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rehensive model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hospital workers based on ergonomic risk and psychosocial factors

병원근로자의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인간공학적 위험도 및 사회심리적 요인의 영향에 대한 연구 -경로분석 모델을 중심으로-

  • 최순영 (인하대학교 산업공학과) ;
  • 손창원 (인하대학교 산업공학과) ;
  • 허국강 (인하공업전문대학 항공경영과) ;
  • 박동현 (인하대학교 산업공학과)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The psychosocial stress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MSDs) have been one of major health problems for hospital worker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s associated with MSDs and risk factors such as working posture, job stress, psychosocial stress and fatigue. A total number of 655 hospital work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pecifically, REBA was applied for evaluating working posture and a checklist prepared by KOSHA(Kore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was used for symptom survey. A questionnaire from KOSHA was also used for collecting data associated with job stress, psychosocial stress and fatigue. All these data were formulated and modeled by path analysis which was one of major statistical tools in this study. Specifically, path analysis for the data we collected came up with several major findings. The risk scores from working posture based on REBA had indirect effects via fatigue factor(MFS) as well as direct effects on symptom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job stress (KOSS) and psychosocial stress(PWI-SF) had significant effects on symptoms. Specifically, indirect effect of job stress factors via fatigue factors(MFS) had bigger than that of direct effect of job stress on symptom.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아, 문정순 (1994). 종합병원 근무자들의 이직율. 한국산업보건학회지, 33(1): 22- 34
  2. 남미희, 이세훈 (2003). 일개 병원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전략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5(1)1-11
  3. 노동부 (2004).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4. 문희자, 이혜연 (1997).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만족에 관한 연구. 대한심신스트레스학회지, 5(2): 61-77
  5. 박동현, 배성규 (2003).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물리적/심리적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 107-122
  6. 박연희 (2005). 수술실 간호사의 작업관련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관한 연구. 을지의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춘화 (1999). 응급실 간호사의 근무 중 tm트레스와 간호업무 수행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배정이, 서문자 (1989).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9(3): 2 59-272
  9. 양명석 (1993). 간호사들이 근무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관련요인. 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우종민 (2002). 병원종사자의 직업성 스트레스. 인제의학, Vol.23 No.4
  11. 유남순 (2006). 요통군과 비요통군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활동, 작업환경, 신체역학,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도간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이성은 (1992). 병원직원의 건강관리. 대한간호, 31 22-5
  13. 이우천 (1997). 병원근로자들의 직업성 스트레스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유진 (1996). 교대제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적응방법. 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임영신 (1993). 수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직장적응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 32(4): 63-73
  16. 정문희, 이영미 (2007). 중소규모사업장 근로자의 스트레스와 프리젠티즘의 관계. 대한산업의학회지, Vol.19 No.1
  17. 정진주 (2004). 간호사의 건강, 과연 보호되고 있는가?, NURSE zine, 15, (6)16-21
  18. 정현숙 (2004). 간호사의 근골격계 증상에 대한 작업관련 위험요인. 인제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조권환 (2003), 병원종사자의 근골격계질환 증상 유병률과 위험요인.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조현철 (1999). 제 2장 인과관계 모델의 구성원리와 분석사례. LISREL에 의한 구조방정식모델. 서울: 법문사
  21. 한국산업안전공단 (2006). 근골격계부담 작업 유해요인 조사지침
  22. 한국산업안전공단 서울지역본부 (2006). 비제조 업종별 매뉴얼 - 의료업종 -
  23. 한상환 (2000). 업무관련 상지 근골격계 질환에서 직무 스트레스 중심의 위험 요인과 경로 결정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Bongers, P.M., Winter, C.R. & Kompier, M.A., Hildebrandt, V.H. (1993). Psycho social factors at work and musculoskeletal disease. Scand J Work Envir on Health, 19: 297-312 https://doi.org/10.5271/sjweh.1470
  25. Engels, J.A., Beek, A.J. & Gulden, J. W. (1998). A LISREL analysis of work-related risk factors and health complaints in the nursing profession.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Nov;71(8):53 7-42 https://doi.org/10.1007/s004200050320
  26. Jeanne, M.S. (1998). Encyclopedia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In: Ulrich S, edit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back pain in nurses. 4th ed. Geneva, ILO, 9733-9736
  27. Lagerlof, E. & Broberg, E. (1989). Occupational injuries and diseases. In: Brune DK, Elding, C., editors. Occupational hazards in health professions. Boca Raton, CRC Press
  28. NIOSH (1997).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Workplace Factors A Citical Review of Epidemiologic Evidence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Neck, Upper Extremity and Low Back
  29. Punnett, L., Robins, J.M., Wegman, D. H. & Keyserling, W.M. (1985). Soft tissue disorders in the upper limbs of female garment worker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Dec;11(6):417-425 https://doi.org/10.5271/sjweh.2205
  30. William, J. & Laurice, B. (1993). A Critical Incident Stress Debriefing Program For Hospital-Based Health Care Personnel. Health and Social Work 18 2, 149-55
  31. http://www.nso.go.kr/ (2007). 한국의 사회지표: 2007년 한국의 사회지표/ 6. 보건/ 6-26. 의료기관 수
  32. http://www.nso.go.kr/ (2007). 국가통계포털, 의료기관별 의료인력 및 약사분포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