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operative Chemotherapy in Advanced Stomach Cancer (Pros)

위암에서의 수술 전 선행항암화학요법(in the View of Pros)

  • Park, Sook Ryun (Center for Gastric Cancer, Research Institute and Hospital, National Cancer Center)
  • Received : 2008.05.20
  • Accepted : 2008.05.26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In gastric cancer, the only potentially curative treatment is surgery that attempts to achieve curative (R0) resection. However, despite the use of curative resection, a recurrence develops in a high percentage of patients, especially in cases of serosa and/or lymph node involvement. As a strategy to improve the survival of the patients with resectable advanced gastric cancer, neoadjuvant chemotherapy has been evaluated in several phase II trials and a few phase III trials. The results of these trials have confirmed the feasibility and safety of this approach with no apparent increase in surgical complications. Recently, the findings of a large phase III randomized trial (MAGIC trial) have indicated that compared to the use of surgery alone, perioperative chemotherapy, using both a neoadjuvant and adjuvant strategy, decreased the number of T and N stage cancers and improved survival. The results of another recent phase III trial (FNLCC 94012/FFCD 9703) also showed that compared to the use of surgery alone, perioperative chemotherapy improved the R0 resection rate and survival. In both trials, the improved outcomes may be attributed to the use of neoadjuvant chemotherapy because of poor compliance with adjuvant chemotherapy. These results cannot be directly translated to clinical practice in Korea due to differences in surgical techniques and outcomes. However, the findings of a few small phase II and III trials performed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gastric cancer in Korea have also suggested that neoadjuvant chemotherapy would result in the improvement of the R0 resection rate and down-staging of the disease. More effective chemotherapy regimens are needed in future large randomized trials to determine the subset of patients that will benefit from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to determine the extent of benefit.

현재 국소 위암에서 유일한 완치적 치료법은 수술적 절제이나 적절한 수술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상당 수의 환자들이 재발을 경험한다. 이에 다학제적 병용 치료 전략에 대해 많은 관심이 있어왔고 특히 최근에는 암의 병기 감소, 근치적 절제률의 증가, 미세 원격전이의 조기 치료 등의 가능성을 가지는 수술 전 선행항암화학요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최근의 3상 임상 연구인 MAGIC trial은 수술 전후 항암화학요법이, 수술 단독에 비해, 병리학적 병기를 감소시키며 국소 재발과 원격 전이를 감소시켜 생존율을 향상시킴을 보고하였고 또 다른 3상 연구인 FNLCC 94012/FFCD 9703 trial 역시, 수술 전후 항암화학요법이 근치적 절제율과 생존율을 향상시킴을 보고하였다. 두 연구는 수술 전후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것이지만 수술 후 보조항암화학요법의 불량한 치료 순응도에 비추어 볼 때 치료성적의 향상은 주로 수술 전 선행항암화학요법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연구들이 이루어진 서양과 달리 광범위(D2) 림프절 절제술을 표준적 치료로 시행하고 있는 한국의 현실에서 이들 연구결과를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한국에서 이루어진, 국소 진행성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몇 가지 임상 연구 역시 선행항암화학요법을 통한 근치적 절제률의 증가 및 병기 감소 효과를 시사하였다. 이러한 고무적인 치료 성적에 근거하여 향후 수술 전 또는 수술 전후 항암화학요법이 국소 위암에서 표준적인 치료 전략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 지 결론을 짓기 위해서는 대규모 임상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