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사적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도시빈민의 형성배경과 주거문화 -한국전쟁 이후 집단이주민촌부터 외환위기 이후 신빈곤층 주거까지-

A Study on the Formation of Urban Squatter in Korea and their Housing Culture from Socio-historical Point of View

  • 김묘정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발행 : 2007.08.25

초록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formation background of urban squatter and their housing state in Korea. This study was progressed on the basis of socio-historical point of view from after the Korean War to the present time.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ed the meaning of housing for urban squatter in the Korean housing history. For this study, the formation background of urban squatter was divided into five periods. The first one was the period of the policy on the mass migration (1955-1960) after the Korean War. The second period was the period of reproduction of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1960-1970) for the continuing mass migration policy. The third was the period of disbanding of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1970-1980) for redevelopment. The forth period was before the IMF (1980-1997) broke up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The fifth period was after the IMF (1997-) produced the new poverty due to the unemployment and the business failure. Thus, such social change increased the number of urban squatter and created the new type urban poor.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동춘 (2000) , IMF이후 한국의 빈곤, 나남출판
  2. 김영석 (1985) , 도시빈민론, 아침
  3. 노병일 . 윤경아(2004), 주거빈곤층의 삶과 터전, 다운샘
  4. 대한주택공사(1993) , 6대도시 주택수요 추정을 위한 조사 연구,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한국주거학회논문집
  5. 대한주택공사 (2004) , 주거환경개선사업의 평가와 과제,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6. 박영기(1973) , 서울시 저소득층 주거환경에 관한 조사연구 -연희지역의 무허가불량주거지역과 시민아파트를 대상으 로, 대한건축학회지 17(55), pp. 25-29
  7. 서울신문, 2005/11/25
  8.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2) , 사진으로 보는 서울 1 :개항 이후 서울의 근대화와 그 시련 (1876-1910) , 서울특별시
  9.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96) , 서울육백년사 제 6권, 서울 특별시
  10. 양귀자, 원미동 사람들 (1987) , 문학과 지성사
  11. 양윤재(1 991) , 저소득층의 주거지 형태 연구; 거대도시 서 울의 또다른 삶터, 열화당
  12. 유의영. 인구이동과 도시화. 한국사회 제 1 권. 서울대학교 인구 및 발전문제 연구소. 1978
  13. 이관구 . 박철만 . 이동배 (2003) , 도시 불량주거지의 건축 물 재료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3(1), pp. 503-506
  14. 장세훈 (2000) , 외환위기 이전 도시빈곤의 추이와 특성, in IMF 이후 한국의 빈곤, 나남출판사
  15. 장세훈 (2003) , 현단계 도시빈곤의 지속과 변모;신빈곤 현상 에 대한 탐색, 한국도시연구소 심포지움, 한국도시연구소, pp. 28-55
  16. 정동익 (1985) , 도시빈민연구, 아침
  17. 조선일보(각년도)
  18. 조세희(1978) ,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문학과 지성사
  19. 조용훈 . 이광노(1988), 서울시 불량주거지 형성배경과 그 성격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4(6), pp. 61-72
  20. 조은 • 조옥라(1 992), 도시빈민의 삶과 공간-사당동 재개발 지역 현장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1. 최원규 (1989) , 도시빈민의 형성과정, 한국사회복지학 제 14 호, pp. 1-18
  22. 한국도시연구소 (2006) , 한국사회의 신빈곤, 한울아가데미
  23. 홍인옥(2002), 지하주거의 실태와 문제점, 도시연구 제 8호, 한국도시연구소, pp. 58-96
  24. 홍준현 (1990) , 합동재개발사업에 관한 사회경제적 평가, 주택도시 제 51호, 주택도시연구원, pp. 202-206
  25. MBC news, 2006년 12월 15일 방송
  26. SBS news, 2006년 1월 18일 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