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탄저병

Search Result 30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nthracnose of Strawberry: Et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딸기 탄저병: 병원·생태학적 특징 및 방제)

  • Myeong Hyeon Nam;Je Hyeok Yoo;Tugsang Yun;Hakhun Kim;Hong Gi Kim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v.29 no.3
    • /
    • pp.205-219
    • /
    • 2023
  •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spp. is a major disease of strawberry plants worldwide. The anthracnose of strawberries in Korea has occurred in most cultivated strawberry varieties since its first report in 1990. Although many studies 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control the disease, anthracnose continues to affect strawberry yields in Korea. In this review, we introduced various management methods to control anthracnose in strawberries, such as identifying pathogen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volved in this disease,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latent infection, and developing diagnostic techniques and control methods. Through this review, we propose that researchers can elucidate a comprehensive and practical approach to control anthracnose by understanding this disease and developing strategies to prevent its spread, ultimately benefiting strawberry farmers.

병충해 방제 - 버즘나무 탄저병 (Sycamore anthracnose)

  • Kim, Gyeong-Hui
    • Landscaping Tree
    • /
    • s.141
    • /
    • pp.28-29
    • /
    • 2014
  • 버즘나무는 도시공해에 강하고 공기 정화능력이 크기 때문에 가로수나 공원수로 많이 심어 졌으며, 목재는 희고 재질이 단단하고 무늬가 좋기 때문에 일반 용재, 가구재, 펄프재로 사용되고 있다. 버즘나무에서 가장 중요한 병은 탄저병으로써 이 병을 소개한다.

  • PDF

탄저병(사과$\cdot$포도) 이렇게 방제하자

  • 박흥섭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5 no.8
    • /
    • pp.58-63
    • /
    • 1984
  • 우리나라에서 낙엽과수재배의 성공은 여름철이 고온다습하므로 습한 기후병(Wet weather disease)에 속하는병들을 어떻게 방제하느냐에 달려 있는데 탄저병에도 이에 속한 병이므로 이들의 방제를 철저히 하여야 할 것이다

  • PDF

Yield Loss Assessment and Determination of Control Thresholds for Anthracnose on Red Pepper (고추 탄저병 발생에 따른 수량변화와 방제수준 설정)

  • Kim, Ju-Hee;Cheong, Seong-Soo;Lee, Ki-Kwon;Yim, Ju-Rak;Choi, Sun-Woo;Lee, Wang-Hyu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v.21 no.1
    • /
    • pp.6-11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control thresholds for anthracnose on red pepper.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anthracnose incidence and diseased fruits, experimental plots with six treatments were established. There existed close correlation between rate of diseased fruits and yields in field (Y = -16.83X + 327.57, $R^2=0.83$), in rain shelter (Y = -4.92X + 361.02, $R^2=0.84$), and in rain shelter with rain (Y = -5.91X + 359.71, $R^2=0.76$). Control thresholds for anthracnose of pepper were 0.9% diseased fruits per plant in field and from 1.7 to 2.3% diseased fruits rate per plant in rain shelter.

Impact of Climate Change on Fungicide Spraying for Anthracnose on Hot Pepper in Korea During 2011-2100 (한국의 2011-2100년 기후변화가 고추 탄저병 살균제 살포에 미치는 영향)

  • Shin, Jeong-Wook;Yun, Sung-Chul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3 no.1
    • /
    • pp.10-19
    • /
    • 2011
  • In order to predict the risk of anthracnose on hot pepper in the future, the projected climate data from SRES A1B scenario in South Korea were used with the modified anthracnose model to calculate Infection Risk (IR), which was to estimate the number of fungicide sprays. Based on daily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the anthracnose model resulted in an empirical relationship that IR = (Daily temperature - $16^{\circ}C$) ${\times}$ 0.07 + (Daily precipitation ${\times}$ 0.11). For 135 locations in South Korea, the total number of fungicide sprays needed from 2011 to 2100 was 12,150, indicating a complicated change with an overall increase in anthracnose development in all locations until 2100. In particular, radical changes in anthracnose development were predicted at Yeongdeok, Yeongyang, and Uiseong, whereas gradual changes were predicted at Heongsung, Hamyang and Taean. The eastern counties of Gyeongbuk Province, which ar the major plantation area in these days, would be the place with the highest disease pressure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years of 2058, 61, 78 and 2096 will be most severe, requiring 8-11 times of fungicide spraying. The GIS maps show that the mountain areas of Jeonbuk and Chungbuk Province would have the least disease pressure of anthracnose in the future.

Disease Survey in Melon, Watermelon, and Cucumber with Different Successive Cropping Periods Under Vinylhouse Conditions (연작연수에 따른 시설재배 참외, 수박 및 오이의 병해 발생 양상)

  • 박소득;권태영;임양숙;정기채;최부술
    • Korean Journal Plant Pathology
    • /
    • v.12 no.4
    • /
    • pp.428-431
    • /
    • 1996
  • 참외, 수박, 오이의 주요 시설재배단지인 경북 성주, 칠곡, 고령에서 1992년부터 3년간 이들의 주요 병해인 덩굴쪼김병, 덩굴마름병, 탄저병, 노균병, 흰가루병 및 잿빛무늬병의 연작수해에 따른 발생량을 조사하여 이들 병의 방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하였다. 토양전염성병균에 의한 병해인 덩굴쪼김병, 탄저병 및 참외와 수박의덩굴마름병은 연작해수가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발병율이 증가하였다. 덩굴쪼김병의 경우는 1∼3년과 10년 이상 지배지에서 참외 0.6%와 2.5%, 오이 0.3%와 4.2%, 수박 0.7%와 3.3%로 전체적으로 발병율이 낮아 연작에 따른 발병율의 차이가 작았으나, 덩굴마름병과 탄저병은 이 두재배지의 차이가 커 연작장해가 심하게 나타났다. 세 박과 식물중에 수박이 연작에 따른 병발생율 증가 폭이 다소 높았다. 토양전염성병이 아닌 참외와 오이의 노균병과 흰가루병, 오이의 잿빛 무늬병은 연작수해에 따른 병발생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이들 병해는 발생은 시설재배지의 재배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 PDF

Dissemination of Conidiospores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the Anthracnose of Persimmon and the Disease Development (감나무 탄저병균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의 분생포자 비산과 농가 포장에서 탄저병의 발생과정)

  • Kwon, Jin-Hyeuk;Park, Chang-Seuk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v.10 no.4
    • /
    • pp.272-278
    • /
    • 2004
  • The disease development of Anthracnose of sweet persimmon in relation to release of conida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were observed in a farmer's field located in Jinju from 1998 to 2002. The conidia started to release from early April and reached maximum in June to late July. The amount of conidia production reduced drastically from early August. The number of conidia trapped was closely related to amount of precipitation at the same period and number of new infections on the emerging branches and young fruits in orchard. The conidia released during the April was not effected to disease occurrence of persimmon tree but the spores produced from inoculum source after early May significantly important to the infection of the pathogen on emerging branch and this infection was directly related to infections on young fruits. Consequently the early infections on the branches brought severe occurrence of Anthracnose in the orchard. Most of the infected fruits were dropped in unripe state. The earlier infection caused the earlier fruit drop. The rate of fruit drop was reached up to 84.1% in August when the disease was occurred severely. Anthracnose of sweet persimmon also occurred in market shelf and storage warehouse. The anthracnose fruits are presumed to be infected while in orchard. Because the symptom formed on the fruit was too tiny to eliminate, the infected fruits were involved in storage boxes and anthracnose gradually developed in storage condition. The rate of diseased fruit observed in Jinju area were 1.2 to 1.6%.

채소작물 병해방제 집중탐구 (3)수박 - 시설재배환경 덩굴마름병 발생에 적합 - 탄저병과 역병은 노지재배시 문제

  • 김충회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12 no.6 s.105
    • /
    • pp.94-101
    • /
    • 1991
  • 우리나라 수박재배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는 병해는 덩굴쪼김병(만할병), 덩굴마름병(만고병), 탄저병, 역병(돌림병)이라 할 수 있다. 이외에 5$\~$6가지의 병이 발생하고 있으나 상기 4가지 병해에 비하면 발생면적도 적고 피해도 일반적이지 못하다. 덩굴쪼김병은 접목재배에 의하여 피해가 경감되고 있으나 수박재배 경험이 풍부하지 못한 농민들은 이 병해 때문에 실패하기 쉽다. 덩굴마름병은 특히 시설재배에서 피해가 큰데, 전생육기간동안 기온이 낮을 때 발생하므로 해마다 농민들이 골치를 앓는 병해다. 탄저병과 역병은 시설재배보다는 노지재배에서 훨씬 많이 발생하며 그 피해도 대단히 크다. 특히 이 병해들은 강우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약제를 살포할 여유도 없이 급진전하므로 잠깐 소홀히 한 사이 포장이 수박전체가 피해를 입는 경우가 허다하다. 여기에서는 앞서 이야기한 4가지 병해를 중심으로 발생생태와 효과적인 방제방법을 알아본다.

  • PDF

채소작물 병해방제 집중탐구 (6) 고추 - 고추농사 풍$\cdot$흉 좌우하는 역병과 탄저병

  • 김충회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13 no.3 s.108
    • /
    • pp.98-105
    • /
    • 1992
  • 고추에 발생하는 병해는 우리나라에 18여종이 있다.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병해는 두말할 나위없이 역병과 탄저병일 것이다. 세균성점무늬병(반점세균병)과 바이러스병(모자이크병, 괴저병)도 문제가 되고 있으나 앞의 두 병해에 비하면 발생도 국부적이고 피해도 훨씬 가볍다고 할 수 있다. 이 네가지 병해는 우리나라 고추 주산단지의 연작 장해현상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연작에 의하여 발병이 심화되는 대표적인 병해다. 이밖에도 고추에는 잿빛곰팡이병, 균핵병, 흰가루병등의 공기전염성 병해들이 시설재배지의 특수환경과 관련하여 점차 발생이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여기에서는 고추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고 농민들이 방제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역병과 탄저병에 대하여 그 효과적인 방제대책을 알아본다.

  • PDF

Characteristics of Anthracnose of Orchids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에 의한 난 탄저병의 발생 특성)

  • 박숙영;정희정;김가영;고영진
    • Korean Journal Plant Pathology
    • /
    • v.12 no.4
    • /
    • pp.455-458
    • /
    • 1996
  • 난 탄저병균의 배양적 특성과 탄저병의 발생 특성을 조사하였다. 자연 발병한 양란과 호접란의 잎에는 초기에 암갈색 또는 검은색의 둥글고 작은 반점이 형성되어 점차 진전되면서 검게타고 병이 진전됨에 따라 잎전체가 고사하고 심할 경우 줄기와 식물체 전체가 고사하였다. 탄저병에 감염된 양란과 호접란의 병환부로부터 분리된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는 상처접종에 의해서만 각각 양란과 호접란 병원성을 나타내었고, 덴파레 및 춘란에 대해서도 모두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양란은 상위엽일수록 탄저병균에 대해 감수성을 나타내었으며, 호접란이 탄저병균에 대해 감수성을 나타낸 반면에 춘란이 가장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양란과 덴파레는 중도 반응을 보였다. 탄저병균의 균사생장과 분생포자형성 적온은 각각 $25^{\circ}C$였으며, 베노밀 수화제와 비타놀 수화제에 대하여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