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valuation of Safe Yield Considered Interference Drawdown between Hot Spring Wells at Yecheon Hot Spring Area

예천온천지구내 온천공간 수위간섭을 고려한 적정양수량 평가

  • Lee, Chol-Woo (Geothermal Resources Group,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이철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열자원연구실)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ere exist 5 wells drilled at the Yecheon hot spring area, the distance between the wells is about $159m{\sim}702.6m$. The safe yield of each well is controlled by interference drawdown between a pumping well and an observation well after pumping test. The well No. 2 and the well No. 5 are the closest, at the distance of 159 m; therefore interference drawdown between two wells was occurred considerably. The drawdown of the well No. 2 (an observation well) was 16.67 m; the drawdown of the well No. 5 (a pumping well) was 17.21 m. The degree of the interference is about 97% and the safe yield decreased from $750m^3/day\;to\;24m^3/day$. Significant interference between two well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aquifer has 1.5 dimensions.

예천온천지구에는 5개 온천공이 개발되어 있으며, 온천공들간의 거리는 약 $159.0m{\sim}702.6m$정도이다. 온천조사시 적정양수량 평가에 있어서는 각 공에 대한 적정양수량을 평가한 후 온천공간 수위간섭을 고려하여 적정양수량을 조절하도록 되어있다. 2호공과 5호공의 공간 거리는 약 159 m로서 5개 공중 가장 가깝게 위치하고 있으며, 양수시험시 이들간의 수위간섭 현상도 매우 크게 발생하였다. 5호공에서 3일간 양수시 5호공 자체의 수위강하는 17.21 m 이었으며, 2호공의 수위강하 역시 16.67 m로 두 공간에는 약 0.54 m 정도의 차이만을 보였다. 따라서 온천공간 영향의 정도는 약 97%로 매우 높았으며, 적정양수량도 당초 $750m^3/day$에서 $24m^3/day$로 감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두 공간에 영향이 심한 원인은 대수층이 1.5차원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철우, 이종철, 염병우, 성기성, 1996, 예천(관현)지구 온천공조사 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96-17(No. 217), p. 59
  2. 임정웅, 문상호, 이철우, 최성자, 임현철, 염병우, 이종철, 김형찬, 성기성, 1998, 예천(관현)지구 온천자원 평가 조사 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98-2(No. 260), p. 188
  3. 이철우, 이종철, 성기성, 김용제, 조용찬, 김구영, 2003, 예천온천지구 4호공 자원평가조사 보고서, 2003-1(No. 309), p. 68
  4. 이철우, 이종철, 민충기, 김용제, 성기성, 조용찬, 김구영, 2004, 예천온천지구 온천자원 평가조사 보고서, 2004- 2(No. 316), p. 102
  5. 이철우, 문상호, 김형찬, 2006, 온천공에 대한 일일 적정 양수량 및 영향평가,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Vol. 11, No. 4, pp. 41-47
  6. 행정자치부, 2003, 온천업무처리지침(추가), 행정자치부 지역진흥과, p. 57
  7. 이철우, 이대하, 정지곤, 김구영, 김용제, 2002, 양수시험시 방사상흐름을 보이는 균열암반 대수층에서의 우물 손실,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Vol. 7, No. 4, pp. 17-23
  8. Cooper, H. H. and Jacob, C. E., 1946, A generalized graphical method for evaluating formation constants and summarizing well field history, Am. Geophys. Union, 27, pp. 526-534 https://doi.org/10.1029/TR027i004p00526
  9. Labadie, J. W. and Helweg, O. J., 1975, Step drawdown test analysis by computer, Ground Water, 13(5), pp. 438-444 https://doi.org/10.1111/j.1745-6584.1975.tb03611.x
  10. Theis, C. V., 1935, The relation between the lowering of the piezometric surface and rate and duration of discharge of a well using groundwater storage. Trans. Amer. Geophys. Union, v. 2, p. 519-524
  11. Barker, J. A., 1988, 'A Generalized Radial Flow Model for Hydraulic Tests in Fractured Rock', Water Resource Research, vol. 24. no. 10. p. 1796-1804 https://doi.org/10.1029/WR024i010p017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