4단계로 이루어진다. 대상 선박은 폴라리스쉬핑의 솔라돌핀호(208k BC)이며 실선 운항 데이터는 최적항로 지원 시스템을 통하여 직접 계측하였다. 그 결과 호주-한국 항차에서 최적항로를 항해할 경우 약 6.0%의 연료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Outcome Variable for Educational Serious Game (교육기능성게임의 효과성 측정에 대한 연구)

  • Yoon, Clara;Choi, H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3
    • /
    • pp.546-552
    • /
    • 2016
  • With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computer games as a leisure activity, there has been a rise in the interest in the effectiveness of serious games. Many of the earlier researches are focused on evaluation of effects, types, developments of serious games, whereas little is known about the after effects of serious game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evious literatures on serious games in regard to their impacts and outcomes of gaming for the purpose of empirical evidence as impacts and outcomes are needed for exploratory study of variable outcomes of educational serious games. It is worth noting that current review would be used as an outcome indicator for verifying the after effects of both cognitive and educational after the usage of these educational serious games.

Effect of the Job Autonomy on Innovative Work Behaviors in China Logistics Industry: Focus on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중국 물류산업에서 업무의 자율성이 혁신적 생산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지원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Jiang, ChunZhao;Kim, Yeonggil;Kim, Younsung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6 no.4
    • /
    • pp.87-10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ty the effect of job autonomy, innovative work behaviors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o attain this goal, mediation analysis, moderation analysis and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198 valid questionnaires from China Tianjin City's logistics enterprises were analyzed with SPSS Macro program.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s moderating effect exi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innovative work behaviors, (2) innovative behaviors' mediated effect exi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3)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s moderated mediation effect is exis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innovative behavior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at is to say, the strength of the mediated effect decreased along with level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tronger job autonomy relationship wh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as weak.

대학 창업교육이 진로에 미치는 효과성에 대한 연구

  • An, Tae-Uk;Park, Jae-Hw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115-121
    • /
    • 2018
  • 창업교육에서 강조하는 창의성 역량은 사회에 필요한 융합형 인재 육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하지만 이제까지 창업교육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함에 있어서 창업분야에 대한 단편적인 효과중심으로 연구되었고 진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효과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차별적으로 대학의 창업교육을 통한 역량함양이 사회에 진출을 앞두고 있는 대학생의 진로준비와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분석 검증하였다. 2016년 8월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지역별 창업교육을 수강한 대학생 393개의 표본을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창업교육을 통해 함양된 협업적의사소통능력, 창의적문제해결능력은 기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기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기업가정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에서 협업적 의사소통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진로준비행동 사이에 정(+)의 영향을 미쳤지만 창업교육에 의한 창의성 역량들은 진로준비행동에는 직접적인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시사점은 대학의 창업교육의 효과 검증에서 창업교육의 양적인 확대보다는 기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을 고취 함양시킴으로써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었다. 또한 대학 창업교육의 중요성 검증과 향후 다양한 효과에 대한 평가를 학생창업 영역 뿐만 아니라 다각도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겠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CAI Assisted Teaching in A Diagram Studying (도형학습에서 CAI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김화선;장종욱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840-843
    • /
    • 2003
  • 본 논문은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방안의 홍수 속에서, 그 효과성은 어느 정도 인지되고 있는가?' '컴퓨터에 대한 일반적 기대치만큼이나 그 효율성은 신뢰도가 있는가?'라는 멀티미디어 교육자재들의 효과성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점을 제기하고 학습자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게임형 도형 맞추기를 수업에 접목함으로써 CAI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실험 후 CAI로 수업을 실시한 집단에게 학습효과가 높고, 멀티미디어 CAI를 도입하여 진행된 수업은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높여준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멀티미디어의 효과성검증은 컴퓨터가 기존의 학습방법을 완전히 배제하는 혁신적 기제임을 주장하지는 않는다.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은 전통학습방법을 보완하여 학습자의 능동적, 창의적 능력을 개발, 육성하고 변화의 흐름을 주도하는 바람직한 인간형 실현에 목표를 두고 있다. 급격한 정보 변혁의 시대에 학교교육의 효율성을 최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컴퓨터 보조 수업물이 연구, 제작되고 있는 실정에서, 그 기제들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은 멀티미디어의 잠재적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개발, 발전시키는데 우선적인 조건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H/W & S/W Co-Design and Functional Co-Verification for PCI Express Controller (PCI 익스프레스 컨트롤러의 통합 설계 및 기능 검증)

  • Hyun, Eugin;Seong, Kwang-Su
    • IEMEK Journal of Embedded Systems and Applications
    • /
    • v.2 no.1
    • /
    • pp.9-1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통신 플랫폼을 위한 PCI 익스프레스의 전송계층과 데이터 연결계층의 모든 기능을 지원하는 PCI 익스프레스 컨트롤러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컨트롤러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8051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PCI 익스프레스 컨트롤러와 8051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통합 검증을 위한 방법으로 벡터 생성 부분, 테스트 벤치, 그리고 메모리로 구성된 테스트 벤치를 하나의 가상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가정하였다. 그리고 PCI 익스프레스의 모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는 어셈블리 수준의 명령어들을 테스트 벤치에 적용되도록 하였다. 특히 일반적인 기본 동작 검증과 설계 기반 검증에서 찾지 못한 특수 경우의 에러를 찾기 위한 검증을 위해 랜덤 검증 환경 및 테스트 파라미터를 정의 하였다. 제안된 검증 환경과 명령어를 통해 설계된 PCI 컨트롤러의 검증 결과 랜덤 테스트 검증을 통해 효과적으로 오류를 찾을 수 있었다.

  • PDF

Command and telemetry simulator for developing verification facility on satellite flight software (위성 비행 소프트웨어 검증 환경 구현을 위한 Command Telemetry Simulator)

  • Shin, Hyu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070-1073
    • /
    • 2013
  • 위성 비행 소프트웨어의 개발 과정에는 소프트웨어의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검증 활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검증 활동에는 효율적으로 설계된 검증 환경이 필수적이다. 위성 비행 소프트웨어 개발 전반에 검증 환경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사용 가능한 검증 환경이 보다 빠르게 구현되어야 한다. 검증 환경은 개념적으로 궤도 상의 위성과 통신하는 지상 시스템의 역할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므로 Command 송신과 Telemetry 수신을 위성 비행소프트웨어와의 상호 작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위성 비행소프트웨어의 동작을 Command와 Telemetry 관점에서 모델링하고 이를 모사하는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위성 개발 초기부터 위성 비행 소프트웨어 검증 환경 구현에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위성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변경 사항을 보다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성 비행 소프트웨어의 검증 환경 구현을 위한 Command Telemetry Simulator의 설계 및 그 구현에 대하여 소개한다.

주식배당의 공시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Woo, Chun-Sik;Sin, Yong-Gy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3 no.1
    • /
    • pp.115-136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주식배당 예고제도가 도입된 1990년부터 1994년까지의 기간동안에 주식배당 지급을 공시한 기업 중에서 표본의 선정기준에 따라 295건의 표본을 선정하여 주식배당의 공시효과를 실증 분석하는 한편 주식배당의 공시효과를 설명하는 제 가설 중에서 유보이익가설과 주의환기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전체표본(259건)을 대상으로 공시일 전후의 비정상수익률을 분석한 검증결과에 의하면 공시기간(0일, +1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0.847%의 비정상수익률이 관찰되어 주식배당 공시가 주주들의 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정(+)의 주식배당 효과를 설명하는 하나의 가설로서 유보이익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체 표본을 EPS의 증감 및 주식배당률의 크기에 따라 하위표본으로 분류하여 공시기간의 비정상수익률을 검토한 결과 충분하지는 않지만 유보이익가설을 지지하는 실증적 증거를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로 또 다른 하나의 가설로서 주의환기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표본을 상대적 평균 PER의 크기 및 자본금의 크기에 따라 분류한 모든 하위표본에서 일관되게 주의환기가설을 지지하는 실증적 증거를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체계적위험과 비정상성에 관한 연구

  • Lee, Jin-Ge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4 no.1
    • /
    • pp.233-258
    • /
    • 1998
  • 본 연구는 비정상성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이 베타위험과 추가설명변수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무시한 검증방법의 오류를 지적한다. 그 상관관계를 고려한 포트폴리오 구성방법을 선택한 후, 비정상성에 관한 좀 더 정밀한 검증을 실시하여 규모효과와 EP효과를 검토한다. 더 나아가 CAPM의 두 가지 주장, 즉, 베타위험의 유일성과 이 위험과 그 자산의 수익률간의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두 가지 주장을 세밀히 검토하게 된다. 또한 이 모든 검증에서 등가중지수(Equal-Weighted Index: EWI)와 가치가중지수(Value-Weighted Index: VWI)의 적용에 대한 차이도 동시에 검토하였다. 1980년 1월부터 1993년 6월까지의 월별수익률과 한국신용평가주식회사의 주식수익률 데이터베이스(KIS-SMAT), 재무제표 데이터베이스(KIS-FAS)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한국중권시장에서는 규모효과만 존재하였고, EP효과가 존재한다는 증거는 얻지 못하였다. 또한 EWI와 VWI의 지수에 대한 차이는 아주 미미하였다. 특히 CAPM에서 주장하는 베타위험의 유일성과 베타위험과 그 자산의 수익률의 양의 상관관계에 대한 두 가지 사실에 대해서는 오히려 상반된 증거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welfare benefit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discriminatory experiences between the degree of job ability and job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장애인의 직업능력 필요정도와 직무만족 간에 복리후생의 매개효과와 차별경험의 조절효과 검증)

  • Lee, Hyoung-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165-16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2020장애인 고용패널조사 데이터 중 4대 사회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경제활동 장의 인 직업능력 필요정도와 직무만족 간에 복리후생의 매개효과와 차별경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