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mpirical Analysis on Cultural Industry Demand in Chung-Buk Province

충북 문화산업 수요의 실증적 분석

  • Published : 2007.10.28

Abstract

It is expected that demand for cultural industry will be increased rapidly with economic growth. But it is doubtful how much desire of demander to be fulfilled. Because cultural products have public goods characteristics and they are supplied by government. Therefore this paper analysed deterministic factors of cultural demands in Chung-buk province, and suggested criteria of cultural products, which is supplied by regional government. For these purposes, we analysed three topics, first, deterministic factors of demander's satisfaction, second deterministic factors of cultural demand type, which are classified by type of participants and spectators, third deterministic factors of leisure type, which are classified by goods intensive leisure and time intensive leisure, and we analysed these through econometric methods. And we tried to suggest optimal criteria for cultural products supply by regional government, which needs of demanders are fully fulfilled.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문화산업에 대한 수요는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문화상품이 공공재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정부가 공급한다는 점에서, 얼마나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킬지가 의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충북에서의 문화수요의 결정요인 분석을 통하여 향후 지방정부가 문화산업을 공급하는데 있어서 준거를 제시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수요자의 문화산업의 포괄적 만족도 결정요인, 문화산업 유형의 결정요인에서 참여형과 관람형 문화산업 중 어떤 유형을 결정할 것인가, 여가수요에서 재화집약적 여가수요 및 시간집약적 여가수요의 결정요인을 계량경제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지방정부가 최적의 문화상품을 공급하기 위하여 수요자의 필요를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