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세포 사멸에 미치는 겨우살이 추출물과 항암제의 효과

The Effects of Mistletoe Extract and Anti-cancer Drugs on the Apoptosis of Gastric Cancer Cells

  • 이용직 (서울의료원 의학연구소 임상의학연구실) ;
  • 허수학 (서울의료원 의학연구소 임상의학연구실) ;
  • 신동규 (서울의료원 외과) ;
  • 강성구 (서울의료원 외과) ;
  • 김일명 (서울의료원 외과) ;
  • 김태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Lee, Yong-Jik (Division of Clinical Research, Medical Institute, Seoul Medical Center) ;
  • Heo, Su Hak (Division of Clinical Research, Medical Institute, Seoul Medical Center) ;
  • Shin, Dong Gue (Department of Surgery, Seoul Medical Center) ;
  • Kang, Sung-Koo (Department of Surgery, Seoul Medical Center) ;
  • Kim, Il Myung (Department of Surgery, Seoul Medical Center) ;
  • Kim, Tae He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투고 : 2008.06.23
  • 심사 : 2008.08.25
  • 발행 : 2009.09.30

초록

목적: 여러 암 치료의 보조 및 대체요법으로서 겨우살이 추출물은 주로 유럽지역에서 이십세기 초부터 널리 사용되었고 현재 국내에서도 항암 대체 치료제로 점차 사용하는 추세이나 그 항암 기전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겨우살이 추출물이 위암에 미치는 영향을 세포주 실험을 통해 규명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위암 세포주는 SNU-719 세포주를 사용하였고 처리한 겨우살이 추출물은 (주)한국 아브노바사로부터 제공받은 ABNOBAviscum-Q와 ABNOBAviscum-F 두 가지를 사용하였다. 겨우살이 추출물과 함께 처리한 항암제는 5-FU와 Cisplatin을 사용하였다. CCK-8 assay kit를 사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고 젖산탈수소효소(LDH) assay kit로써 세포 사멸률을 측정하였다. Caspase 3 assay kit를 이용하여 세포자멸사에 관여하는 caspase 3의 활성 변화를 알아보았고 Western blot analysis를 통해 세포자멸사에 관여하는 Bcl2와 p53, 그리고 항암 작용을 하는 PTEN의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겨우살이 추출물 Q와 F를 각각 단독 처리한 실험군 보다 항암제인 5-FU와 cisplatin을 병합처리 하였을 때 세포생존율은 더 낮아졌다. Caspase 3의 활성은 겨우살이 추출물 및 항암제 5-FU 처리를 함으로써 대조군에 비해 4~6배 까지 증가하였다. Bcl2의 단백질 발현량은 대조군보다 겨우살이 추출물과 항암제 처리를 통해 감소하였고 두 약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경우 더 낮아졌다. p53의 발현은 겨우살이 추출물 처리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고 항암제 처리를 통해서만 증가되었다. 또한 항암 작용을 하는 PTEN의 단백질 발현 정도는 겨우살이 추출물 처리를 통해서 의미 있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 겨우살이 추출물과 항암제인 5-FU 및 cisplatin 등을 병합 처리 할 경우 위암 세포 사멸에 있어 상승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겨우살이 추출물의 항암효과는 caspase 3의 활성화와 Bcl2 발현의 감소를 통해 세포자멸사를 유발하며 이 세포자멸사 유도 기전은 p53과는 상관없음(p53-independent)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Mistletoe extract was widely used for cancer treatment as complementary or alternative therapy in European area from early twenty century. It is currently used as alternative anti-cancer remedy by piecemeal in domestic medical group, however, the anti-cancer mechanism of mistletoe extract was not known precisely until now. In this study the effect of mistletoe extract on gastric cancer was studied vis cell line experiments. Materials and Methods: The SNU719 gastric cancer cell line was used, and ABNOBAviscum-Q and ABNOBAviscum-F were treated to cells as mistletoe extract, or 5-FU and cisplatin were used with mistletoe extract. The cell viability and cell death rate were estimated by CCK-8 assay kit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assay kit in each. Caspase 3 assay kit was used to measure caspase 3 activity. The protein expression amounts of Bcl2, p53, and PTEN were estimated through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The co-treatments of mistletoe extract Q/F and 5-FU/cisplatin decreased lesser cell viability than only mistletoe treat. Caspase 3 activity was increased 4~6 times in co-treatment of mistletoe extracts and 5-FU than control. Bcl2 protein expression was reduced by mistletoe extracts or anti-cancer drugs, further more, the co-treatment of mistletoe extracts and 5-FU/cisplatin diminished more the expression than only mistletoe treatment. Mistletoe extracts did not affect the protein expressions of p53 and PTEN.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the anti-cancer mechanism of mistletoe extracts was made by caspase 3 activation and lowered Bcl2 expression, and this apoptosis inducing mechanism was independent to p53.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