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Mathematical Thinking and Experimental Recognition in using of Technology - Focused on Unit of Geometry at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

데크놀로지 활용수업에서 경험적 인식과 수학적 사고에 관한 연구 - 중학교 3학년 기하 단원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Students have a hard time with a formal proof, which is one of most important part in mathematics education. They were taught the proof with algebraic visual materials using technology and specialized visual materials. But, they experienced the difficulty in justifying due to the lack of experimental recognition with the representation using technology. The specialized visual materials limited the extension of mathematics thinking of students because it worked only for the case that is fixed. In order to solve this type of problem, we made algebraic visual materials for 9th graders using technology and generalized visual materials so that students experience for themselves to help them to experience experimental justification, thus we recognized that they were improved in enhancing mathematical thinking.

수학에서 중요한 부분인 증명을 학생들은 어려워한다. 증명을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대수적 시각화 자료와 특수화된 시각화 자료를 만들어 지도하였다. 그러나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대수적 시각화 자료의 표현상 오류에 의하여, 학생들이 경험적 인식을 가지지 못하여 경험적 정당화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특수화된 시각화 자료는 고정된 경우에만 성립하기 때문에 수학적 사고의 확장을 제한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자체 제작한 중학교 3학년 기하단원의 기하적 시각화 자료와 일반화된 시각화 자료를 통해 학생들에게 경험적 인식을 심어주어 경험적 정당화를 시켰으며, 수학적 사고의 향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