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ormative Factors and the Economic Effects of the Basic Job Skills in Korea

한국사회의 직업기초능력의 결정 요인 및 경제적 성과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the formative factors of the basic job skills(also the ability of computer using) and the economic effects of the basic job skills in Korea. This article uses the ALL(Adult Literacy and Life Skills) 2005 data in Korea. The factors which form the basic job skills are school years, father's education. Women are under men in the ability of computer using. The older a man grow, the more basic job skills he has, but the less ability of computer using he has. The employees in office worker or new service industry have more using computer ability than them in sales worker or manufacture industry. The wage effects of the basic job skills are insignificant, and the economic effects of basic job skills appear apparently in the entry into the good jobs. As the basic job skills can play a important role to enter into the good jobs, the policy agenda should make deal with the methods and programs through which the people without basic job skills must have the opportunities to get a lifelong learning for the basic job skills.

본고는 OECD 주관의 2005년도 ALL(Adult Literacy and Life Skills)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직업기초능력(컴퓨터 활용능력 포함)의 결정 요인과 경제적 성과를 분석하였다. 직업기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학업연수, 아버지 학력이었다. 여성은 컴퓨터 활용능력에서 남성보다 열위에 있었다. 연령은 직업기초능력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컴퓨터 활용능력에서는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취업자의 경우, 사무관리직(자유전문직 포함) 직종과 신서비스(금융업, 사업서비스업 포함) 업종에 종사하는 자가 판매서비스 직종이나 제조업에 종사하는 자보다 컴퓨터 활용능력이 높았다. 직업기초능력의 임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컴퓨터 활용능력의 임금효과는 유의하였다. 직업기초능력은 괜찮은 일자리에의 취업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괜찮은 일자리 취업에 직업기초능력이 미치는 영향이 뚜렷하기 때문에 정규교육 시기에 직업기초능력을 갖추지 못한 사람들에게 평생학습을 통해 직업기초능력을 획득하게 하는 정책 대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