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rating Effect of Workforce Management on Quality Management Practice and Production Performance

품질경영 추진방식 요인과 생산성과에 대한 인력관리의 조정 효과

  • 박정수 (서울대학교 경영연구소)
  • Published : 2007.10.31

Abstract

We defined quality management practice factor and workforce management factor and confirm their conformance, and examine the former affect positively on production performance. Moreover, we examine whether workforce factor have an moderate effect on 'quality management practice facor - performance' relationship, using moderate regression. As the result of empirical study on nationwide manufacturing companies, workforce management factor have an moderate effect on the relationship which means need for investment on two factors.

본 연구는 품질경영의 다양한 추진방식 들 중 대표적인 것을 기존 문헌을 통하여 도출하고, 이러한 품질경영 추진방식 요인이 생산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1차적 목표로 한다. 나아가, 기존 문헌을 통하여 생산 및 제조 분야에서의 인력관리 요인을 도출하고 이것이 품질경영 추진방식 요인과 더불어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는 것을 2차적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위하여 전국에 소재한 제조업체들을 대상으로 표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회귀분석 및 조정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