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서열과 노동시장 성과 - 지방대생 임금차별을 중심으로 -

University Hierarchy and Labor Market Outcome - Wage Differentials between Provincial and Seoul Metropolitan Area University Graduates -

  • 발행 : 2007.08.31

초록

본 논문에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전문대 및 대학 졸업생 경제활동상태 추적조사" 2005년 자료를 주로 이용하여 대학서열화와 노동시장 성과 간의 관계를 지방대 졸업생에 대한 임금차별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첫째, 지방대학 졸업생 월평균 임금은 174.77만원으로 수도권대학 졸업생에 비해 11.5% 낮았으나 지방대학의 낮은 수능점수에 상당 부분 기인하였다. 둘째, 위계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을 적용하여 학교의 임금효과를 추정한 결과 개인간 임금차이의 12.2%만이 학교간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효과가 예상보다 작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대학 진학시의 선택편의(selection bias)를 고려한 Heckman형 2SLS 임금함수를 추정한 후 Neumark 임금분해를 시도한 결과 수도권대학과 지방대학 졸업생 간 임금격차는 전적으로 수도권대학 졸업생의 인적 속성과 직업 속성상의 우위에 기인하였으며, 특히 수도권에 집중된 상위권 대학의 영향이 결정적으로 작용하였다. 넷째, 분위회귀 기법을 적용하여 임금분위별 지방대생 차별을 분석한 결과 임금분위와 무관하게 대체로 -4.01%~-2.51% 범위의 임금차별이 관찰되었다.

Using KRIVET's Graduates Economic Activities Survey for 2005,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ranking and labor market outcome, with a focus on wage differentials existing between provincial and Seoul metropolitan area university graduat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monthly wage for provincial university graduates was 1,747.7 thousand Korean won, which is 11.5% lower than that for graduates of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chool effects on individual wage were estimated to about 12.2% after applying Hierarchical Linear Model technique, which means that university explains only an insignificant part of the total variance in wage among graduates. After controlling for the selection bias, the ability difference between the two areas, by applying the Heckman type 2SLS wage function and Neumark wage differential decomposition technique, the wage gap resulting from the segregation was not identified. This implies that, to a significant extent, the wage gap between provincial and Seoul metropolitan university graduates is attributed to the difference in productivity among individual graduates, rather than to the wage segregation. Also, the estimated wage function by applying Quantile Regression technique indicates that there does not exist any significant wage segregation difference by wage quantil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