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Symptoms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Hairdressers

미용업 근로자의 근무특성과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과의 관련성 연구

  • Lee, Hee-Young (Department of Beauty Arts, Seokyeong University) ;
  • Park, Jung-Gyun (Dept. of Environmental Hygiene, Kyung-In Women's College) ;
  • Kim, Jong-In (Incheon Division of Korea Industrial Safety Association) ;
  • Choi, Soon-Young (Korea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 Safety Science)
  • 이혜영 (서경대학교 미용예술학과) ;
  • 박정균 (경인여자대학 환경보건학과) ;
  • 김종인 (대한산업안전협회 인천지회) ;
  • 최순영 (한국환경보건안전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Recently, there are many research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manufacturing industry because of increasing interest of that disorders, but the research is still lacking in the small business and service industry. So we researched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symptoms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disorders by get information of 145 hairdresser about working hour, work record, position and working patter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there are many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hairdressers' neck, shoulder, arm, knee and also clos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symptoms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disorders. Besides, some parts of subjective symptoms have an effect on other parts of body. This information contributes to future reference and a precautionary measure about musculoskeletal disorders for hairdressers.

Keywords

References

  1. 강동묵, 이종태, 강민숙, 박성희, 엄상화, 김성준, 정권원, 손혜숙, 박봉진. 미용업 종사자들의 피부, 호흡기 및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관한 유병률, 대한산업의학회지 1999; 11(3): 385-392
  2. 권현숙, 남철현, 막용억, 이은숙, 양숙희 (2005). 미용사의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지식과 예방행위 수준.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Vol.22 No.4
  3. 권호장, 하미나, 윤덕로, 조수헌, 강대희, 주영수, 백도명, 백남종 (1996). VDT 작업자에서 업무로 인한 정신 사회적 스트레스에 대한 인지가 근골격계 장애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8(2): 570-577
  4. 김영욱, 구정완 (2002). 일부 종합병원 간호사에서 근골격계 자각증상과 관련 요인. 한국의 산업의학, Vol.41 No.3: 131-141
  5. 김양옥, 박종, 류소연, 이철갑 (1997). 전자레인지 조립작업자에서 발생한 경견완증후근의 조사연구(III). 대한산업의학회지, 8(2): 275-282
  6. 김재호, 이종영 (1998). 상선 근무원들의 근골격계 증상 경험률과 관련 요인. 예방의학회지, 31(1): 127-138
  7. 김재영, 최재욱, 김해준 (1999). 자동차조립 작업자들에서 상지 근골격계의 인간공학적 작업평가 결과와 자각증상과의 연관성. 대산산업의학회지, 32(1): 48-59
  8. 김춘일 (1998). 일부 미용업 종사자들의 직책별 오통 유병율과 관련요인. 한양대학교 환경보건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박계열, 백기주, 이중근, 이연수, 노재훈 (1997). VDT 작업자의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9(1): 156-169
  10. 박성희 (1999). 미용실 근무자의 요통 발생 실태 및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수경, 최영진, 문덕환, 전진호, 이종태, 손해숙 (2000). 미용사들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장애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2(3): 395-404
  12. 박정일, 조경환, 이승환 (1989). 여성 국제 전화 교환원들에게 있어서의 경견완장애: 자각적 통증. 대한산업의학회지, 1(2): 141-150
  13. 성낙정, 사공준, 정종학 (2000). 교향악단 연주자의 근골격계 장애와 관련 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2(1): 48-58
  14. 윤철수, 이세훈 (1999). 자동차 관련직종 근로자에서 상지 근골격계 통증 호소율과 관련 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1(4): 439-448
  15. 이복희 (2008). CIT (Critical Incident Technique)분류 방법을 이용한 미용 서비스 만족도에 따른 고객의 재이용 의도. 서경대학교미용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봉주 (1998). 부산지역 미용사들의 건강실태 및 건강행위에 관한 조사.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석사학위논문
  17. 이원진, 이은일, 차철환 (1992). 모 사업장 포장부서 근로자들에서 발생한 수근터널증후군에 대한 조사연구. 예방의학회지, 25(1): 26-33
  18. 임상혁, 이윤근, 조성진, 손정일, 송재철 (1997). 은행창구 업자(VDT 작업자)의 경견완 장애 자각증상 효소율과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9(1): 85-98
  19. 차봉석, 고상백, 장세진, 박창식 (1996). VDT 취급근로자의 신체적 자각증상과 정신 사회적 안녕상태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회지, 8: 403-413
  20. 최원겸 (2005). 간호사의 근골격계 통증 특성.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한경아 (1998). l용사들의 자각증상에 의한 누적외상성 질환. 고신대학교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OSHA) (1997). Nonfatal occupa-tional illness by category of illness, private industry, US Department of Labor. Bureau of Labor Statistics, March, 92-95
  23. Stock L, and Come J. Barbering and Cosmetology in Encyclopaedia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4th ed. Geneva, Intermational Labour Organization, 1998, 100,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