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FF1 유전자의 C/T 다형성과 위암 민감성과의 연관성

An Association of C/T Polymorphism in the TFF1 Gene and the Susceptibility to Gastric Cancer

  • 맹은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송재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성수윤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
  • 박원상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Maeng, Eun Jae (Department of Path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Song, Jae Hwi (Department of Path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Sung, Soo Yoon (Department of Path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Cao, Zhang (Department of Path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Park, Won Sang (Department of Path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투고 : 2008.06.04
  • 심사 : 2008.08.20
  • 발행 : 2009.09.30

초록

목적: TFF1 유전자의 -2bp에 위치하고 있는 단일염기다형성의 유전자형 및 대립형질 빈도와 H. pylori 감염 및 위암발생 민감성과의 연관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위 샘암종으로 근치적 수술을 시행 받은 167명과 정상 건강인 299명의 DNA를 이용하였다. TFF1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의 유전자형은 중합효소연쇄반응 후 제한효소를 이용한 제한 분절길이다형성과 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H. pylori 감염은 Giemsa 염색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정상 건강인의 TFF1 단일염기다형성에 대한 유전자형 및 대립형질의 빈도를 위암 환자군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의의가 없었다(P=0.715 & P=0.595). 위암 환자군을 성별로 나누어 정상 건강인과 비교한 경우에도 통계적 의의를 발견할 수 없었다. 또한, 위암 조직의 조직학적 소견 및 환자 연령과 TFF1 단일염기다형성의 유전자형 및 대립형질 빈도를 조사한 결과, 위암 조직의 조직학적 소견 및 연령은 TFF1 유전자 단일염기다형성과 무관하였다(P=0.088 & P=0.551). 한편, H. pylori 감염은 모두 39예에서 관찰되었는데 TFF1 유전자형과는 통계적으로 연관성이 없었다(P=0.7200). 결론: TFF1 유전자의 -2bp에 존재하는 단일염기다형성은 TFF1 단백의 합성에 큰 영향이 없으며 H. pylori 감염과 위암의 발생과는 무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a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located at position -2 in the Kozak sequence of the TFF1 gene is associated with H. pylori infection and the development of gastric cancer in Koreans. Materials and Methods: We enrolled 167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3 and also 299 healthy controls during the same period. The genotype of the TFF1 SNP was analyz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d 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We also examined the H. pylori infection by Giemsa staining.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llele or the TFF1 SNP genotype frequency was observed between the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nd the control subjects (P=0.595 and P=0.715, respectively). When stratified by the histological subtype of gastric cancer and the age of the patients, the risk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two study groups (P=0.088 and P=0.551, respectively). H. pylori infection was detected in 39 cases and it was not associated with the TFF1 genotype.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is TFF1 gene polymorphism is not associated with H. pylori infection and gastric cancer in Koreans and so it doesn't contribute to the susceptibility to gastric cancer in Korean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