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 모델 (벽식구조 노후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A Process Model of Eco-friendly Demolition Work for Wall Type Aged Housing Remodeling

  • 발행 : 2008.12.31

초록

리모델링 공사는 신축공사와 달리 철거공사가 주공정으로 선행되어야 하는데 현행 철거공사는 개략적 수준의 철거관리계획에 의한 생산성만을 강조한 철거 형태로 인해 폐자재 재활용이 되지않고 있어 자원낭비, 환경파괴를 가중 시키고 있으며, 철거작업 중 작업자의 안전과 구조체의 안전등이 전혀 고려되지 않고 철거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친환경 철거공사가 되기 위해서는 프로세스의 개선이 우선 되어야하며 그 단계를 1) 철거관련 조사분석, 2) 철거관리 도서작성, 3) 철거관리 시공계획서작성, 4) 철거시공 및 감리, 5) 철거 후 관리의 5단계로 구분 하였으며, 특히 철거도면 작성으로 표준철거 WBS가 구축되고, 철거장비 및 공법, 폐기물 투하, 철거공정계획 수립이 가능하며 마감재 철거 후 구조체의 안전점검을 실시하므로써 철거중 불가피한 보수보강이 가능하며, 철거완료 Check list 작성에 따라 리모델링 본공사의 Database 활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행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AS-IS)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된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TO-BE)를 IDEF0 모델을 사용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Demolition work is a precedence activity that is performed earlier than other remodeling activities. And demolition work is one of the critical path activities. So, demolition work is needed for systematic plan and management. However, contractors of the remodeling project established a rough plan and did not consider recycling wastes, safety of workers and structural stable of building. To improve this problem, a eco-friend process model of remodeling project is needed to be established. The process model is composed of five phases; 1) survey and analysis of general condition of demolition work, 2) prepare documents of demolition work 3) establishing demolition work plan, 4) demolition and inspection, 5) post-demolition management. Especially, demolition documents are based on establishing WBS, selecting the equipment and method, waste management and structure reinforcement. A process model of eco-friend demolition work is developed by using IDEF0 metho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기성 외 3인, "공동주택 리모델링 공사사례 보고서 ?마포용강시범아파트 및 압구정 아크로빌", 대림기술정보, 2004
  2. 김효진, "공동주택 철거잔재의 활용성 향상을 위한 해체기술 및 시스템 개발",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04
  3. 김효진 외 3인," 해체공사 수행실태 및 공동주택 분별해체 시험시공",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2006
  4. 백종현, "노후 건축물 해체공사의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5
  5. 신남수 외 2인,"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전략을 위한 안전진단의 경제성 분석 모델",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2005
  6. 윤용진, "방배동 궁전아파트 리모델링 공사", 쌍용 건설기술, 2007
  7. 이재철 외 2인, "벽식 아파트 리모델링 시 내력벽 제거에 따른 응력변화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2005
  8. 임석호 외 3인," 공동주택의 친환경 리모델링을 위한 부분접합부 유형별 설계 및 시공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7
  9. 정종석 외 3인, "주거용 건축물 해체 전,후의 건설폐기물 발생량 비교, 분석을 통한 건설 폐기물 발생 원단위 작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07
  10. Ken Sandler, "Analyzing what's recyclable in C&D debris", Biocycle, 2003
  11. Manar Shami, "Managing deconstruction projects for sustainability", AACE International Transactions, 2007
  12. Robert McKim, Tarek Hegazy, Mohamed Attalla, "Project performance control in reconstrcution projec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0
  13. Tarek A. Awida, "Partial demolition and extension of kuwait medical college building", Journal of Architecture Engineering, 2002
  14.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Characterization of building-related construction and demolition debris in the US",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