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eraliz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oseung Kaolin in Gaya Area

가야 지역 보성 고령토의 광화작용 및 광물 특성

  • Noh, Jin-Hwan (Department of Ge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In Gaya area, the Boseong kaolin deposits exhibit locally unusual occurrences such as downward enrichment of kaoin minerals, characteristic hydrothermal alterations (illite and stilbite), and phase relations among kaolin minerals in addition to the extensive weathering of anorthositic country rocks. This indicates that the kaolin deposits seem to be genetically formed as a mixed hydrothermal and residual model. The kaolin ores can be divided into five types on the basis of differences in occurrence, mineral composition and characters. These consist of two types of high-grade ores ranging above 80% in grade and low-grade ores as low as less than 80% including feldspar residuals or the peculiar impurity phase of illite-vermiculite-stilbite. Halloysite and kaolinite are mostly coexisted in the Boseong kaolin, and these kaolin minerals exhibit diverse appearances in crystallinity and morphology. Such a diversity in mineral phase and crystallinity seems to be originated from the complexity in genesis. In addition to these diverse characters of the kaolin, its applied-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chemical composition, thermal properties, whiteness, viscosity, and etc. made it disadvantageous in terms of ore quality.

가야 지역 보성 고령토 광상은 전반적인 회장암질 모암의 풍화양상과 더불어 국지적으로 하향 심화되는 고령토 광화양상, 특징적인 열수변질물(일라이트 및 스틸바이트)의 수반, 고령토 광물들의 광물상 관계 등으로 보아 열수변질-풍화잔류 혼성형 기원에 의해서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고령토 광석들은 그 산출상태와 광물조성 및 광물특성의 차이에 의해서 5가지 유형들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2종은 고령토 광물들 함유도가 대개 80% 이상인 고품위 광석형이고, 그 이하의 품위를 갖는 저품위 광석들은 사장석 잔류물을 다량 수반하거나 일라이트-질석-스틸바이트와 같은 독특한 불순물 광물상을 이룬다. 보성 고령토는 고령석과 할로이사이트가 공존하는 고령토 광물상을 보일 뿐만 아니라 그 결정도 및 결정형에 있어서도 다양한 양태를 이룬다. 보성 고령토의 광물상 및 결정상에 있어서의 다양성은 기본적으로 그 생성기원상의 복잡성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같은 다양한 광물상 및 결정도와 더불어 화학적 품질 요건, 열적 특성, 백색도 및 점성도 등과 같은 제반 응용광물학적 특성도 보성 고령토의 품질 기준상 불리한 여건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평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진 (1988) 하동-산청 고령토중의 함청광물 연구. 한국광물학회지, 1, 1-14
  2. 김수진, 정기영, 이수재, 권석기 (1989) 하동-산청지역에서 산출되는 고령토의 광물학적 연구. 한국광물학회지, 2, 11-17
  3. 이상만, 김수진, 정지곤 (1977) 하동-산청지역 점토 광상에 대한 광물학적 및 성인적 연구, 지질학회지. 13, 1-14
  4. 정기영, 김수진 (1990) 산청지역 고령토 광상에서 산출되는 산화철 광물. 한국광물학회지, 3, 79-88
  5. 최승호, 각영일 (1970) 1:5만 구정 지질도폭. 국립지질조사소
  6. Bailey, S.W. (1993) Review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kaolin minerals in Kaolin genesis and utilization. The Clay Minerals Society, 1, 25-42
  7. Bate, T.F., Hildebrand, F.A., and Swineford, A. (1950) Morphology and structure of endellite and halloysite, Amer. Mineral, 35, 463-484
  8. Jeong, J.G. (1982) Petrologic Studies on Anorthositic Rocks in Hadong-Sancheong District, Korea. J.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8, 2, 83-108
  9. Jeong, G.Y. and Kim, S.J. (1989) 7 ${\AA}$ phase in the Sancheong kaolin: 7 ${\AA}$-halloysite or kaolinite?. J. Miner. Soc. Korea, 2, 18-25
  10. Jeong, G.Y. (1992) Mineralogy and genesis of kaolin in the sancheong district,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325p
  11. Murray, H.H. and Keller, D.W. (1993) Kaolins, kaolins, and kaolins in Kaolin genesis and utilization. The Clay Minerals Society, 1, 1-24
  12. Talyor, J.C. (1991) Computer programs for standardless quantitive XRD analysis of minerals using the full powder diffraction profile. Powder Diffraction, 6, 2-9 https://doi.org/10.1017/S0885715600016778
  13. Talyor, J.C. and Matulis, C.E. (1994) A new method for Rietveld clay analysis. Part 1. Use of a universal measured standard profile for Rietveld quantification of smectite. Powder Diffraction, 9, 119-223 https://doi.org/10.1017/S0885715600014093
  14. Talyor, J.C. and Hinczak, I. (2001) Rietveld made easy: A practical guid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method and successful phase quantification. 201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