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삼각형의 결정조건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nalysis on Discussion about 'Condition of Triangle-Determining' (삼각형의 결정조건'에 대한 논의의 분석)

  • Yong Park, Sun;il Kwon, Seok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4 no.4
    • /
    • pp.435-447
    • /
    • 2004
  • There are divergent opinions about condition of triangle-determ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ose opinions and to identify cause of this phenomena. As a result of our study, we got to find out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proposition related to condition of triangle-determining. These aspects shows what cause of that phenomena is. First, that proposition is used as a theortical tool, not as a practical one. Second, that proposition presupposes that a triangle exists. Third, that proposition is connected with minimality and generality. However, our analysis is for teacher, not for student. Thus, we suggest a guiding principle as well as a guiding method in relation to teaching of that proposition.

  • PDF

Didactical Analysis on Triangle-Determining Conditions and Triangle-Congruence Conditions (삼각형의 결정조건과 합동조건에 대한 교수학적 분석)

  • Yim Jaehoo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5 no.2
    • /
    • pp.131-145
    • /
    • 2005
  •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didactically on triangle-determining conditions and triangle-congruence condi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s: Firstly, man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have insufficient understanding or misunderstanding on triangle-determining conditions and triangle-congruence conditions. Secondly, the term segment instead of edge may show well the concern of triangle-determining conditions. Thirdly, when students learn the method of finding six elements of triangle using the law of sines and cosines in high school, they should be given the opportunity to reflect the rela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riangle-determining situation and the situation of finding six elements of triangle. Fourthly, accepting some conditions like SSA-obtuse as a triangle-determining condition or not is not just a logical problem. It depends on the specific contexts investigating triangle-determining conditions. Fifthly, textbooks and classroom teaching need to guide students to discover triangle-deter-mining conditions in the process of inquiry from SSS, SSA, SAS, SAA, ASS, ASA, AAS, AAA to SSS, SAS, ASA, SAA. Sixthly, it is necessary to have students know the significance of 'correspondence' in congruence conditions. Finally, there are some problems of using the term 'correspondent' in describing triangle-congruence conditions.

  • PDF

Analysis on Triangle Determination and Congruence (삼각형의 결정과 합동의 분석)

  • Kim, Su-Hyun;Choi, Yoon-Sang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0 no.3
    • /
    • pp.341-351
    • /
    • 2007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treatise is to suggest the solutions as follows for the errors concerning the triangle determination and congruence in every Korean mathematics textbook for 7th graders: showing that SsA, along with SSS, SAS, ASA, should also be included as the condition for triangle determination, congruence and similarity; proving that contrary to what has been believed, minimality applies only to congruence and similarity but not to determination; examining related Euclidean propositions; discussing the confus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determination and congruence; and considering the negative effects of giving definite figures in construction education. The secondary purpose is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triangle determinant that is not dealt with in either Euclid's Elements or the text books in the U.S. or Japan, and suggest a way to effectively deal with triangle determination and congruence in education.

  • PDF

A Comparative Study on Contents Related with 'Congruence of Triangles' of Korean and Russian Mathematics Textbooks (한국과 러시아의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삼각형의 합동'에 관련된 학습내용의 비교 연구)

  • Han, In-Ki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8 no.1
    • /
    • pp.89-100
    • /
    • 2005
  • This study is to compare contents of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and Russia laying stress on topic 'congruence of triangles'. We analyze and compare contents description system, relation between congruent conditions of triangles and construction problem, and jestification methods of congruent conditions of triangles in Korean and Russian mathematics textbooks.

  • PDF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riangle Congruence Conditions (삼각형의 합동조건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와 개선 방안)

  • Rim, Haekyung
    • School Mathematics
    • /
    • v.16 no.2
    • /
    • pp.219-236
    • /
    • 2014
  • We recognized that most teachers are having insufficient understanding or misunderstanding about congruent conditions of triangle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achers's understanding about congruent conditions of triangles and to find the causes of teachers's misunderstanding. Most teachers have been misunderstanding that triangle determining- conditions are only 3 ways(SSS, SAS, ASA). And they have wrong confidence that 2 sides and a non included angle(ASS) is not always able to make one triangle. This study found that these teachers's misconception was from the textbook using now.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suggested 7 improvement ways about planning of curriculum, writing of textbook and teacher training course.

  • PDF

A critical review on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revised in 2011 focused on geometry (2011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비판적 고찰: 기하 영역을 중심으로)

  • Park, Kyo-Sik;Kwon, Seok-Il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2 no.2
    • /
    • pp.261-275
    • /
    • 2012
  • There are some geometry achievement standards presented indistinctly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revised in 2011. In this study, indistinctness of some geometric topics presented indistinctly such as symbol $\overline{AB}{\perp}\overline{CD}$ simple construction, properties of congruent plane figures, solid of revolution, determination condition of the triangle, justification, center of similarity, position of similarity, middle point connection theorem in triangle, Pythagorean theorem, properties of inscribed angle are discussed. The following three agenda is suggested as conclusions for the development of next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First is a resolving unclarity of curriculum. Second is an issuing an authoritative commentary for mathematics curriculum. Third is a developing curriculum based on the accumulation of sufficient researches.

  • PDF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application methodologies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수자원 계획수립을 위한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의 적용 방안)

  • Chung, Eu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27-227
    • /
    • 2012
  • 본 연구는 수자원계획 문제에서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적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두 가지 문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첫 번째는 다기준 의사결정기법 선택의 차이가 결과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제시하였고 두 번째는 평가기준에 대한 가중치와 대안들의 평가치에 대한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는 절차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 문제를 위해 가중합계법, Compromise Programming, 계층화분석과정, 수정된 계층화 분석과정, 가중곱방법, TOPSIS, ELECTRE-2, Regime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최근 사용빈도가 높은 삼각형 Fuzzy 숫자와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결합한 기법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는데 Fuzzy WSM, Fuzzy 계층화분석과정, Fuzzy 수정 계층화분석과정, Fuzzy TOPSIS, Fuzzy Compromise Programming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평가기준에 대한 가중치 조건과 표준화 방법이 동일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조금씩 다른 순위를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MCDM 기법들을 적용해도 동일한 순위로 나타나는 대안들이 있었다. 따라서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사용한 수자원 관리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다양한 분석기법을 활용해서 기법의 선택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최소화해야 한다. 두 번째 문제는 평가기준에 대한 가중치와 대안의 효과 정량화 자료의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해 각각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유량확보와 수질개선을 위한 수자원 계획 수립을 위해 가중합계법을 이용한 문제에 두 경우의 민감도 분석을 모두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결정계수와 민감도 계수를 산정하여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수자원 관리 및 계획 분야에서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적용할 때 사용될 수 있는 기초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Axial Flow Pump Design with Double-Circular-Arc Blade Profile (이중원호익형을 이용한 축류펌프의 설계)

  • 오재민;정명균;팽기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2.04a
    • /
    • pp.27-27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상용코드 FLUENT를 통한 수치모사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한 이중 원호익형의 성능상관식을 축류펌프의 설계에 적용하여 보았다. 일반적으로 익형의 설계는 크게 두 단계를 거치게 된다. 먼저 반경방향의 평형과 설계조건을 만족하는 임펠러와 디퓨저의 입구와 출구의 속도 삼각형을 얻고, 다음으로 적당한 익형을 선택하여 기하학적 형상을 결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 PDF

Fuzzy Controlfor An Electro-Hydrautic Servo System (전기 유압 서어보 시스템의 퍼지제어)

  • 주해호;이재원;장우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3.10a
    • /
    • pp.533-538
    • /
    • 1993
  • 본 논문에서는 퍼지제어 이론을 적용한 전지 유압 속도제어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최적의 퍼지 추론법을 유도하기 위해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최적의 샘플링 시간, A/D 및 D/A 변환기의 비트수를 결정하였고, 퍼지 입출력 변수의 형태, 퍼지 관계 행렬의 크기, 비퍼지화 방법 등을 시뮬레이션화하여 최적의 제어조건을 결정하였다, 전기유압 서어보 시스템에 적합한 퍼지 알고리즘은 Lsrsen 추론법, 비퍼지화 방법으로는 무게중심ㅂ버, 9*9 퍼지관계 행렬, 등간격의 삼각형 입출력 변수, 오차의 퍼지집합 및 오차 변화분의 퍼지집합이 각각 40과 5 일때 제어가 가장 잘 되었다. PID 제어방법과 비교할 때 퍼지제어가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시스템의 등록성이 변할 때도 퍼지제어가 PID 제어 보다 적응이 잘 됨을 확인하였다.

  • PDF

2D Numerical Simulations for Shallow-water Flows in the Channel with a Side Weir (측면 위어가 있는 수로의 천수 흐름에 대한 2차원 수치모의)

  • Hwang, Se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37-337
    • /
    • 2015
  • 홍수 저감, 생태계 복원, 위락 등 다양한 목적의 충족을 위해 강변에 저류지, 즉 다목적 유수지(detention basin)를 조성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하천에서 홍수의 발생으로 수위가 어떤 기준보다 높아지면, 흐름의 일부를 돌려 저류지로 보냄으로써 본류의 부담을 덜 수 있다. 이때, 흐름의 분기를 위해 설치되는 하천구조물 중 하나가 측면 위어(side weir) 또는 횡월류 위어(side discharge/overflow weir)이다. 하천의 계획과 설계에서 위어가 적용될 때, 위어에 대한 수위-유량 관계, 즉 그 형식과 제원에 적합한 유량계수(discharge coefficient)의 결정이 관건이 된다. 일반적인 위어와 달리 흐름 양상이 복잡한 측면 위어의 경우, 이론과 실제의 괴리가 아직까지 해소되지 않아 실물 또는 3차원 수치 모형을 이용한 시험으로 수위-유량 관계를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결정된 수위-유량 관계는 1차원 또는 수심적분 2차원 모형의 내부 또는 외부 경계로 사용되며, 본류의 수위 증감에 따른 측면 위어의 횡월류량을 통해 저류지의 홍수 조절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측면 위어의 수위-유량 관계가 알려지지 않더라도, 저류지에 의한 홍수 조절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2차원 수치모의에 대해 검토하였다. 수치해법으로서 2차원 천수방정식에 대해 유한체적법을 적용하고, 흐름률(flux)의 정확한 계산을 위해 근사 Riemann 해법을 도입하였다. 먼저, 측면 위어가 없는 실험 조건에 대해 수로 내 한 측선에서 측정된 수위와 유량을 모의 결과와 비교하여 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때, 경계조건으로 상류 끝에 측정 유량을, 하류 끝에 측정 수위를 부여하였으며, Manning의 조도계수를 0.014로 설정하였다. 또한, 측면 위어가 설치된 수로에 대해 계산 영역을 340개의 삼각형 격자로 분할하고 측면 위어가 없는 경우와 동일한 조건을 두어 모의하였다. 측면 위어의 하류에 위치한 측선에서 측정치에 대한 평균 제곱근(root mean square) 오차가 수위에 대해 1.9 mm, 유량에 대해 $2.2{\ell}/s$로서 그림과 같이 모의 결과는 실험의 그것과 잘 일치하였다. 이로써, 측면 위어에 대한 수위-유량 관계의 수립을 위한 실물 모형 시험 없이 수심적분 2차원 수치모의를 통해 저류지의 홍수 조절 효과를 평가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