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d Problem with Figures Solving Ability and Error of Boys and Girls - with middle school 3rd grade students -

남녀학생들의 도형 문장제 해결 오류 및 해결력에 대한 비교 분석 - 중학교 3학년 대상으로 -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errors students made in solving word problems with figures and to compare the problem-solving abilities of boys and girls for each type of word problems with figures. It's basically meant to provide information o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about world problems with figures that were given the greatest weight among different sorts of word problem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e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boys and girls in the types of error they made. Both groups made the most errors due to a poor understanding of sentences, and they made the least errors of making the wrong expression. And the students who gave no answers outnumbered those who made errors. Second, as for problem-solving ability, the boys outperformed the girls in problem solving except variable problems. There was the greatest gap between the two in solving combining problems. Third, they made the average or higher achievement in solving the types of problems that were included much in the textbooks, and made the least achievement in relation to the types of problems that were handled least often in the textbooks.

본 연구에는 여러 가지 유형의 문장제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도형 문장제에 집중하여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법을 마련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형 문장제 해결과정에서 학생들이 범하는 오류를 조사하고, 남녀학생 사이의 문장제 유형별 문제해결 능력을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오류 유형의 남녀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남녀학생 모두 '구문에 대한 이해 부족'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적절하지 않은 식 세우기' 오류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둘째, 남녀학생의 문장제 해결 능력에 있어서는 변화 문제만을 제외하고는 모두 남학생이 우세하였으며, 결합형 문제에서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교과서에 많이 분포한 문제 유형은 평균 이상의 성취도를 나타냈으며, 가장 적게 분포한 문제 유형이 가장 낮은 성취도를 나타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