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9m}Tc$ ] Generator Safety Simulation Based on GEANT4

GEANT4를 이용한 $^{99m}Tc$ Generator 안전성 시뮬레이션

  • Kang, Sang-Koo (Department of Radiation Science &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Han, Dong-Hyun (Department of Radiation Science &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Chong-Yeal (Department of Radiation Science &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강상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방사선과학기술학과) ;
  • 한동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방사선과학기술학과) ;
  • 김종일 (전북대학교 대학원 방사선과학기술학과)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Technisium $(^{99m}Tc)$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radioactive isotopes for diagnosis in nuclear medicine. In general, technisium is produced inside the so called $^{99m}Tc$ generator which is usually made out of lead to shield relatively high energy radiation from $^{99}Mo$ and its daughter nuclide $^{99m}Tc$. In this paper, a GEANT4 simulation is carried out to test the safety of the $^{99m}Tc$ generator, taking the Daiichi product with radioactivity of 500 mCi as an example. According to the domestic regulation on radiation safety, the dose at 10 cm and 100 cm away from the surface of shielding container should not exceed 2.0 mSv/h and 0.02 mSv/h, respectively. The simulated dose turned out to be less than the limit, satisfying the domestic regulation.

테크니슘$(^{99m}Tc)$은 현재 핵의학 분야에서 진단용 방사선원으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방사성 동위원소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테크니슘은 $^{99m}Tc$ Generator라 불리는 장치 안에서 모핵종인 $^{99}Mo$의 붕괴를 통해 생산되는데, $^{99}Mo$$^{99m}Tc$에서 비교적 높은 방사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이를 차폐하기 위하여 주로 납으로 제작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비교적 사용 빈도가 높고 교정 방사능이 500 mCi인 일본 제품을 대상으로, 최대 방사능량 적제조건에서 차폐용기 표면으로부터 10 cm, 100 cm에서 각각 2.0 mSv/h, 0.02 mSv/h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국내 법적 제한치를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GEANT4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하였다. 계산 결과 용기 밖으로 방출되는 방사선량이 법적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