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논에서 적응성이 우수한 Vetch류 품종 선발

Selection of Promising Vetch Cultivars on Paddy Field

  • 발행 : 2007.09.30

초록

본 시험은 우리나라에 도입된 벳치류를 나주지역과 천안지방에서 재배하여 수량 및 생육특성 조사를 통하여 월동성이 높은 품종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4년부터 2006까지 축산과학원과 전라남도농업기술원 답리작 포장에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주지역에서, 개화기는 자운영이 가장 빨랐으며 Sander2 품종이 5월 20일로 가장 늦었다. 평균 건물함량은 21.7%로 낮게 나타났다. 벳치류의 생산성은 월동성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Oregon com. 품종의 건물 수량이 5,406 kg/ha로 가장 높았으며 Ostsaat 품종은 4,882 kg/ha를 보여 생산성이 떨어졌다. 두 번째 천안지역에서, 개화기는 자운영이 가장 빨랐으며 Sander2 품종이 5월 25일로 가장 늦었다. 평균 건물함량은 16.9%로 낮게 나타났다. 벳치류의 생산성은 월동성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Welta과 Ostsaat 품종의 건물 수량이 각각 2,173 kg/ha과 1,883 kg/ha로 높았으며 VV4712 품종은 1,079 kg/ha를 보여 생산성이 떨어졌다. 그리고 나주지역과 천안지역에서 재배되었던 벳치류의 조단백질 함량은 평균 11.5%를 나타내었으며 Sander2 품종이 14.4%로 높았고 자운영의 경우는 19.30%로 가장 높았다. ADF, NDF 그리고 TDN 함량은 평균 26.8%, 42.2% 그리고 67.8% 이었다. 따라서 벳치류 도입은 월동성에 따른 생산성의 차이가 많아 우선적으로 월동성이 고려된 후에 벳치류의 도입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in induced vetch cultivars at paddy field of Cheona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and Naju (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from 2004 to 2006. The vetch cultivars used in this study were 6 varieties ('VV4712', 'Welta', 'Penn-02', 'Ostsaat', 'Oregon com.', 'Sander 2'). At the Naju region, the most fast flowering date variety was Chinese milk vetch, Sander 2 was very late as 20th May. The average dry matter (DM) content was 21.7%. Vetch cultivars were severely different. 'Oregon com.' showed the highest DM yield by 5,406 kg/ha but the DM yield of 'Ostsaat' was low by 4,852 kg/ha. At the Cheonan region, the most fast flowering date variety was Korean milk vetch, Sander 2 was very late as 25th May. The average dry matter (DM) content was 16.9%. Vetch cultivars were severely different. 'Welta' and 'Ostsaat' showed the highest DM yield by 2,173 kg/ha and 1,883 kg/ha respectively, but the DM yield of 'VV4712' was low by 1,079 kg/ha. Crude protein (CP) content of vetch was 11.5%. 'Sander 2' showed the highest CP content by 14.4% and Chinese milk vetch showed the highest content by 19.3%. Average acid detergent fiber (AD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content were 26.8%, 42.2% and 67.5%,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s indicated that the productivity of vetch cultivar varied from winter hardness, therefore we will consider the winter hardness as main factor when induce vetch cultivars.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Oregon com.' at the Naju region and 'Welta' and 'Ostsaat' at the Cheonan region would be recommendable for fall sown 'vetch' for dry matter produc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OAC, Arlington, Virginia
  2. Barnes, R.F., D.A. Miller and C.J. Nelson. 1995. Forage : Vol. I An introduction to grassland agriculture. 5th ed. Iowa State University Press. Iowa
  3. Clark, A.J., A.M. Decker, J.J. Meisinger, F.R. Mulford and M.S. McIntosh. 1995. Hairy vetch kill date effects on soil water corn production systems. Agron. J. 87:579-585 https://doi.org/10.2134/agronj1995.00021962008700030031x
  4.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ic. Handb. 379, U. S. Gov. Print. Office, Washington, DC
  5. Moore, J. E. 1970. Procedure for the two-stage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University of Florida,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6. SAS institute, Inc. 1999. SAS user's guide Statistics. SAS Inst., In, Cary, NC
  7. Tilley, J.M.A. and R.A. Terry. 1963. A two-stage technique for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crops. J. Bri. Grassl. Soc. 18:119-128 https://doi.org/10.1111/j.1365-2494.1963.tb00337.x
  8. 김원호. 1994. 작물의 잔주와 그 관리가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장,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9. 김종근, 정의수, 임영철, 서 성, 김맹중, 김종덕. 2004. 도입베치의 품종에 따른 생육특성 및 생산성 비교 연구. 한초지 24(2):177-182
  10. 김종근, 윤세형, 정의수, 임영철, 서 성, 서종호, 김시주. 2002b. 파종방법 및 혼파비율이 호밀-헤어리베치 혼파시 사료가치 및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2(4):223-240
  11. 김종근, 정의수, 윤세형, 서 성, 서종호, 박근제, 김충국. 2002c. 연맥-헤어 리베치 혼파에 의한 사료가치 및 생산성 향상연구. 한국초지학회지. 22(1):31-36
  12. 서종호, 이호진, 허일봉, 김시주, 김충국, 조현숙. 2000. 동계 녹비작물 초종별 화학성분 및 생산성 비교. 한초지 20(3):193-198
  13. 서종호, 이호진, 허일봉, 김시주. 2001. 헤어리벳치의 추파시기에 따른 녹비의 수량 및 질소량의 변화. 한국작물학회지 45(6):400-404
  14. 신정남, 김동암, 고기환, 김용원. 2000. 도입 베치 품종 및 한국 야생종의 생육특성과 수량. 한국초지학회지 20(4):251-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