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Triangle Determination and Congruence

삼각형의 결정과 합동의 분석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treatise is to suggest the solutions as follows for the errors concerning the triangle determination and congruence in every Korean mathematics textbook for 7th graders: showing that SsA, along with SSS, SAS, ASA, should also be included as the condition for triangle determination, congruence and similarity; proving that contrary to what has been believed, minimality applies only to congruence and similarity but not to determination; examining related Euclidean propositions; discussing the confus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determination and congruence; and considering the negative effects of giving definite figures in construction education. The secondary purpose is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triangle determinant that is not dealt with in either Euclid's Elements or the text books in the U.S. or Japan, and suggest a way to effectively deal with triangle determination and congruence in education.

중학수학 7-나에서 삼각형의 결정조건은 '세 변이 주어질 때', '두 변과 끼인 각이 주어질 때', '한 변과 그 양끝 각이 주어질 때'로 기술하고 있다. 합동 닮음조건도 세 조건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두 선분과 긴 선분의 대각이 주어질 때'도 삼각형의 결정조건에, 대응하는 두 변과 긴 변의 대각이 같을 때'는 합동조건과 닮음조건에 포함될 수 있음을 밝히며, 최소필수성은 삼각형의 결정조건에 있다고 보기 어렵고 합동조건에만 존재한다는 것, 유클리드 기하를 통한 삼각형 결정 합동조건의 명제탐구 및 결정 합동조건을 동일시하는 개념 혼동에 의한 문제점, 삼각형 결정을 위한 작도학습에 있어서 각과 길이의 수치화로 인한 부정적 영향에 관하여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미국과 일본 등의 교과서에서는 다루지 않으며, 유클리드 기하에도 없는 결정조건의 학습 효과에 대한 논의와 중학 수학 7-나의 삼각형의 결정 합동부분에 있어 학생들의 탐구력과 창의성 향상을 위한 학습 방향을 제안하는 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