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2학년 어린이의 치과치료장면 그림에 투사된 치과불안도

DENTAL ANXIETY OF SECOND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PROJECTED IN THE DRAWING OF DENTAL TREATMENT SITUATION

  • 김윤희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광희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라지영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동진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Kim, Yun-He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
  • Lee, Kwang-He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
  • Ra, Ji-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
  • Lee, Dong-J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 발행 : 2007.08.31

초록

어린이의 치과불안도를 측정하고자 전주와 익산 3개 초등학교 2학년 어린이 213명을 대상으로 치과치료장면을 그리게 하였고, 보조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정된 Sheskin 방법에 의하여 그림을 분석하고 치과불안도(Dental Anxiety Scale, DAS) 점수를 산출하였다. 치과불안도의 점수별 분포는 최저치 0점과 최고치 6점 사이에서 2점이 29.1%로서 가장 많았고, 평균치는 2.00이었다. 치과치료 경험이 없는 어린이들의 치과불안도 평균 점수는 2.82로서 경험이 있는 어린이들의 점수 1.92보다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다(P<0.05). 남아의 치과불안도 평균 점수는 2.00점, 여아는 1.99로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치과치료시 심한 공포를 경험한 어린이들의 비율은 8.2%이었고, 심한 동통을 경험한 어린이들의 비율은 5.6%이었다. 치과치료에 대해 약간 혹은 매우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낸 어린이들의 비율은 19.9%, 치과의사에 대해 약간 혹은 매우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낸 어린이들의 비율은 4.6%로서 치과의사보다 치과치료에 대해 보다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dental anxiety of second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projected in the drawing of dental treatment situation. The subjects of study were 213 school children.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regarding their experience of pain and fear during the dental treatment and children's attitude toward the dental treatment and dentist. Drawings were analyzed using criteria modified from Dental Anxiety Scale(DAS) by Sheskin et al. The mean anxiety score was 2.00 and the range was from 0 to 6. The mean anxiety score was 2.82 in untreated children and 1.92 in treated children (P<0.05). The mean anxiety score was 2.00 in boys and 1.99 in girls. The rates of children who showed severe fear and pain of the subjects were 8.2% and 5.6%. The rates of children who showed slightly or definitely negative attitude for dental treatment and dentists of the subjects were 19.9% and 4.6%.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