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ctivity Improvement Plan for Consumer ADR of Non-Government Consumer Organization

민간 소비자단체의 자율분쟁조정 활성화방안

  • Kim, You-Jin (Dept. of Consumer Information Science, Konkuk Univ.) ;
  • Kim, Si-Wuel (Dept. of Consumer Information Science, Konkuk Univ.)
  • 김유진 (건국대학교 소비자정보학과) ;
  • 김시월 (건국대학교 소비자정보학과)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erform survey on employees of Non-Government Consumer Organization and interview with ADR personnel from Korean Consumer Protection Board to have thorough grasp of problems among consumer ADR. Also come up with plan that will activate Non-Government Consumer organization ADR. Result of this research states following remarks as solution First, consumers from Seoul and Gyeonggi area is the only people who use ADR in Non-Government Consumer organization, so other local governments need to concentrate on consumers from rural area to take advantage of the service. Second, low activity of ADR and legal procedure support compare to other services provide from Non-Government Consumer organization. Third, statistic shows that employees from Non-Government Consumer organization recognize importance of consumer's ADR and government's support as well as enforcement of law. Forth, the preparation of Consumer ADR in Non-Government Consumer organization, selecting committee is the most important procedures are reinforce human resource, improvement of organization structure. Fifty, order to establish Consumer ADR in Non-Government Consumer organization, recruit professional manpower is the priority and financial support is also important. All these result would help improve the activity of ADR in Non-Government Consumer organization, which will lead the organization to be more professionalize, globalize and able to segment the market. Further more, Non-Government Consumer organization would develop better ways to take itself to another level to provide better service. Also, create an institution that will help consumer's dispute and legal procedure. It will prevent future victims and protect consumer's right.

Keywords

References

  1. 강성주(2004). 우리나라 전자상거래 분쟁 해결을 위한 ADR의 발전방안에 관한 고찰. 상품학연구, 32, 43-69
  2. 강창경 (2003). 소비자집단소송제도의 도입방안. 한국소비자 보호원
  3. 김경배 (2005). 한국 대체적 분쟁조정제도 (ADR) 의 제도화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18(1), 251-275
  4. 김기정 (1996). 분쟁, 합리적 조정 역할 기대. 주간조선, 1403 8-9
  5. 김성천 (2001). 소비자피해보상규정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소비자 보호원
  6. 김성수 (2001). 국제저작권분쟁과 ADR: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의 조정기능의 강화를. 저작권, 53, 45-57
  7. 김영수.김상미 (1994). 지방자치단체간 분쟁조정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8. 김용성 (1996). 소비자보호를 위한 소송외적인 분쟁조정. 한독법학, 12, 464-476
  9. 김준한(1996). '행정부와 대체적 분쟁해결제도'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10. 박인복(2004). 소비자운동 성과의 영향요인-소비자단체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박지영 (2002). 지방소비자지원행정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반흥식 (1997). 재판외 분쟁해결제도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백경미 . 이희숙 . 김시월 . 김현 . 김유진 (2003). 소비자피해구제 원활화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 재정경제부 용역연구 보고서
  14. 백병성 (2003). 소비자소송지원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 보호원
  15. 백병성 (2002). 소비자분쟁조정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소비자보호원
  16. 백병성 (2000). 소비자분쟁조정의 역할과 효율적인 조정기구 운영. 소비자문제연구, 23, 39-64
  17. 오명문 (2002). 국제전자상거래 소비자분쟁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국제통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오현석 (2000). 온라인에 의한 ADR 시스템. 대한상사중재원
  19. 윤경자 (2002). 전자상거래의 대안적 분쟁해결제도에 관한 연구: On-line ADR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국제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규진 (2000) 미국 ADR에 비추어본 우리나라의 ADR. 서울고등법원
  21. 이도헌 (2001). Cyberspace에서의 분쟁조정제도에 관한 연구: 전자거래분쟁조정위원회를 중심으로. 법학연구, 11(1), 145-166
  22. 이경옥 (2003). 대안적분쟁해결제도 (ADR) 로서의 온라인분쟁 해결시스템 (ODR) 의 평가. 소비자학연구, 14(2), 179-195
  23. 이상해 (2000). 소비자보호행정에 관한 연구: 지방소비자권리의 확대화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종인 (2004). 국제지구의 소비자정책 이슈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한국소비자보호원
  25. 장수태 (2005). 소비자분쟁조정제도의 활성화. 한국소비자보호원
  26. 장현덕.임영주 역 (1994). 일본의 재판외 분쟁처리기관과 원인규명기관. 한국PL센터
  27. 조장현 (2004). 대체적 분쟁해결제도의 현황 및 제고방안. 산업경제, 27 66-76
  28. 정재훈 (2000). 전자거래분쟁조정위원회 운영현안과 향후과제. 인터넷법률, 1, 174-181
  29. 제종헌 (2000). 지방자치단체간 분쟁의 자치적 해결 가능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2004). 환경분쟁조정사례집 13. 중앙 환경분쟁조정위원회
  31.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2004). 소비자단체의 자율분쟁조정기구 출범과 소비자. 월간소비자. 1-2
  32.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2004).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제 30차 정기총회 자료집
  33.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2005).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제 32차 사업보고
  34.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2002). 전자거래 및 특수판매분야 분쟁조정기준 및 분쟁의뢰 운용방안 연구
  35. 한국소비자보호원 (2004).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조정사례집. 제 6집
  36. 한국소비자보호원 (2005). 2004년도 소비자피해구제 연보 및 사례집
  37. 한국소비자보호원 (2004). 2003년도 소비자피해구제 연보 및 사례집
  38. 한국소비자보호원 (2003) 2002년도 소비자피해구제 연보 및 사례집
  39. 内閣府 國民生活局(2002). 消費者問題におけるADR(裁判外の紛争解決)に關する意識調査
  40. 私市光生(2000). 日本の消費者問題と消費者政策に關する. 消費者問題研究,23号, 189-199
  41. 日本消費者敎育學會(2000). 新.消費者保護論. 光生館
  42. 消費者トラブルを分爭解決機能の在り方に關する研究會 (2003). 消費者トラブルを苦情處理.分爭解決機能のあり方
  43. 松村晴路 (2001). 消費者主權と消費者法. 嵯峨野書院
  44. Boddewyn, J. J.(1985). The Swedish Consumer Ombudsman System and Advertise Self-Regulation', The Journal of Consumer Affairs, 19(1), 45-56
  45. Janet Reno(l997). Address to the Society of Professionals in Dispute Resolution. Dispute Resolution and Lawyers, 2nd Ed., 76
  46. Jethro K. Lieberman & James F. Henry(1986). Lessons from the ADR Moverrent. 53 U Clev. L. Rev, Spring, 425-426
  47. Joseph T. McLaughlin(1993).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The American Law Institute, Feb 25
  48. Kanowitz Leo(l985). Case and Materials on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merican Casebook Series, West Publishing Co
  49. Robert Coulson(1984). Professional Mediation of Civil Disputes. American Arbitration Association, 6
  50. William Twining(l993). Alternative to What : Theories of Litigation. Procedure and Dispute Settlement in Anglo-American Jurisprudence Some Neglected Oassics. 56 Mod. L., Rev. 380-383
  51. BBBOnLine. www.bbbonline.org
  52. Iris Mediation. www.iris.sgdg.org/mediation
  53. ClickNSettle. ww.ClickNSettle.com
  54. 소비자보호원.ww.cpb.or.kr
  55.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w.consumernet.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