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Style and Commitment between Retailers and Suppliers on Relationship Performance

소매-공급업체간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결속이 관계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연승 (이노션 월드와이드 브랜드전략팀) ;
  • 오세조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 Published : 2007.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relationship between the headquarters and the sales offices of a car manufacturing company by comparing their channel types. It examines how the level of communication and commitment of sales offices on their headquarters differently affects some mediating effects between participation and relationship performance. It also tries to find out what kind of mechanisms are needed in order to improve the relationship. Through the data analysis of a total of 200 sales offices which are directly managed stores and agency stores by a domestic car manufacturing compan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Participation, one of the variables in bureaucratic structuring, influences all dimensions of communication. Also, it has found that communication dimensions influence commitment dimensions differently by the type of channels, and commitment dimensions influence relationship performance by the type of channels. Recently, import car makers are accelerating their moves in the domestic market, and the importance of a customer-oriented retail innovation and a relationship management in an auto manufacturing industry is increasing. This study will give an useful suggestion on how to improve a long term relationship of distributors through an enhancement of communication and commitment.

본 연구는 자동차 본사와 판매영업점 간의 관계성을 직영점과 대리점의 양대 채널을 비교대상으로 하여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동차 본사에 대한 판매영업점의 커뮤니케이션 차원과 결속 차원이 본사의 참여화와 판매영업점의 관계성과 사이에서 어떻게 상이한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판매영업점의 관계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떠한 메커니즘이 필요한지를 밝혀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 한 자동차 제조업체의 직영점과 대리점 총 200개를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한 결과, 관료적 구조화 변수 중 하나인 참여화는 커뮤니케이션 차원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커뮤니케이션 차원은 결속 차원에 채널형태에 따라 상이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결속 차원은 관계성과에 채널형태에 따라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처럼 수입자동차 업체들의 국내시장 공략이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직영점과 대리점에 대해 고객지향적 유통혁신과 관계관리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는 자동차 제조업체에게 커뮤니케이션과 결속 수준의 적절한 향상을 통해서 영업점의 관계성과를 제고하고 장기적 관계 형성을 위해 어떠한 관리적 노력이 필요한 지에 대한 좋은 단서를 제공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