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Pedestrian Network and Pedestrian Volume Using Connectivity

연결도를 이용한 보행네트워크와 보행통행량의 상호관련성 연구

  • Published : 2008.02.28

Abstract

It is important to know pedestrian volume to carry out pedestrian safety analysis and pedestrian friendly design. However, it is too difficult to come across research work related to pedestrian volume analysis in the field of transport, due to lack of interests on pedestrian movement. Most transport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vehicles and highways rather than pedestrian. On the other hand, in the field of urban studies, there comes an effective tool to estimate pedestrian volumes using Space Syntax theory. This theory twins out to be effective and economic because it only requires network information, which is easy to acquire from maps and field survey. However, this method is different in the way representing networks from the way that is common in the field of transport. To make up for this point, this paper develops a novel measure for estimating pedestrian volume using Dial's algorithm, and applies the model in the two test networks; Insadong and Soongryemoon networks. The application results reveals that developed measure is an effective tool to explain pedestrian volume; a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measure and pedestrian volume is 0.713 in Insadong and 0.492 in Soongryemoon, and the goodness of fit($R^2$) of regression models are 0.893 in Insadong and 0.671 in Soongryemoon. This estimation method is significantly less complicated to estimate the effect of a pedestrian network change than Space Syntax theory, which requires special softwares not readily available.

보행통행량은 보행안전분석과 보행환경개선에 중요한 요소이나 교통 부문에서 보행통행량 예측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도시계획분야에서는 네트워크 특성만으로 보행량을 예측하는 공간구문론(Space Syntax Theory)이 연구되어져 왔고 많은 연구에서 효과적으로 보행량을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Space Syntax 방법론을 이용한 보행량 예측법은 교통 부문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이 상이하여 활용에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통의 관점에서 보행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Dial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링크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나타내는 연결도 개념을 도입하여 보행량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인사동 및 숭례문 지역에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연결도와 보행통행량의 상관계수가 인사동의 경우 0.713, 숭례문의 경우 0.482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고, 연결도 및 도로폭을 종속변수로 한 보행통행량 모형의 결정계수가 인사동의 경우 0.893, 숭례문의 경우 0.671로 모형의 설명력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는 연결도가 보행통행량 추정에 있어서 충분히 설득력 있는 방법론임을 의미한다. 또한, 연결도를 이용한 보행통행량 추정법은 Space Syntax 이론에 의한 추정법에 비해 그 과정이 간단하고, 특정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네트워크가 교통네트워크의 구축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구축되므로 연구대상구역의 가로망 체계 변화가 보행통행량에 미치는 영향을 간단히 추정해보는데 유용한 방법론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신행우.김영욱(2006), "토지이용에 따른 보행네트워크와 보행통행량의 상호관련성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 Liu.Briswold(2006), "A Method for Estimating Pedestrian Volume for Street Intersections in San Franscisco", TRB 2007 Annual Meeting
  3. 김영욱.한상진.임현식.신행우(2005), "보행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보행량 예측 방법 연구 - Space Syntax 기법을 활용하여 -", 대한교통학회 제48회 학술발표회, 대한교통학회, pp.365-374
  4. 전치혁.전민근.이혜선(2004), 공학응용통계(개정판), 홍릉과학출판사, pp.134-206
  5. 서울특별시(2002), 인사동 지구단위계획 수립에 따른 시간대별 교통영향 분석
  6.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03), Preparation Studies for the ASEAN Highway Network Development
  7. Noah Raford.David R. Ragland(2003), Space Syntax: An Innovative Pedestrian Volume Modeling Tool for Pedestrian Safety, Transpor- 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 tation Research Board, No. 1878, pp.66-74
  8. A Penn.B Hillier.D Banister.J Xu(1998), "Configurational modelling of urban movement networks",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1998, volume 25, pp.59-84 https://doi.org/10.1068/b250059
  9. 김계수.강병서(1998), 사회과학 통계분석, 고려정보산업, pp.167-220
  10. Dirck Van Vliet(1979), "Selected Node-pair Analysis in Dial's Assignment Algorithm", Transpn Res. Vol. 15B, pp.65-68
  11. Robert B. Dial(1970), "A Probabilistic Multipath Traffic Assignment Model Which Obviates Path Enumeration", Transpn Res. Vol. 5, pp.83-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