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operative Chemotherapy in Advanced Stomach Cancer (Cons)

진행성 위암에서의 수술 전 항암화학요법 치료 (in the View of Cons)

  • Oh, Sang Cheul (Department of Oncology and Hematology, Korea University)
  • 오상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종양혈액내과)
  • Received : 2008.06.04
  • Accepted : 2008.06.11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Surgery is the only curative modality for the treatment of gastric cancer. There has been no drastic improvement in the treatment of gastric cancer with chemotherapy. Clinical trials have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benefit of the preoperative chemotherapy for gastric cancer. The benefit of the use of preoperative chemotherapy or chemoradiotherapy has been demonstrated for other solid cancers such as breast cancer, esophageal cancer and rectal cancer. Despite the rationale of the use of preoperative chemotherapy for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the evidence of positive results with the use of preoperative chemotherapy has not been clear. Recently the British Medical Research Council Adjuvant Gastric Cancer Infusional Chemotherapy (MAGIC) study demonstrated the survival benefit of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However, this study had several problems with the use of a heterogeneous population of patients, the method of surgery and the use of perioperative chemotherapy. Further studies with new drugs are warranted to determine the role of pre-operative chemotherapy for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위암은 치료에 있어서 조기 발견을 통한 수술 등에 의해서 치료율이 향상되었지만 조기 위암을 제외하고는 치료성적이 정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진단 당시 아직도 많은 환자들이 처음부터 수술이 어렵거나 수술이 가능하더라도 치료 후에 재발 등으로 인하여 예후가 좋지 않다. 이를 볼 때 위암의 치료에 수술 이외의 부가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보고 치료율 향상을 위한 많은 시도가 시행되어 왔다. 특히 다른 고형 암에서의 좋은 결과와 수술 전 항암 화학요법 치료의 이론적인 잇점으로 인하여 많은 기대를 가지게 하였으나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 만을 볼 때는 그리 희망적이지 않다. 기존의 대부분의 연구가 2상 연구로 의미있는 결과를 유추하는데 문제점이 있고 3상 연구로 발표된 몇몇 연구는 드물기도 하지만 이를 수술 전 항암 항암화학 요법의 효과로 받아들이는 데는 문제가 많다. 순수하게 수술 전 항암 화학 요법 치료를 한 연구에서는 오히려 기대와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를 가지고 판단한다면 수술 전 항암 화학 요법의 치료는 임상 시험 범주 내에서 시행되어야 하며 임상에서 환자에게 권할 수 있는 하나의 표준 치료가 되기 위해서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까지의 비관적인 결과는 약제의 선택에 있어서 문제가 있으며 추후 신약 등을 포함한 약제를 이용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