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정방법에 따른 노동시간의 차이: 자기기입식 질문법과 시간일지법을 중심으로

The Discrepancy of Work Time according to the Measures: Self-reported Questions vs. Time-diary Method

  • 유성용 (한국학 중앙 연구원 한국학 대학원)
  • 발행 : 2008.04.25

초록

본 논문에서는 자기 기입식 질문법에 의한 평가 노동시간과, 시간일지법에 의한 일기 노동시간 간에, 노동시간의 길이에 의한 체계적인 편차가 존재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노동시간의 길이의 측정 및 계산에 있어서, 자기 기입식 질문법은 그 측정의 용이성 등의 장점에 의해 주로 사용되어 온 반면, 시간일지법은 응답자의 행동들을 그 연속성 하에서 기록함으로써 보다 실제에 가까운 생활시간을 구할 수 있다는 장점에 의해 사용되어 왔다. 2004년도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평가 노동시간을 기준으로 했을 때에는 평가 노동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노동시간의 과대평가의 경향이 강해진다는 결론이 나오는 반면, 일기 노동시간을 기준으로 했을때에는 일기 노동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노동시간의 과소평가의 경향이 강해진다는 결론이 나오는, 모순으로 보이는 결과가 나왔다. 공통된 조사에서 나온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정반대의 결과를 나타내는 이유는 평균에의 회귀 현상에 의해 무작위 오차가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작용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평가 노동시간을 기준으로 한 결과만을 근거로 장시간 노동을 하는 사람 일수록 자신의 노동시간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주장할 수는 없다. 즉, 노동시간의 증가에 따른 체계적인 편차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이러한 편차의 존재를 근거로 자기 기입식 질문법에 의한 평가 노동시간을 통해 구해진 자료들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 역시 불가능하다.

This article aimed to clear that the systematic bias according to the length of work time exists between estimated work time by self-reported questions used mainly in measuring and calculating the length of work time because of strong points of easy in measuring and so on and diary work time by time-diary method used because of the strong point that can measure more accurate lifetime by recording various activities of respondents during 24 hours in the stream. As the result that analyze the data from Lifetime Use Survey in 2004, the result like the contradiction came that the tendency of overstating work time is rising according as estimated work time increases via estimated work time, whereas the tendency of understating work time is rising according as diary work time increases via diary work time. The reason that the opposite results come despite the data from the same survey is that random errors act in the opposite directions by regression to the mean. Therefore, we cannot emphasize that a man working long hours tends to exaggerate his work hours by the result via estimated work time. That is, the fact that the systematic bias by the increase of work time does not exist is confirmed, and therefore, it is also impossible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accuracy of the data through estimated work time by self-reported questions from the evidence of the existence of that bia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외숙.조희금.두경자 (2000) 시간의 사용과 관리 교문사
  2. 박영도.은기수.박수미.김복수.오만석.김정석.이윤석 (2005) 한국인의 생활 시간과 일상생활 II: 일상생활의 쟁점 한국학중앙연구원
  3. 손문금 (2006) "시간일기와 자기기입식 시간측정의 비교: 성별, 종사상지 위별 유급노동시간을 중심으로" 통계연구 통계청 11(1): 88-117
  4. 오만석.은기수.김복수.이윤석.김정석 (2005) 한국인의 생활시간과 일상생 활 I: 생애주기별 접근 한국학중앙연구원
  5. 통계청 (2004) 생활시간조사 원자료
  6. Harris, L. (1988) Americans and The Arts V January New York: Harris and Associates
  7. Jacobs, J. A. (1998) "Measuring Time at Work: An Assessment of the Accuracy of Self Reports" Monthly Labor Review 121(12): 42-53
  8. Marsh, C. (1988) "Hours of Work of Women and Men in Britain" Equal Opportunities Commission Research Series London: HMSO
  9. Mata-Greenwood, A. (1992) "An Integrated Framework for The Measurement of Working Time" STAT Working Papers 92(2) Geneva: ILO
  10. Robinson, J. P. and A. Bostrom (1994) "The Overestimated Workweek? What Time Diary Measures Suggest" Monthly Labor Review August: 11-23
  11. Robinson, J. P. and G. Godbey (1997) Time for Life: The Surprising Ways Americans Use Their Tim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2. Robinson, J. P. and J. Gershuny (1994) "Measuring Hours of Paid Work: Time-Diary vs. Estimate Questions" Bulletin of Labor Statistics 1: 11-17
  13. Rones, P. L., R. E. Ilg. and J. M. Gardner (1997) "Trends in Hours of Work Since The Mid-1970s" Monthly Labor Review April: 3-14
  14. Schor, J. B. (1991) The Overworked American: The Unexpected Decline of Leisure Basic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