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 Information Distribution and Group Discussion Useful for the Deliberative Poll in Korea?

공론조사의 숙의 유도 방법 : 한국 상황에서의 문제점 검토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problems in applying the deliberative polling method within the Korean cultural context. The deliberative polling method uses information distribution and group discussion to encourage the poll participants to be informed on and deliberate the issues, so that they may express their elaborate informed opinions when surveyed after discussion. One of the criticisms is that having all the poll participants assemble in one location may result in lower level of poll participation and accordingly a less representative sample. Also, the assumption that group discussion will bring about deliberation has not been tested. Some research suggests that in certain Asian cultures, group discussion is not widely used for conflict resolution or consensus building. Thus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mere utilization of a group discussion method does not necessarily imply that the participants have actually deliberated the issues. A telephone survey of one thousand Koreans over the age of 20 was conducted.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group discussion is not a common way to discuss controversial issues in Korea, and would contribute to a low participation rate. It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at alternative deliberation methods need to be developed.

본 연구는 공론조사(deliberative poll)에서 숙의(deliberation)를 유도하는 방법의 문제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공론조사의 문제점으로는 대표성 저하 문제가 주로 지적되어 왔고 공론조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숙의 방법에 대한 문제 제기는 거의 없었다. 즉 피시킨이 제안한 공론조사는 전문가 강연 및 인위적인 집단토론 방법을 이용했는데, 최근 이루어진 공론조사들은 이것을 의심의 여지없이 수용해 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론조사의 숙의 방법 자체에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했다. 특히 숙의 유도 방법으로서 전문가 강연 및 토론 등의 전통적인 방법이 한국 상황에서도 적합할지에 의문을 제기해 보았다. 본 연구를 위채 2006년 2월 전국 1,000명을 대상으로 유선전화를 이용한 '생명과학 인식에 대한 전국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숙의 유도의 주요 방법인 집단토론은 보편성이 떨어지고, 표본의 대표성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 공론조사가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인위적인 토론 과정에의 참가만을 판단하여 숙의가 이뤄졌다고 단정하기보다는 자연적인 숙의를 유발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