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aling of the Individual Differences to Cognize the Image of the City - Focusing on Seong-Nam-

개인차 척도법을 이용한 도시 이미지 인지 경향 연구 - 성남시를 중심으로 -

  • Byeon, Jae-Sang (Dept. of Environment & Landscape Architecture, Shingu College)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Images of Seong-Nam appears different according to diverse conditions.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cognition by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gender, location, and period when an individual evaluates an urban image.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visualized results from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and Individual Difference Scaling (INDSCAL) with two questionnaires.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Namhan Sansung was ranked as the first symbolic property by citizens in Seong-Nam. Next was Yuldong Park, followed by Bundang Central Park, Seohyun Station including Samsung Plaza, and, finally, Moran Market. This trend also similarly appeared in the selection of preferred places. 2.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rends of choice of symbolic landmarks and preferred places according to age, gender, and period; however,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location. 3. The total image of Seong-Nam was positioned to be separated from images of other districts and landmarks on the image spatial plot by MDS; however, images of the old and new district were plotted close to symbolic landmarks where located around each district. 4. INDSCAL illustrated that men weighted the historical meaning while women weighted preference and city size when evaluating an urban imag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gnitive trends according to age, location, and period. Until now, an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cognition and evaluation of an urban image was a socially accepted notion. However, this study verifie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ed a practical tool to analyze an individual cognition trend about a city image.

성남시는 구 시가지와 신시가지의 입지 특성이나 경제 구조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도시의 이미지가 매우 다르게 나타나는 도시이다. 본 연구에서는 성별, 연령별, 지역별, 기간별로 도시 이미지의 인지 경향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INDSCAL을 이용하여 도시 이미지를 평가하고 인지하는 경향에 대하여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INDSCAL의 유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사전에 각종 통계적인 검증 절차를 실시하여 전반적인 경향의 차이를 입증해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성남시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성남시 전체의 상징물은 남한산성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그 뒤를 이어 율동공원과 분당공원, 서현역, 모란시장 등이 순서대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부분적인 차이만 존재할 뿐, 선호 장소를 선택하는 경향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2. 상징물과 선호 장소의 선택 경향에 대하여 개인차에 근거한 통계적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성별이나 연령별, 기간별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지역별로는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랜드마크를 더욱 강하게 인지하고 있었다. 3. 성남시 전체와 상징물 및 구 시가지, 신시가지에 대한 MDS를 통해, 성남시의 전체적인 이미지가 특이한 포지셔닝 형태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각각의 지역별 이미지는 해당 지역의 상징물과 유사하게 분포되는 특징이 있었다. 한편, 다른 도시와의 이미지 포지셔닝에서는 성남시 전체의 이미지가 구 시가지와 매우 흡사하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신시가지의 이미지는 성남시 전체의 이미지와 매우 상반되어 나타나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4. INDSCAL을 사용하여 개인별로 도시 이미지 평가 경향을 살펴본 결과, 남자와 여자는 도시 이미지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의미나 가중치를 서로 다르게 두고 있었다. 즉, 남자의 경우 역사성에 강한 의미를 부여하는 반면, 여자의 경우는 선호성이나 규모성에 가중치를 두고 도시를 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한편, 연령이나 지역, 기간별로는 도시 이미지를 평가하는 경향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었으며, 강도에서만 부분적으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도시의 이미지 분석기법은 경관계획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개인차에 근거한 도시 이미지인지 경향의 파악은 향후 지속될 관련 연구의 조사항목 및 연구의 방향성 제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막연히 인정되어 왔던 개인차에 근거한 도시 이미지의 인지 경향 차이를 과학적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도시 이미지나 상징이라는 부분을 도시 계획과 설계에 직접 응용할 수 있도록 전환시키는 실용적인 도구를 마련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은, 강준모(2003) 도시 환경에 대한 사후 설계 평가: 서울시 '걷고 싶은 거리'를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2003 춘계학술발표대회: 153-161
  2. 김종구(2001) 가로경관의 선호도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6(6): 251-257
  3. 김종구, 谷村秀彦(2000) 다차원척도법에 의한 가로경관의 평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5(3): 141-151
  4. 류경무, 김영각, 황재훈(2004) 이해집단별 인식차이에 의한 지구단위공간평가. 한국도시설계학회 2004 춘계학술발표대회: 156-168
  5. 매일경제신문(2008) '살기 싫은 도시' 낙인 찍힌 서울. 2008년 6월 2일
  6. 박광배(2000) 다차원척도법. 서울: 교육과학사
  7. 박현주, 백호정, 김홍규(2007) 개인특성이 가로경관 평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7 추계학술발표대회: 725-732
  8. 배현진, 박영기(1999) 피험자 개인특성에 관련된 가로경관 선호도 및 평가의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5(8): 183- 192
  9. 변재상(2000) 이용자 행태를 고려한 대학 캠퍼스 시설배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변재상(2005) 도시 경관 및 이미지 향상을 위한 랜드마크 형성모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변재상(2006) 도시 경관 이미지 분석에서 다차원척도법의 적용. (사)한국조경학회 경관계획연구회 제8차 정기 세미나 자료집 "행정중심복합도시, 활력있는 경관도시"
  12. 변재상(2008) 도시별 이미지 전략 요인의 경향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6(2): 80-98
  13. 변재상, 임승빈, 주신하(2007a) 초고층 랜드마크의 인지거리 및 인지강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서울시 30층 이상 고층건물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5(4): 90-104
  14. 변재상, 정수정, 임승빈(1999) 도시가로경관요소가 시각적 선호에 미치는 복합적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7(2): 9-18
  15. 변재상, 조예지, 최형석, 김송이, 임승빈(2007b) 도시 마케팅을 위한 도시 이미지 관리방안 연구: 도시 이미지 관리 프로그램 도출을 위한 정량적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5(4): 81-89
  16. 변재상, 최형석, 신지훈, 조예지, 김송이, 임승빈(2007c) 도시 이미지에 대한 지구 이미지의 기여수준 분석: 부산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5(1): 59-68
  17. 변재상, 최형석, 신지훈, 조예지, 임승빈(2007d) 도시 이미지 구성요소의 기여수준 분석: 과천시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2(3): 163-177
  18. 변재상, 최형석, 이정원, 임승빈(2006) 도시 이미지에 기초한 도시유형 분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1(3): 7-20
  19.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5) 서울시 이미지에 관한 다차원 분석 연구. 2005년 8월 공개토론회 자료집
  20. 안민호, 박천일(2006) 다차원분석법을 활용한 서울과 8개 주요 도시 이미지 비교 분석 연구. 서울도시연구 7(4): 95-113
  21. 이연숙, 김미희, 오찬옥, 이숙영, 최수현(1990) 아파트 건설업체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집합주거 환경의 평가 및 디자인 개발을 위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6(5): 113-125
  22. 이우상, 정재용(2005) 'Kevin Lynch'의 대학 캠퍼스 주변 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신촌.연세대학교 주변 가로환경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2005 추계학술발표대회: 45-61
  23. 이학식, 임지훈(2006) SPSS 12.0 매뉴얼. 파주: 법문사
  24.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5. 임승빈(2008) 도시경관계획론. 파주: 집문당
  26. 임승빈, 박창석, 김성준(1994) 도시 스카이라인 보존.관리 기법에 관한 연구(II). 한국조경학회지 22(3): 105-120
  27. 임승빈, 변재상(2002) 도시경관관리를 위한 스카이라인 형성기법에 관한 연구: 미국 주요 도시의 스카이라인 형성요인과 기법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6(1): 5-18
  28. 임승빈, 변재상, 박창석(2000) 이용자 행태를 고려한 대학캠퍼스 시설배치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6(12): 55-62
  29. 임승빈, 오규식, 윤인규, 박창석(1993) 도시 스카이라인 보존.관리 기법에 관한 연구(I). 한국조경학회지 21(3): 77-88
  30. 임승빈, 최형석, 변재상(2004) 도시 이미지 분석기법에 관한 연구: MDS에 의한 도시 간 이미지 비교. 한국조경학회지 32(1): 47-56
  31. 정용문, 변재상(2005) 시민의식에 기초한 공주시 도시 이미지 분석: 도시와 랜드마크의 형용사 이미지 포지셔닝. 한국조경학회지 33(3): 18-30
  32. 조대성(1985) 시민주권의 도시계획. 국토계획 제20권
  33. 조홍정, 박춘근(2004) 중소도시 가로경관의 선호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가로공간과 가로변건축물의 계획요소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0(9): 233-244
  34. 주신하(2003) 도시경관 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선정 및 적용 연구: 과천, 약수 지구단위계획 구역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5. 주신하, 임승빈(2003) 도시경관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목록 작성. 한국조경학회지 31(1): 1-10
  36. 최열, 조수영(2004) 시각적 및 정서적 특성과 유사성 차원에 따른 환경적 이미지 분석: 부산대학교 캠퍼스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9(2): 189-202
  37. 홍경구, 안건혁(2003) 하천변 주거지경관에 대한 인지유형별 시각적 영향 요인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8(4): 159- 170
  38. 홍두승(2001) 사회조사분석. 서울: 다산출판사
  39. Appleyard, D.(1976) Planning a Pluralist City. MA: The MIT Press
  40. Bell, S.(2002) Spatial cognition and scale: A child's perspective.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2: 9-27 https://doi.org/10.1006/jevp.2002.0250
  41. Bryant, K. J.(1982) Personality correlates of sense of direction and geographical orient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 1318-1324 https://doi.org/10.1037/0022-3514.43.6.1318
  42. Carr, S. and D. Schissler(1969) The city as a trip: perceptual selection and memory in the view from the road. Environment and Behavior 1: 7-35 https://doi.org/10.1177/001391656900100102
  43. Carroll, J. D. and J. J. Chang(1969) How to use INDSCAL: a computer program for canonical decomposition of n-way tables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multidimensional scaling. NJ: Bell Laboratories, Murray Hill (Unpublished paper)
  44. Cutmore, T. R. H., T. J. Hine, K. J. Maberly, N. M. Langford and G. Hawgood(2000) Cognitive and gender factors influencing navigation in a virtual environment. Int. J. Human-Computer Studies 53: 223- 249 https://doi.org/10.1006/ijhc.2000.0389
  45. Dabbs Jr., J. M., E. L. Chang, R. A. Strong and R. Milun(1998) Spatial ability, navigation strategy, and geographic knowledge among men and women. Evolution and Human Behavior 19: 89-98 https://doi.org/10.1016/S1090-5138(97)00107-4
  46. Devlin, A. S. and J. Bernstein(1997) Interactive wayfinding: map 1. style and effectivenes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7: 99- 110 https://doi.org/10.1006/jevp.1997.0045
  47. Downs, R. M. and D. Stea(1973) Image and Environment: Cognitive Mapping and Spatial Behavior. IL: Aldine
  48. Feimer, N. R.(1981)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cognition in rural context. In A. W. Childs & G. B. Melton(eds.). Rural Psychology. NY: Plenum Press
  49. Golledge, R. G., V. L. Rivizzigno and A. Spector(1976) Learning about a city: analysis by multidimensional scaling. In R. G. Golledge and G. Rushton(Eds.). Spatial Choice and Spactial Behavior:95-116. OH: Ohio State University Press
  50. Gould, P. and R. R. White(1974) Mental Maps. Middlesex, UK: Penguin
  51. Gouteux, S. and E. S. Spelke(2001) Children's use of geometry and landmarks to reorient in an open space. Cognition 81: 119-148 https://doi.org/10.1016/S0010-0277(01)00128-7
  52. Heth, C. D., E. H. Cornel and D. M. Alberts(1997) Differential use of landmarks by 8-and 12-year-old children during route rversal navig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7(3): 199-213 https://doi.org/10.1006/jevp.1997.0057
  53. Jobson, J. D.(1992) Applied Multivariate Data Analysis(I,II). NY: Springer-Verlag
  54. Kitchin, R. M.(1994) Cognitive maps: what are they and why study them?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4: 1-19 https://doi.org/10.1016/S0272-4944(05)80194-X
  55. Kozlowski, L. T. and K. J. Bryant(1977) Sense of direction, spatial orientation, and cognitive map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3: 590-598 https://doi.org/10.1037/0096-1523.3.4.590
  56. Kruskal, J. B.(1964) Multidimensional scaling by optimizing goodness of fit to a nonmetric hypothesis. Psychometrika 29: 1-27 https://doi.org/10.1007/BF02289565
  57. Kutner, M. H., C. J. Nachtsheim and J. Neter(2004) Applied Linear Statistical Models(5th ed.). NY: McGraw-Hill
  58. Lynch, K.(1960) The Image of the City. MA: The MIT Press
  59. Malinowski, J. C. and W. T. Gillespie(2001)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formance on a large-scale, real-world wayfinding task.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1(1): 73-82 https://doi.org/10.1006/jevp.2000.0183
  60. Nasar, J. L.(1998) The Evaluative Image of the City. CA: Sage Publications, Inc
  61. Prestopnik, J. L. and B. R. Ewoldsen(2000) The relations among wayfinding strategy use, sense of direction, sex, familiarity, and wayfinding ability.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0(2): 177- 191 https://doi.org/10.1006/jevp.1999.0160
  62. Ramadier, T. and G. Moser(1998) Social legibility, the cognitive map and urban behaviour.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8: 307- 319 https://doi.org/10.1006/jevp.1998.0099
  63. Sandstrom, N. J., J. Kaufman and S. A. Huettel(1998) Males and females use different distal cues in a virtual environment navigation task. Cognitive Brain Research 6: 351-360 https://doi.org/10.1016/S0926-6410(98)00002-0
  64. Schmitz, S.(1997) Gender-related strategies in environmental development: effects of anxiety on wayfinding in and representation of a three-dimensional maze.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7: 215-228 https://doi.org/10.1006/jevp.1997.0056
  65. Sholl, M. J., J. C. Acacio, R. O. Makar and C. Leon(2000) The relation of sex and sense of direction to spatial orientation in an unfamiliar environ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0(1): 17-28 https://doi.org/10.1006/jevp.1999.0146
  66. Snodgrass, J. and J. A. Russell(1986)Mapping the Mood of a City. Paper Presented at the 21st Congress of Applied Psychology. Jerusalem, Israel
  67. Stea, D.(1969) The measurement of mental maps: an experimental model for studying conceptual spaces. In K. R. Cox and R. G. Golledge(Eds.). Behavioral Problems in Geography: A Symposium. Ecanston IL: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68. Steinitz, C.(1968) Meaning and the congruence of urban form and activity.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34(4): 233- 248 https://doi.org/10.1080/01944366808977812
  69. Young, F. W., R. Lewyckyj(1979) ALSCAL: 4 User's Guide. NC: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Chapel Hill
  70. Zube, E. H., R. O. Brush and J. G. Fabos(1975) Landscape Assessment: Values, Perceptions, and Resources. PA: Dowden, Hutchinson and Ros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