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결도

Search Result 19,721,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Embedding Algorithms between Even network and Odd network (이븐 연결망과 오드 연결망 사이의 임베딩 알고리즘)

  • Kim, Jong-Seok;Lee, Hyeo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659-662
    • /
    • 2007
  • 알고리즘의 설계에 있어서 주어진 연결망을 다른 연결망으로 임베딩하는 것은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중용한 방법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하이퍼큐브보다 망비용이 개선된 이븐 연결망과 오드 연결망 사이의 임베딩을 분석하고, 이븐 연결망이 이분할 연결망임을 보인다. 이븐 연결망을 오드 연결망에 연장율 2, 밀집율 1에 임베딩 가능함을 보이고, 오드 연결망을 이븐 연결망에 연장율 2, 밀집율 1에 임베딩 가능함을 보인다.

  • PDF

Embedding Algorithms between Folded Hypercube network and Even network (Folded하이퍼큐브 연결망과 이븐연결망 사이의 임베딩 알고리즘)

  • Kim, Jong-Seok;Lee, Hyeo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667-670
    • /
    • 2007
  • 알고리즘의 설계에 있어서 주어진 연결망을 다른 연결망으로 임베딩하는 것은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중용한 방법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하이퍼큐브보다 망비용이 개선된 이븐 연결망과 오드 연결망 사이의 임베딩을 분석하고, 이븐 연결망이 이분할 연결망임을 보인다. 이븐 연결망을 오드 연결망에 연장율 2, 밀집율 1에 임베딩 가능함을 보이고, 오드 연결망을 이븐 연결망에 연장율 2, 밀집율 1에 임베딩 가능함을 보인다.

  • PDF

Hierarchical Odd Network(HON): A New Interconnection Network based on Odd Network (계층적 오드 연결망(HON) : 오드 연결망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상호연결망)

  • Kim, Jong-Seok;Lee, Hyeong-Ok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36 no.5
    • /
    • pp.344-350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interconnection network, hierarchical odd network HON($C_d,C_d$), which used the odd network as basic modules. We investigate various topological properties of HON($C_d,C_d$), including connectivity, routing algorithm, diameter and broadcasting. We show that HON($C_d,C_d$) outperforms the three networks, i.e. the odd network, HCN(m,m), and HFN(m,m).

Link Weight Discrimination Analysis based Design of Input Nodes in ANN Models for Bankruptcy Prediction: Strong-Linked Neurons Selection and Weak-Linked Neurons Elimination Approach (연결강도판별분석에 의한 부도예측용 신경망 모형의 입력노드 설계 : 강체연결뉴론 선정 및 약체연결뉴론 제거 접근법)

  • 이웅규;손동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469-47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부도예측용 인공신경망 모형의 입력노드를 선정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연결강도판별분석(Link Weight Discrimination Analysis)에 의한 약체뉴론제거법(Weak-Linked Neuron Elimination)과 강체뉴론선택법 (Strong-Linked Neurons Selection)을 제안한다. 연결강도판별분석이란 적절한 학습이 끝난 인공신경망 모형에서 입력노드와 연결되는 가중치의 합에 대한 절대값인 연결강도 판별식(Link Weight Discrimination)에 의해 해당 입력노 드가 출력노드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한편 강체연결뉴론선택법은 선처리를 통해 얻어진 학습된 인공신경망의 입력노드 가운데서 연결강도판별식이 큰 뉴론만을 본처리의 입력노드로 선정하는 것인데 비해 약체연결뉴론제거법은 연결강도판별식이 일정 값 즉, 연결강도 판별임계치(Link Weight Discrimination Cut off Value) 보다 낮은 입력노드를 제외하고 나머지 입력노드만을 본처리의 입력노드로 선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체연결뉴론선택법과 약체연결뉴론제거법을 각각 정형적인 방법론으로 정립하고 이 방법론에 의해 부도예측용 인공신경망을 구축하여 각각의 모형을 의사결정트리에 의해 선정된 인공신경망 모형 및 선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은 인공신경망 모형과 성능을 비교,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의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 PDF

Linkage Expansion in Linked Open Data Cloud using Link Policy (연결정책을 이용한 개방형 연결 데이터 클라우드에서의 연결성 확충)

  • Kim, Kwangmin;Sohn, Yonglak
    • Journal of KIISE
    • /
    • v.44 no.10
    • /
    • pp.1045-1061
    • /
    • 2017
  •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to expand linkages in a Linked Open Data(LOD) cloud that is a practical consequence of a semantic web. LOD cloud, contrary to the first expectation, has not been used actively because of the lack of linkages. Current method for establishing links by applying to explicit links and attaching the links to LODs have restrictions on reflecting target LODs' changes in a timely manner and maintaining them periodically. Instead of attaching them, this paper suggests that each LOD should prepare a link policy and publish it together with the LOD. The link policy specifies target LODs, predicate pairs, and similarity degrees to decide on the establishment of links. We have implemented a system that performs in-depth searching through LODs using their link policies. We have published APIs of the system to Github. Results of the experiment on the in-depth searching system with similarity degrees of 1.0 ~ 0.8 and depth level of 4 provides searching results that include 91% ~ 98% of the trustworthy links and about 170% of triples expanded.

Correlation Between Social Network Centrality and College Students' Performance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사회 연결망 중심도와 학습자 성과 간의 상관관계)

  • Jo, II-Hyu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0 no.2
    • /
    • pp.77-87
    • /
    • 2007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 centrality variables on students' performance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in a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Using data from 36-student course on Learning Theories and Their Implications on Instructional Design Practices, the researcher empirically tested how social network centrality variables - such as friendship network centrality, advice network centrality, and adversary network centrality - are cor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measures. Results indicate, as hypothesized, the friendship and advice centrality positively correlate with, whereas the adversary centrality being negatively correlate with application performance measures and test scores. The size and quality of posted online discussions are positively and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advice network centrality.

  • PDF

Analysis on the Behaviors of Precast Concrete Beam-Column Connections Subject to Cyclic Loading (반복하중을 받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건식 보-기둥 연결부의 거동분석)

  • Song, Hyung-Soo;Yu, Sung-Yong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8 no.4 s.94
    • /
    • pp.497-506
    • /
    • 2006
  • The precast concrete beam-column connectors for the high-rise office buildings we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in this study. The specimens of general precast beam-column connector which is used in a domestic site, specimen of DDC(dywidag ductile connectors) of Germany, and specimen of DDC with post-tensioning and modified DDC with post-tensioning were constructed and tested to verify the safety. The DDC with and without post-tensioning showed reliable joint strength and ductility but failed in critical inclined shear crackings at the column. The modified one showed better behaviors in tests because they did not show critical column crackings at failure. The use of prestressing did not helpful significantly to increase the strength and ductility of connectors but helpful only to develop self-centering behavior for stability.

Interconnection Network Interfaces in Parallel Computer Systems (병렬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상호연결망 인터페이스)

  • Mo, Sang-Man;Sin, Sang-Seok;Han, U-Jong;Yun, Seok-Han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2 no.5 s.47
    • /
    • pp.62-72
    • /
    • 1997
  • 상호연결망 인터페이스는 병렬 컴퓨터 시스템에서 노드 또는 프로세서를 상호연결망에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수행하는 정합 장치로서, 상호연결망으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상호연결망 인터페이스의 구조와 동작, 프로세서와의 인터페이스, 여러 종류의 상호 연결망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례조사 결과, 상호연결망 인터페이스의 성능 및 설계 고려사항 등을 기술 한다. 상호연결망 인터페이스 설계의 초점은 상호연결망 인터페이스가 시스템의 병목지점이 되지 않도록 하는데 맞추어져야 하며, 이를 위하여 응용 분야를 충분히 고려하고 전송 대역폭을 극대화하고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도록 구현되어야 한다. 또한, 오류 제어를 통하여 높은 전송 신뢰도를 제공하고, 효율적인 프로세서 인터페이스 및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한다.

Comparison of Interconnection Networks for Message Passing Parallel Processing Systems (메시지 패싱 병렬 처리 시스템의 상호연결망 비교)

  • 한종석;심원세한우종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1998.10a
    • /
    • pp.463-466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메시지 패싱 전송을 기반으로 하는 병렬 처리 시스템의 상호연결망 구조와 특성을 조사하고 비교한다. 특히, 상용 시장에서 널리 알려진 대표적인 병렬 처리 시스템의 상호연결망 특성과 ETRI에서 개발된 고속 병렬 컴퓨터(SPAX)의 계층 크로스바 상호 연결망(Xcent-Net) 특성을 상호 비교한다. 메시지 패싱 전송 기반의 상호연결망은 일반적으로 확장성이 우수하여 대규모 병렬 처리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유리하다. Cray T3E 시스템, Intel ASCI TFLOPS 시스템, Tandem Himalaya S70000 시스템, IBM RS6000 SP2 시스템등은 메시지 패싱 상호연결망을 기반으로 수백개에서 수천개의 대규모 프로세서를 연결한 병렬 처리 시스템이다. ETRI SPAX 시스템은 Xcent-Net 메시지 패싱 상호연결망을 기반으로 최대 256개 프로세서를 연결한 고속 병렬 처리 시스템으로 우수한 확장성과 높은 성능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상호연결망의 구조와 함께 라우팅 스위치 구조 및 특성을 중심으로 전송 지연시간, 그리고 노드당 전송 대역폭 특성을 비교한다.

  • PDF

Ecological Assessment Technique of Connectivity to Disconnected Floodplains by Levee (격리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의 생태적 연계성 평가 기술)

  • Cho, Kang-Hyun;Jin, Seung-Nam;Cho,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7-7
    • /
    • 2017
  • 범람파동 개념에 따르면 하도와 홍수터의 횡적 연결성은 하천 생태계의 생물다양성과 생산성 증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방에 의하여 제내지 홍수터가 하도와 차단된 우리나라 하천에서 생태적 서비스를 증대하기 위해서 횡적 연결성을 복원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횡적 연결성의 복원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선 하도와 홍수터 사이에 생태적 연결성의 현황을 파악하고 연결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진단하는 평가 기술 개발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방에 의하여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에서 수리적, 생태적 횡적 연결성을 평가하고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연결성 회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 평가는 1)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단된 하천공간을 탐색하고, 2) 탐색된 전체 재내지에서 원격평가에 의하여 간편하게 횡적 연결성 평가를 실시하고, 3) 선정된 특정 제내지 대상지에서 현장평가에 의하여 상세하게 연결성을 평가하는 순서로 수행된다. 차단된 하천공간의 획정은 홍수가 범람할 수 있는 제내지 공간을 잠재적 하천공간으로 정의하고 수치표고모델 (DEM)과 하천기본계획의 30년 빈도 홍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제내지 홍수터를 탐색하였다. 제내지 홍수터의 원격 연결성평가는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수치지도와 토지피복도 등 공간자료를 이용하여 수리 및 서식처 환경성, 제방 차단성과 하도 및 육상 연결성을 평가하고 원격평가 결과를 토대로 현장평가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횡적 연결성의 현장평가를 위하여 크게 하도-홍수터 연결성과 제내지 서식처 보존성으로 평가 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연결성 평가는 수리연결성과 생물연결성으로, 서식처 보존성 평가는 습지유지율, 습지보존성, 육역지보존성을 세부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평가 항목별로 5 등급의 평가 기준에 따라서 평가 점수를 부여하고 평가 총점을 산출하여 최종 연결성 평가 등급을 5 단계로 구분하였다. 현장평가를 위한 MS Access 기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데이터 입력과 관리 및 평가 결과 산출과 비교를 편리하게 하였다. 개발된 제내지 하천환경 평가법을 청미천과 만경강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개발된 평가법을 바탕으로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에서 연결성 회복에 따른 어류와 식생의 분포를 예측하는 수리생태 결합모델을 개발하였다. 먼저 차단된 제내지에서 연결 수로를 복원하여 유속, 수심 분포를 준이차 수리수문 모델로 예측하였다. 예측된 수리 환경에 따라서 지표어종의 서식처 적합도 지수 (HSI)를 이용하여 서식 분포 확률을 모의하였다. 또한 일반화가법모델 (GAM)을 이용하여 환경구배에 의한 우점식생의 분포를 예측하였다.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의 생태적 연계성 평가 기술을 기반으로 제방제거, 제방후퇴, 제방고 하강, 수문 및 연결수로 개선, 생물이동 저해 장벽 제거 등의 다양한 복원기술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