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icient way to input text through eye gazing method.

시선입력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효율적 문자입력 방법

  • Kwon, O-Jae (UI Research Lab. Corporate Design center. SAMSUNG ELECTRONICS CO.,LTD.)
  • 권오재 (삼성전자 디자인경영센터 UI연구소)
  • Published : 2007.05.31

Abstract

The EGI system is a new communication method in limelight for helping disabled users to input and handle information on the computer more easily. However, due to the EGI system's "JEM(Jittery Eye Movements)" generation, it actually increases heavy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stresses for the user to input or perceive the target information on a machine. This study illustrates how to resolve this "JEM" issue and suggests a method that is easy and simple to be controled by anyone. A demo tool was built and tested to find and prove the reasons for "JEM" This test shows that that the case with snap up is less stressful than without to input text as a final result of the test evaluation in both psychological snap up and physiological brain wave test. Postnatal or naturally acquired, it is found that the disabled can have opportunities for smoother communication, and a possible efficient system development for better communication.

지체가 부자유한 사용자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정보를 쉽게 입력하거나,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주목받고 있는 것이 EGI(Eye Gaze Interface)시스템이다. 그러나 EGI는 "주시점 탈(脫) 현상(목표 주시점으로부터 실제의 주시점이 벗어나는 현상)" 의 발생으로 인하여 목표정보를 입력하거나 인지하는데 많은 심리적, 생리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EGI의 문제점으로서 지적되고 있는 "주시점 탈(脫) 현상" 의 해결방안에 초점을 두고, 누구든지 간단히 조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안, 고찰하였다. "주시점 탈(脫) 현상" 의 원인규명 및 제안하는 인터페이스의 유효성 검증을 위하여, 실험 툴(흡착효과를 부여한 한국어 입력인터페이스)을 제작, 평가하였으며, 심리적 평가(주관평가)와 생리적 평가(뇌파측정)를 실시하여, 흡착효과를 적용했던 경우가 흡착효과를 적용하지 않았던 경우 보다 문자입력이 쉽고 생리적 부담이 적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선천적이든 후천적이든 물리적 핸디캡으로 인하여 커뮤니케이션에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들에게도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 지원 가능성에 길을 열었다고 생각하며, 그 효용성에 대해서도 시사하는 바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