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혈 단핵세포의 냉동 전.후의 염색체 핵형분석의 실험적 연구

Karyotype analysis of cryopreserved mononuclear cells from cord blood

  • 구기영 (한영한마음아동병원) ;
  • 추미애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지윤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건수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Ku, Ki-Young (Hanyoung Hanmaum Pediatric Clinic) ;
  • Chu, Mi-Ae (Department of Pediatric,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Ji-Yoon (Department of Pediatric,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Kun-Soo (Department of Pediatric,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발행 : 2008.03.01

초록

목 적 : 염색체 검사는 의학의 많은 영역과 혈액종양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세포의 기능을 잘 유지하면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냉동보존(cryopreservation)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미래에 신기술을 적용할 수 있고 회귀연구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대혈에서 분리된 단핵세포의 냉동전과 해동후의 염색체 검사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방 법 : 실험에 대한 동의서를 획득한 제대혈 1례가 검사되었다. Ficoll-Hypaue로 단핵세포를 분리하였고, DMSO 등 냉동보존을 위한 전처리 후 프로그램 냉동기(Cryomed 1010, 미국)로 냉동하여 질소탱크($-196^{\circ}C$)에 3일간 보관하였고, 급속냉동 후 염색체 검사를 시행하였다. 냉동전과 해동후의 염색체 핵형을 분석하였다. 결 과 : 1례의 제대혈은 3군으로 나누어, 냉동 전 배양과정 없던 CB-1군은 염색체 핵형 검사가 판독 불가능하였으며, 냉동 전 3일간 배양 후 냉동보관을 하였던 CB-2와 CB-3군은 냉동전과 해동후의 염색체 핵형이 판독 가능하였고, 서로 일치하였다. 결 론 : 검체의 분포 불균형과 검체 수가 적다는 제한점이 있으나, 제대혈에서 냉동전과 해동후의 염색체 핵형이 일치하는 결과에서 제대혈 단핵세포의 유전적 안정성과 장기간 보관의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ability to perform chromosome analysis of cryopreserved cord blood mononuclear cells is important for future retrospective studies. We compared the karyotypes of cryopreserved cells with cells before cryopreservation. Methods : One cord blood (CB) sample was obtained from normal healthy volunteer. Karyotype analysis was performed before cryopreservation. After mononuclear cell separation with Ficoll-Hypaque, the mononuclear cells were cryopreserved by programmed controlled-rate freezer and then transferred into the liquid nitrogen ($-196^{\circ}C$) for 3 days. After rapid thawing, cytogenetic analysis was performed as the same method for each sample by different conditions. The samples were divided by three groups. The first group was no culture before cryopreservation, the second group was 72 hours culture before cryopreservation, but no 24 hours culture after thawing and the third group was 72 hours culture before cryopreservation and 24 hours culture after thawing. Results : The chromosome analysis was successful in the second and third groups of CB sample. Conclusion : The successful result from CB samples may suggest the usefulness of long-term cryopreservation for retrospective study in various clinical settings including hematologic malignanc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