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Skin Dose Measurement Using Glass Dosimeter and Diode for Breast Cancer Patients

유리 선량계와 다이오드 측정기를 이용한 유방암 환자의 체표면 선량측정 비교

  • Ko, Young-Eun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Ulsan University Hospital) ;
  • Park, Sung-Ho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Choi, Byoung-Joon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Ulsan University Hospital) ;
  • Kim, Hee-Sun (Radiation Health Research Institute,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rporation) ;
  • Noh, Young-Ju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Ulsan University Hospital)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skin dose using the glass dosimeter and diode and to compare those measurements to the planned skin dose from the treatment planning system. For the reproducibility of the glass dosimeter (ASAHI TECHNO GLASS CIRPORATION, Japan), the same dose was irradiated to 40 glass dosimeters three times, among which 28 with the reproducibility within 3% were selected for the use of this study. For each of 27 breast cancer patients, the glass dosimeters and diodes were attached to 4 different locations on the skin to measure the dose during treatment. All the patients received one fraction of 180 cGy each. The maximum difference of measurements between the glass dosimeter and diode at the same location was 3.2%. Comparing with the planned skin dose from the treatment planning system (Eclipse v6.5, Varian, USA), the dose measured by the glass dosimeter and the diodeshowed on an average 3.4% and 2.3% difference, respectively. The measured doses were always less than the planned skin dose. This may be due to the specific errors of both detectors. Also, the difference may be caused by the fact that since the skin where the detectors were attached is pretty moveable, it was not fix the detectors on the skin.

다이오드 측정기(diode)와 유리 선량계(glass dosimeter)를 이용하여 체표면 선량측정을 시행하고 실제 방사선조사 영역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치료계획 시스템에서 계산된 방사선량과 비교하여 유리 선량계를 체표면 측정기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방암 치료로 방사선을 조사받는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다이오드 측정기와 유리 선량계를 같은 부위에 부착하여 각각의 위치에서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유리 선량계는 총 40개 중 재현성이 3% 이내인 28개의 소자만을 사용하였다. 환자의 치료 셋업 위치에 따라 네 부위에 각각 선량계를 부착하여 각 위치에서의 선량값을 측정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27명의 환자 모두에 대하여 180 cGy/fraction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이때 같은 부위에 부착한 두 측정기가 나타내는 선량값의 차이는 최대 3.2%였으며, 치료계획 된 선량값과 비교했을 때 다이오드 측정기의 경우 평균 2.3%의 차이를 보였으며, 유리선량계의 경우 평균 3.4%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로써 유리 선량계는 체표면 측정기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치료계획에서 계산된 선량값에 비해 두 종류 측정기로 측정한 선량값이 모두 적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이는 각각의 선량계가 가지고 있는 특성 오차의 영향과 선량계를 부착한 부위가 고정되기 쉽지 않고 움직이기 쉬운 부분이라는 신체적 특성의 영향에 따른 차이라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