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ey of Actual Condition of Management of Persimmon Orchards in Sangju, Gyeongbuk in 2007 and 2008

2007년과 2008년 경북 상주지역 감 과원의 과원 관리실태 조사

  • Lim, Tae-Heon (Research Institute of Agri-Bio Science) ;
  • Choi, Yong-Hwa (Department of Plant Resour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Song, In-Kyu (Sangju Persimmon Experiment Station, Gyeongbuk Institute of Agricultural Technology) ;
  • Kim, Kook-Rae (Sangju City) ;
  • Lee, Dong-Woon (Department of Applied Bi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Myeong (Southern Forest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orchard and pest management of persimmon orchards, a questionnaire was ask to the farmers in major cultivated areas of persimmon and dried persimmon, Sangju, Gyeongbuk in 2007 and 2008. 91.1% of persimmon farmers was over fifties in age and 94.7% of persimmon farmers was cultivated 'Sangjudungshi'. The greatest limiting factor for persimmon production was thought to be disease by the 58.4% of persimmon farmers and the most serious disease was anthracnose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60.2% of them was answered that the most serious insect pest was scale insects. Obtaining of knowledge or information on pest management depended own experience (37.2%) and 48.7% of answered farmers was decision-marking of pesticides depending on agrochemical market. 54% of persimmon farmers was applied pesticides $3{\sim}5$ times per year. Just 17.7% of them recorded the diary of pesticide application. The greatest problem for management of pest in persimmon orchard was lack of knowledge of pest (60.2%) and farmers considered increasing cost for pest management as the greatest problem with 52.2% in proportion. 66.4% of farmers was mixed cultivation with soybean (37.7%) and hot pepper (26.1%) in persimmon orchard. 44.2% among answered farmers mixed cultivation of persimmon with production of dried persimmon and 54.5% of farmers considered lack of labor as the greatest problem in production of dried persimmon.

우리나라 최대의 곶감 및 감 생산지인 경북 상주지역 감 재배농가의 병해충 관리 실태와 과원관리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7년과 2008년 감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감 경작자의 91.1%가 50대 이상이었으며 재배농가의 94.7%가 '상주둥시'를 재배하고 있었다. 58.4%의 경작자가 병에 의한 수확량 감소가 가장 심각하며 68.1%가 탄저병(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에 의한 피해가 가장 심하다고 하였다. 해충은 깍지벌레류의 피해가 심하다고 응답한 농가가 60.2%로 가장 많았다. 병해충 관리에 관한 지식은 경험에 의존하는 비율이 37.2%였으며 약제 선정은 농약 판매상의 권유가 48.7%로 가장 많았다. 년 평군 방제 횟수는 $3{\sim}5$회가 54%로 가장 많았으며 방제력을 기록하는 농가는 17.7%에 불과하였다. 병해충 관리의 가장 큰 문제점은 병해충 지식의 부족이라는 응답자가 60.2%로 가장 많았으며 과원 관리시 병해충 방제 비용이 가장 많이 들어간다는 농가가 52.2%로 가장 많았다. 감 재배농가의 66.4%가 타 작물과 혼작을 하고 있었으며 콩과 고추를 혼작하는 농가가 가장 많았다. 감 재배와 곶감 가공을 겸하는 농가가 44.2%였으며 곶감 가공 과정중 가장 큰 애로사항은 인력부족이 54.5%로 가장 많았다.

Keywords

References

  1. Park, C. G., K. C. Lee, D. W. Lee, H. Y. Choo and P. J. Albert (2004) Effects of purified persimmon tannin and tannic acid on survival and reproduction of bean bug, Riptortus clavatus. J. Chem. Ecol. 30(11):2269-2283 https://doi.org/10.1023/B:JOEC.0000048788.35693.23
  2. 강수웅, 박정규 (1985) 단감 주요 병 발생 상황조사. 경남농진보. pp. 491-493
  3. 권태영, 박소득, 박선도, 최부술, 권용정 (1995) 감나무의 주머니깍지벌레에 대한 발생생태 및 화학적 방제 효과. 한응곤지. 34(4): 295-299
  4. 농림부 (2007) 농림통계연보
  5. 농촌진흥청 (1999) 작목별 작업 단계별 노동투하시간. 농업경영연구보고. 제84호
  6. 농촌진흥청 (2005) 2004 지역별 농산물 소득 자료. 농업경영연구보고. 제112호
  7. 박종대, 구희연, 이운직 (1992) 감나무를 가해하는 거북밀깍지벌레의 각 태별 발생 소장, 산란 및 부화습성. 농시논문집(작물보호편). 34(1):48-53
  8. 박종대, 박인선, 김규진 (1990) 감나무에 기생하는 뿔밀깍지벌레의 기주범위, 발생 소장, 각 태별 생육 특성. 한응곤지. 29(4):269-276
  9. 이규철, 강창헌, 이동운, 이상명, 박정규, 추호렬 (2002) 수은유아등과 집합페로몬 트랩에 의한 단감원 노린재류의 발생소장. 한은곤지. 41(4):233-238
  10. 이동운, 박재완, 김영섭, 박정규, 추호렬 (2003) 단감원의 방제 체계에 따른 검역대상 해충 발생 양상. 농약과학회지 7(3):228-237
  11. 이동운, 이규철, 이승욱, 박정규, 추호렬, 신창훈 (2001) 단감원의 병해충 관리 실태와 소득 증대 방안에 대한 농가 의식조사. 농약과학회지 5(4):45-49
  12. 임명순, 윤면주, 김용석 (1988) 단감나무의 병해충 발생과 주요 병해방제에 관한 연구. 농사시험연구논문집(원예편).30(2):64-70
  13. 상주시 (2007) 상주시 통계연보
  14. 정대열 (1995) 진주, 진양지역 단감원의 곤충상, 발생소장 및 그 피해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정부근, 강수웅, 권진혁 (1995) 단감원에서 노린재류 피해와 발생소장 및 방제에 관한 연구. 농업논문집. 37(2):376-382
  16. 정연태, 윤을수, 김정곤, 손일수, 소재돈, 조영길 (1993) 영남지역 단감 재배적지 구분기준 설정. 농업논문집. 35(1):245-251
  17. 조상규, 조덕환 (1965) 감 지방종에 관한 수집조사. 농시보고. 8(1): 147-190
  18. 추호렬, 박창석, 하호성, 김준범 (1991) 주요 단감 재배지의 해충과 식물기생성 선충의 발생양상. 농연보. 25(1):7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