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커뮤니티내 아동생활 현황과 아동친화적 디자인지침에 대한 연구 - 소집단 워크샵 패널 방법을 이용하여 -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Children's Lifestyles and the Design Guidelines for Children-Friendly Residential Community Environments: Using Small Group Workshop Panel Method

  • 정경숙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이연숙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발행 : 2008.12.25

초록

Due to the increasing social participation of women and the decrease in the size of the typical family, childre's environments have become increasingly more important. In fact, children are one of the main groups who use the community environments. However, children as a group have not been considered in the planning of residential neighborhood environments. A child's spiritual,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develops upon their inter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Residential community should therefore be planned in a child-friendly wa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possible criteria for developing design guidelines for Children-friendly residential environments. The principal objective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children's lifestyles in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the exploration of design guidelines for children. In this study, a small group workshop panel method was used. The subjects were 4 panel groups which was consisted of households with children. Each of the panel included 2 consecutive workshops. In this study, a list of valuable criteria for design guidelines was identified. In addition, the current residential community environment was found to be inadequate to accommodate for children's lifestyles and children had different housing needs according to their ages. In conclusion, the design guidelines should be developed to provide children with developmentally appropriate community environm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인적자원부(2005), 보육시설 및 유치원 안전평가 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 김동춘(1993), 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 공간의 실태에 관 한 일연구, 총신대학교 논문집, 12
  3. 대한주택공사(2004), 아동발달을 지원하는 공동주택연구
  4. 민병호(2001), 아동을 위한 주거 단지 계획, 세진사
  5. 신동주(1996), 유치원 실외놀이 환경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8
  6. 신동주(1999), 영유아를 위한 실외놀이환경 구성 지침, 교 육과학사
  7. 신동주.양연임(2003), 유치원의 실외놀이시설 실태 및 교 사와 학부모의 실외놀이 인식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학회집, 7(1), 93-112
  8. 여성가족부(2006), 보육시설 설치 세부기준 마련 및 설치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9. 영등포구 보건소, 보건복지부(2001), 보육시설에서의 안전 사고 예방에 관한 연구
  10. 오혜경(1994), 주택의 아동실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0(7), 91-100
  11. 이연숙(1997), 한국형 어린이집을 위한 실내환경디자인 지 침 개발 연구, 교육과학사
  12. 이연숙.신화경.홍미혜(1997), 거주자특성별 주민공유공 간 요구에 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8(1), 1-12
  13. 이연숙교수연구실(2002), 한국 초등학생의 아동실 사용실 태와 공간환경 현황분석 연구, (주)한샘 산학협동연구
  14. 최경숙(2006), 아동발달 심리학, 교문사
  15. 홍천기(2007), 고령친화적인 아파트 커뮤니티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16. Roberta L. Null, 이연숙교수연구실 편역(1999), 유니버설 디자인, 태림문화사
  17. NAEYC (2002), 'Healty Young Children: A Manual For Program': A manual for programs, Washington, D.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