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rushing Characteristic of the Ballast Gravel at High-Speed Railroad

고속선 도상자갈의 파쇄특성에 관한 연구

  • 이춘길 (코레일, 철도연구원 기술연구팀) ;
  • 김남홍 (코레일, 철도연구원 기술연구팀) ;
  • 우병구 (코레일, 철도연구원 기술연구팀) ;
  • 이성욱 (코레일, 대전지사 시설팀)
  • Published : 2008.08.30

Abstract

The ballast, one of track components, plays an essential role as intermedium in transmitting train load to subgrade safely, and the deterioration of ballast directly effects the growth of track irregularity.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main factor of ballast deterioration was miniature of ballast gravel caused MTT (Multiple Tie Tamper) works and accumulated traffic loads. To estimate th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of ballast, we carried out field test (Chap.2) through track construction for test and the model test (Chap.3) simulating the actual operation environment, have done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sample's result (crushing rate) of high-speed railroad running actually.

궤도구성품 중 도상은 레일과 침목으로 전달되는 열차하중을 노반으로 전달하는 중간매개체 역할을 하며, 도상자갈의 열화는 궤도틀림 진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대형 보선장비(멀티플 타이 탬퍼; MTT; Multiple Tie Tamper)를 사용한 도상다짐작업과 누적통과톤수가 자갈 세립화 및 도상열화의 주요 원인이다. 도상자갈의 열화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험용 궤도 부설을 통한 현장실험(2장. 실외 실측시험)과 실제의 운행 환경을 모사한 모형실험(3장. 실내 모형실험)을 실시하였고 실제 운용중인 고속선에서 채취한 시료의 파쇄입자 비율과 비교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서사범(2006), "개정2판 선로공학", 북갤러리, pp.180-189.
  2. 건설교통부(2007), "고속선 궤도관리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개 발", 2006년도 고속철도기술개발사업 1차년도 평가보고서, pp.132-138.
  3. 정근영, 김현기, 이종득(1999), "도상자갈의 마모/파쇄 특성", 한국철도학회논문집, 제2권 제3호, pp.61-69.
  4. Ernest T. Selig and John M. Waters (1994), "Track Geotechnology and Substructure Management", Thomas Telford books, pp. 8.18- 8.32.
  5. 한국철도기술연구원(2000), "보선작업의 기계화 및 현대화 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pp. 71-95.
  6. 철도청(1998), "철도도상 개량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철도기 술연구원, 최종보고서, pp. 129-146.
  7. 서사범(2005), "철도건설 시에 적용하는 궤도자갈 할증률의 시 험적 산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5권 제3D호, pp. 463- 470.
  8. KS F 2508(2002), "로스앤젤레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 골재의 마모 시험 방법".
  9. KS F 2502(2005), "굵은 골재 및 잔골재의 체가름 시험 방법".
  10. Chrismer, S. M., "Recent Developments in Predicting Ballast Life and Economics", Report No. R-700, AAR Technical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