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Motivation of Private Guards and Sports Participation

민간경비원의 여가동기와 스포츠 참가의 관계

  • 안황권 (경기대학교 경호안전학과) ;
  • 김평수 (전남도립대학 경찰행정경호학과) ;
  • 김찬선 (경기대학교 경호안전학과)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motives of private guards and their sports participation, verify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its variables, and finally present the need of leisure activities for them and related politic data. The subjects are the private guards who work for a private guard company in Seoul in 2007, Except the data having inadequate answers among the 200 copies which are collected by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the data of total 193. The result of reliability analysis check up was here below; Chronbach's ${\alpha}= .835$. SPSSWIN 15.0 program is used for the reliability and correlation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from this investigation through above methods and procedures. First, leisure motives affect the experience of sports participation; the more relaxational motives are, the less the experience of sports participation is. Second, leisure motives affect the degree of sports participation; the more motives of recognizing competence are, the more the frequency of sports participation is; the more intellectual motives are, the longer the period of sports participation is; the more relaxational motives are, the less the intensity of sports participation is, while the more motives of recognizing competence are, the more the intensity of sports participation is.

본 연구의 목적은 민간경비원의 여가동기와 스포츠 참가의 관계를 알아보고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여 민간경비원들에게 여가활동의 필요성과 정책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07년 서울소재 5개소 민간경비회사에 재직하고 있는 민간경비원을 연구대상으로 유층집락무선표집법을 이용해 193명을 표집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835이상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설문지의 신뢰도분석과 상관분석을 위해 SPSSWIN 15.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이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동기는 스포츠 참가경험에 영향을 미친다. 즉, 휴식적 동기가 증가하면 스포츠 참가경험은 감소한다. 둘째, 여가동기는 스포츠 참가의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즉, 유능감인지 동기가 증가할수록 스포츠 참가빈도는 증가한다. 지적 동기가 증가할수록 스포츠참가기간은 증가한다. 또한, 휴식적 동기가 증가할수록 스포츠 참가강도는 낮아지는 반면, 유능감인지 동기가 증가하면 스포츠 참가강도는 증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식, 대도시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6.
  2. 김경식, 스포츠과학 연구방법론: SPSSWIN 12.0통계분석, 서울:무지개사, 2005.
  3. 김경식, 김평수, 김찬선, "민간경비원의 여가제약과 생활체육참가 및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지, 제7권, 제12호, 2007.
  4. 김장환, "삶의 질과 여가생활",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5권, 제3호, pp.357-364, 2004.
  5. 김찬선, 김상진, "민간경비원의 임금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12권, pp.89-116, 2006.
  6. 김찬선, 안황권, "민간경비원의 여가제약과 여가동기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8권, 제4호, pp.273-286, 2007.
  7. 김창호, "경호업무 수행자들의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제39권, 제3호, pp.269-278, 2000.
  8. 류민정, 표내숙, "한국판 신체적 유능감 정보 척도 개발",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8권, 제2호, pp.155-174, 2007.
  9. 박용란,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참여유형에 따른 여가동기 제약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0.
  10. 안황권 "특수경비원의 사기진작에 관한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7권, 제1호, pp.721-734, 2006.
  11. 이홍구, 김경식, "여가제약과 사회체육 참가: 정책적 함의",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18권, 제1호, pp.49-64, 2005.
  12. 이성철, 노인의 사회체육 활동과 삶의 질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6.
  13. 이종길,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2.
  14. 임완기, 홍길동, 김경식, "한미 대학생의 라켓스포츠 참가 제약 요인이 스포츠참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42권, 제1호, pp.63-73, 2003.
  15. 임현진, 이재열, 박광민, 설동훈, "신체적․심리적 안전과 삶의 질", 한국인구학회지, 제20권, 제1호, pp.161-199, 1997.
  16. D. L. Feltz, Self-confidence & sports performance, In soccer skills among young soccer players, Journal of sport Psychology, Vol.6, pp.385-394, 1998.
  17. J. R. Kelly, Leisure Styles: a Hidden Core, Leisure Sciences, Vol.5, pp.321-327, 1983. https://doi.org/10.1080/01490408309513012
  18. M. J. Manfredo, M. J. Driver, B. L. and Tarrant, M. A. Measuring leisure motivation: A meta-analysis of the recreation experience preference scales, Joumal of Leisure Research, Vol.28, No.3, pp.188-213, 1996. https://doi.org/10.1080/00222216.1996.11949770
  19. Niles, Wiii and Ellis, Achievement motivation: Conceptions of ability, subjective experience, task choice, & performance, pp.328-346, 1982.
  20. S. R. Parker, Leisure: The basis of culture. NY,: Pantheon Books, Incs, 1976.
  21. R. Ryckman and Thornton, Deveiopment and validation of physical self-efficacy scale, pp.891-900, 1982.
  22. C. Searle, Jackson, and L. E. Leisure, Constaints: A Survy of Past Research. Leisure Sciences, Vol.10, pp.203-215, 1988. https://doi.org/10.1080/01490408809512190
  23. http://www.police.go.kr/main/index.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