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erformance of the National Authorization System of Private Qualification

민간자격 국가공인제도의 효과

  • Kim, Hyun-Soo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 Kim, Sang-Ho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 Park, Jong-Su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valuate economic & non-economic performance of the National Authorization System of Private Qualification. After the Private Qualifications had the National Authorization, acquisitors have been helped related to the job-seeking compare to private certification's acquisitors, but promotion and wage of acquisitors were not about economic performance. Non-economic performance was lowed like satisfaction of job and improvement of special competence. However fear of current employment have been relieve throughout national authorization.

민간자격 국가공인제도가 시행된 지 5년이 넘었지만, 동 제도의 효과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러한 현실에서 동 연구는 민간자격 국가공인사업의 전반적 운영현황을 살펴보고, 공인민간자격이 자격취득자에게 미치는 경제적 효과, 경제외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민간자격 공인 후, 자격 취득자의 취업촉진에 다소 긍정적 영향은 있으나, 임금, 승진 등의 경제적 효과는 없었다. 경제외적 효과에 있어서도 고용불안 감소와 같은 심리적 만족은 있으나, 직무수행능력 향상, 인력의 전문성 향상 등과 같은 실질적 부분의 긍정적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감사원(2003). 감사결과처분요구서 -국가 및 민간자 격 관리.운영 실태-, 미간행자료
  2. 국무조정실.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6). 국가자격 시 험기관 실태조사 종합결과, 미간행자료
  3. 김현수(2006). 기업 특성별 자격취득지원 실태와 자 격의 직무효과. 제1회 인적자본기업패널 학술 대회 논문집,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 김현수.박종성(2001). 민간자격 운영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5. 김환식.김한별.박소연(2005). 국가직무능력표준 개 발사업 중간 성과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6. 노동부(2004). 공인민간자격 검정기관 점검 요령
  7.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1996). 신교육체제 수립 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II)
  8. 박종성.김상진.김상호(2005). 민간자격 실태와 정 책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박천수(2006). 목표관리제와 국가인적자원개발정책 의 평가체제 구축. Working Paper 2006-6, 한 국직업능력개발원
  10. 서준호(2004). 민간자격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 Issue Pape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서창교.김주섭.김덕기(2000). 국가기술자격의 효 과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이영현 외(2002).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자격제 도의 방향과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3. 한국소비자보호원(2004). 자격증 교재광고 실태조사
  14.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5). 민간자격 국가공인을 위 한 조사연구사업
  15. 황규희(2006). HRD분야 평가방법론 개발. 제49차 KRIVET Forum 자료,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6. European Commission(1997). Evaluating EU Expenditure Programmes: A Guide
  17. OECD(1996). Assessing and Certifying Occupational Skills and Competencies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18. OECD(1999). Improving Evaluation Practices: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Evaluation and Background Paper
  19. OECD(2000). The Role of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s in promoting Lifelong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