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마암지역 자연사면.절취사면의 안정성 분석 사례

Analysis of Rock Slope Stability for Natural Slope and Cut Slope of Gneiss Area in Andong, Korea

  • 김만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산사태재해연구실) ;
  • 배두원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김종태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채병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산사태재해연구실) ;
  • 정교철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Kim, Man-Il (Landslide Hazards Research Group,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IGAM) ;
  • Bae, Du-Won (Dep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Jong-Tae (Dep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Chae, Byung-Gon (Landslide Hazards Research Group,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IGAM) ;
  • Jeong, Gyo-Cheol (Dep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7.06.30

초록

매년 강우로 인해 발생되는 사면파괴는 많은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사면재해로부터의 피해저감을 위해 인간의 생활권과 인접한 사면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이들의 안정성 검토와 보강 대책이 요구된다. 연구지역은 편마암으로 이루어진 암반사면으로써 단층작용으로 인해 대규모 절리군이 형성되어 있는 풍화암 내지 연암의 풍화 특성을 보여준다. 조사사면을 자연사면과 절취사면으로 구분하여 현장자료를 검토한 결과, 자연사면에서는 주 절리군이 형성된 4개 지점에서 평면파괴와 쐐기파괴 가능성이 우세하였으며, 절취사면의 경우 8개 지점에서 쐐기파괴 발생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SLIDE 2D에 적용해 이들 사면의 최소안전율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에서는 자연사면보다 절취사면의 안정성이 비교적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Slope failure that is occurred by rainfall generates a lot of property damages and loss of lives. Slope stability management and reinforcement countermeasure can be attained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about various slope types that adjoin in human's life for reducing slope failure from natural and artificial cut slope hazards. The study area is rock slope that is consisted of gneiss, and large scale joint set is ranging by fault activity. This rock mass is exposed during long period and has lithological weathering property of weathered rock or soft rock. In-situ investigation carried out after divide by natural slope and cut slope. As a result, the natural slope appeared to high possibility of planar failure and wedge failure in few joint points that main joint set is formed. On the other hand, slope failure conformation in cut slope was superior only wedge failure occurrence possibility in eight joint points. In result of numerical analysis using SLIDE 2D, the minimum safety factor was analyzed slope stability for cut slope relatively low than natural slope in this stud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남장, 강필종, 이홍규, 1970, 한국지질도 1:50,000, 증평동도폭 설명서, 국립 지질 조사소
  2. 김봉균, 이하영, 김수진, 정지곤, 1998, 한국지질도 1:50,000, 안동도폭 지질보고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3. 김종은, 이민성, 2006, 암반상의 대형구조물기초, 일본토목학회.대한토목학회, KSCE-SC-100-06-01-B, (주)시그마프레스, 309p
  4. 산업기지개발공사, 1985, 암반사면안정분석에 관한 연구 (보고서)
  5. 이수곤, 2002, 2002지질공학 단기 실무강좌-지질공학과 시추공 탐사, 대한지질공학.농업기반공사, pp.243-274
  6. 이인모, 2001, 암반역학의 원리, 도서출판 새롬, 169p
  7. 윤지선, 1996, 암반역학, 구미서관
  8. 정교철, 손호웅, 김상환, 서용석, 2001, 사면안정해석, 엔지니어즈
  9. 최영근, 2003, 2003지질공학 단기 실무강좌-지반개량 및 보강공법, 대한지질공학회.농업기반공사, pp.1-60
  10. 한국지반공학회, 1997, 사면안정, 구미서관
  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6, 대도시 사면 통합관리시스템 구축(부산지역) 연구보고서, 과학기술부
  1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3, 자연재해방재기술개발사업(산사태 예측 및 방지기술 연구) 연구보고서, 과학기술부
  13. 한국도로공사, 1996, 도로설계실무편람 -토질 및 기초-
  14. 황상구, 2000, 안동저반, 한국암석학회.한국광물학회
  15. Abramson, L. W., Lee, T. S., Sharma, S., and Boyce, G. M., 1996, Slope stability and stabilization methods, John Wiley & Sons, Inc., 629p
  16. Bishop, A. W., 1955, The use of the slip circle in the stability analysis of slopes, Geotechnique, Vol. 5, pp.7- 17 https://doi.org/10.1680/geot.1955.5.1.7
  17. Hoek, E. and Bray, J., 1981, Rock slope engineering: 3rd edition, The institution of mining and metallurgy, London, 358p
  18. Hudson, J. A. and Harrison, J. P., 2000, Engineering rock mechanics: an instroduction to the principles, Pergamon, 444p
  19. Janbu, N., 1954, Application of composite slip surface for stability analysis, Proceeding of European Conference on Stability of Earth Slopes, 3, pp.43-49
  20. Lisle, R. J. and Leyshon, P. R., 2004, Stereographic projection techniques for geologists and civil engineers: 2nd edition, Cambridge Univerisity Press, 120p
  21. Slide 2D, Slide 2D limit equilibrium slope stability for soil and rock slopes: Verification manual, Rocscience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