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사

Search Result 9,48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사회복지사들의 윤리적 갈등 해결창구 개설

  • Jeong, Jong-U
    • Social Workers
    • /
    • no.5 s.49
    • /
    • pp.26-27
    • /
    • 2006
  • 사회복지사들은 현장에서 다양한 상황과 다양한 클라이언트들을 접하면서 종종 윤리적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이러한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출구는 없으며, 동료나 선임사회복지사에게 하소연하는 정도이다. 이에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윤리위원회는 이러한 사회복지사들의 갈등을 함께 고민하고 나누기 위하여 사회복지사 윤리상담창구 개설을 준비하고 있다.

  • PDF

현장탐방-사회복지사들의 새로운 현장, 국회

  •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 Social Workers
    • /
    • no.4 s.48
    • /
    • pp.28-29
    • /
    • 2006
  • 국회 안에서 사회복지사들의 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위풍당당 그녀들. 사회복지사들의 새로운 진출 영역 중에 하나인 국회. 과거에도 물론 사회복지전공자들이 있었겠지만 과거의 사회복지전공자들이 전공과 무관하게 이 길을 택했다면 그녀들은 자신들의 전공을 살린 사회복지사 비서관이라는 것이다. 국회 진출한 사회복지사들의 정확한 수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그녀들은 대략 5명 정도로 파악하고 있다.

  • PDF

아름다운 사람-인천서구보건소 김영란 사회복지사

  • Sim, Myeong-Ju
    • Social Workers
    • /
    • no.4 s.36
    • /
    • pp.18-21
    • /
    • 2005
  • 사회복지사의 새로운 영역 진출이 많은 관심사가 되고 있는 요즘, 사회복지사라는 이름으로 당당히 도전을 위해 새로운 시작을 한 아름다운 사람이 있다. 인천서구보건소에 근무하는 김영란 사회복지사, 그녀는 국내 최초로 보건소 내에 배치된 사회복지사이다. 방문보건사업팀의 한 일원인 그녀는 모든 것이 새롭고, 아무것도 정해지지 않은 길을 가면서 자신의 자리를 만들어가고 있다. 사회복지사라는 것을 삶으로 경험하고 있는 그녀, 오늘도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하고 있는 김영란 사회복지사를 만나보았다.

  • PDF

사회복지사들이 말하는 531 지방선거

  • Park, Yong-Deuk
    • Social Workers
    • /
    • no.5 s.49
    • /
    • pp.4-11
    • /
    • 2006
  • 사회복지계의 정치 참여를 위한 각종 후보자 토론회를 통해 사회복지사 및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정치참여와 각 후보자들의 사회복지 공약에 대한 점검을 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사들의 정치참여에 힘을 실어주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 PDF

무분별한 사회복지사 배출 이대로는 안 된다

  • Park, Yong-Deuk
    • Social Workers
    • /
    • no.6 s.38
    • /
    • pp.18-22
    • /
    • 2005
  • '전 국민의 1인 사회복지사 자격증 시대' 사회복지사 자격증취득과 관련된 각종 스팸메일과 현 자격취득 과정을 고려해 볼 때 아마 이러한 시대가 곧 다가오지 않을까 싶다. 사회보지사의 역할이 가중되는 사회적 흐름상에서 이러한 관심은 긍정적이나, 무분별하게 검증 없는 과정을 통해 쉽게 사회복지사라는 꼬리를 달고 사회 속으로 내던져지고 있다. 자칭 '전문가'로서 인식되어 지기를 바라는 우리 사회복지계의 노력은 점점 무색해지고, 어쩌면 Imitation Social Worker가 우리의 자리를 점점 더 조여 들어 올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런 사회보지사 자격제도의 허점은 거슬러 올라 미흡한 사회복지사업법에서 찾아 볼 수 있고, 하루빨리 법 개정을 시행해야하는 중요한 과제를 안고 있다.

  • PDF

업무의 효율성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사 직무 표준화 작업

  • Yun, Hyeon-Suk
    • Social Workers
    • /
    • no.1 s.33
    • /
    • pp.18-19
    • /
    • 2005
  • 클라이언트의 욕구가 다양화 되어가면서 그에 맞는 사회복지사들의 영역이 확대되어가고 사회복지사의 업무 또한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맞게 다양화, 복잡화, 세분화 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각 영역별 사회복지사의 직무가 특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서 사회복지사들의 업무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로인해 사회복지전문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현장에서 체계적인 접근과 전문지식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사회복지사의 표준업무를 나타내지 못해 사회복지사에 대한 이미지가 전문가보다는 봉사자라는 인식이 대두되고 있으며, 사회복지사의 고유영역들이 침해받는 등의 문제들이 지적되고 있다.

  • PDF

세계 속의 사회복지 둘러보기

  •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 Social Workers
    • /
    • no.11 s.43
    • /
    • pp.36-38
    • /
    • 2005
  • 세계화 시대에 맞게 사회복지도 변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의 사회복지사들 또한 여러모로 노력하고 있다. 그렇다면 다른 나라의 사회복지 기관들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 이번호에서는 우리 사회복지사들이 직접 체험하고 온 후 직접 소개한 각국 분야별 사회복지 기관들은 둘러보는 시간을 가져보자.(이 기사는 삼성사회봉사단과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후원하고 한국사회복지사협회가 주최한 2005 사회복지사 해외연수에 참가한 사회복지사들이 직접 기고해 주셨습니다.)

  • PDF

부부 사회복지사 그들이 궁금하다

  • Park, Suk-Mi
    • Social Workers
    • /
    • no.7 s.51
    • /
    • pp.32-35
    • /
    • 2006
  • 부부 사회복지사들 그들은 어떤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을까? 부부 사회복지사는 이미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다. 학교에서 혹은 같은 기관에서 서로 공감대를 형성하며 업무를 하다보니 자연스레 부부의 연도 생기는듯하다. 월간 Social Worker에서는 이러한 부부 사회복지사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고자 좌담회를 갖기로 하고 복지인마을 홈페이지를 통해 부부 사회복지사들의 신청을 받았다. 짧은 시간동안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주셨고 많은 분들이 개별 신청을 해주셨다. 지난 6월 29일 총 4팀의 부부 사회복지사가 여의도의 한 패밀리레스토랑에서 자리를 함께하였다. 2시간여의 좌담 시간동안 시종일관 이야기가 끊이지 않았다.

  • PDF

People-김선옥 사회복지사

  • Lee, Yeong-Suk
    • Social Workers
    • /
    • no.7 s.39
    • /
    • pp.22-24
    • /
    • 2005
  • 사회복지 분야도 문학과 예술을 결합시키면 훨씬 완성도 높은 복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음을 누누이 강조했다. 또한 사회복지사들이 각자의 분야에서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자기개발을 꾸준히 할 때만이 사회복지사라는 위상과 권위를 인정받을 수 있다며, 사회복지사들의 비전과 꿈은 스스로의 노력에서 가능함을 역설했다.

  • PDF

사회복지사의 인권침해 및 불이익 영향요인 연구: 인천광역시 사회복지사 사례 분석

  • Gwon, Hyeon-Jin;Lee, Yong-Gap
    • Korean Journal of Social Issues
    • /
    • v.18 no.1
    • /
    • pp.57-81
    • /
    • 2017
  • 이 연구는 인천광역시 소재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274명을 대상으로 2015년 5월 및 7월에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중 사회복지사들이 겪은 인권침해와 불이익 경험 여부 및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는 인권침해는 상사나 동료 및 클라이언트의 폭언, 폭력, 성희롱의 경험으로, 불이익은 임금과 수당, 복리후생, 기관운영에서의 차별로 구분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이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여성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기혼자일수록, 고용형태가 비정규직일수록, 근로시간은 길수록 인권침해와 불이익을 경험하게 되는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대학원 이상의 학력 소지 사회복지사의 경우 불이익 경험 보다 인권침해 경험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은 인권침해 경험에도 불구하고 직장 내에서 이를 문제로 제기한 경우는 10.3%에 불과한 것도 확인하였다. 전국 및 기초지자체 차원에서 사회복지사의 근로환경과 인권침해에 관한 조사연구가 있는 상황에서, 처음으로 광역지자체차원에서 이를 분석한 이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인권침해와 불이익의 예방과 피해구제를 위한 적극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