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평등도 지표로서의 소득과 소비의 비교

Comparison of Income and Consumption Inequalities

  • 발행 : 2007.12.31

초록

본 연구는 불평등도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소득과 소비라는 두 변수의 적합성을 비교한다. 일반적으로 불평등도 측정에는 소득이 주로 활용되어 왔으나, 항상소득가설에 의하면 소득보다는 소비가 경제 주체의 복지에 직접적으로 연계된다. 따라서 항상소득가설이 적용되는 경제라면, 복지의 불평등도 측정에 있어서는 소비의 불평등도가 보다 더 적합한 지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소득의 변동성이 높을수록 소득 불평등도와 실질적인 복지의 불평등도의 괴리는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도시가계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임금 근로자 가구의 소득과 소비 패턴을 비교한 결과, 항상소득가설이 적용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와 소득의 불평등도를 비교한 결과 소비의 불평등도가 훨씬 작은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소비와 소득의 불평등도 지표가 반드시 동일한 방향으로 변화하지 않는다는 결과도 얻어졌다. 따라서 향후 불평등도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 소비의 불평등도가 강조될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compares income and consumption for their relative effectiveness in measuring inequality. Although income inequality has received more attention in the literature, the permanent income hypothesis links consumption to welfare more directly than income. To the extent economic agents smooth their consumptions, consumption inequality is a better indicator for an economy's welfare inequality, and it is especially so when income volatility is high. The empirical analysis in this paper indicates that the income and consumption patterns among the Korean wage/salary worker households are quite consistent with the permanent income hypothesis. Further, it is found that consumption inequality tends to be lower than income inequality, and more importantly, that the two inequalities do not always vary in the same direction. These results call for stronger emphasis on consumption inequality in inequality literatu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