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어 방류사업의 역사와 현황

History and Status of the Chum Salmon Enhancement Program in Korea

  • 이채성 (국립수산과학원 영동내수면연구소) ;
  • 성기백 (국립수산과학원 영동내수면연구소) ;
  • 이철호 (국립수산과학원 영동내수면연구소)
  • Lee, Hae-Sung (Yeongdong Inland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Seong, Ki-Baik (Yeongdong Inland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Lee, Cheul-Ho (Yeongdong Inland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발행 : 2007.05.31

초록

우리나라의 방류사업은 1913년의 함경남도 고원에서 최초로 시작하여 1969년 이후 한미기술 협력에 따라 부화장이 설립되고 정부의 연어 자원조성을 위한 계속된 투자로 1980년대 초부터 서서히 소상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1999년에는 2,000만 마리까지 방류함으로써 명실상부하게 우리나라에서 자원조성에 가장 성공한 사례로 꼽히게 되었다. 방류지역은 처음에는 인공부화장이 위치한 지역을 중심으로 방류하였으나, 생산량 증가에 따라 강원도 고성군 명파천에서부터 경상남도 밀양강까지 방류하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전방 DMZ, 전라남도 섬진강 및 북강원도에도 방류함으로서 방류지역을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다. 회귀율은 1973년에 0.06%에서 1990년부터 바다연어를 포획하면서 1.57%의 회귀율을 보인 후 계속 1%이상을 유지하였다. 그 이후 1999년에 0.72%로 다소 떨어진 후 2000년에는 바다의 환경변화로 인하여 0.10%로 회귀율이 급격하게 감소하여 최근까지 0.22%의 회귀율을 보이고 있다. 연어 자원증강을 위해서는 건강한 치어 생산은 물론 바다연어 및 미성숙 친어의 축양시설 개발, 방류하천의 중간 육성장 개발, 치어 및 친어의 회유로 구명 등 적극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정부에서는 방류사업에 보다 많은 관심과 예산을 투입하여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chum salmon enhancement program in Korea started at Gowon in Hamgyeong nam-do in 1913 and the program has been more active since Yeongdong Inland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was established at Yangyang in 1984. The major activities were the release of chum salmon fingerlings and the catch of adult chum salmon for artificial fertilization. The range of return rate to Korean waters was in $0.72{\sim}1.57%$ during 1990s, but it has declined seriously since 2000. To overcome the low return rate and enhance chum salmon resources in Korean waters, we must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mass mortality of chum salmon during their early life in rivers and coastal areas in conjuction with the fluctuation of return rates and climate. In addition, comprehensive and effective habitat protection and restoration policies will be needed.

키워드

참고문헌

  1. Atkinson, C.E., S.K. Chun, E.R. Jeffries, J.D. Kim, K.Y. Kim, K.H. Kim and R.T. Pressey, 1967. A survey of the salmon and trout resources of the republic of Kore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the Republic of Korea Office of Fisheries, Seoul, Korea, 103 pp
  2. Groot, C. and L. Margolis, 1991. Pacific salmon life histories. Published in co-opration with the government of Canada, Department of Fisheries and Oceans, 564 pp
  3. Lim, J.Y., 1990. A study on the production and the effect of sea ranching fingerling of anadromous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WALBAUM)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Deportment of Aquaculture, Groduate School of Industr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28 pp
  4. NPAFC, 2005. North pacific anadromous fish commission. Records of the thirteenth annual meeting. Republic of Korea, pp. 77-85
  5. Seong, K.B., 1998. Artificial Propagation of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in Korea, NPAFC Bulletin No. 1, 375-379
  6. 국립수산진흥원, 1987. 한국의 연어 인공부화 방류사업 현황. 양식 자료집 제6호, 예문사, 101 pp
  7. 성기백, 홍관의, 백국기, 이진호, 1998. 양양남대천에 소상하는 연어의 소상량과 체장, 연령 조성, 국립수산과학원 연구보고 54호, 131-139
  8. 수산청..미국제경제협조처, 1967. 한국의 연어.송어 자원개발조사보고서, 문성사. 92 pp
  9.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124-128
  10. 주태근, 1990. 연어 자원조성 사업의 현황과 전망. 한국송어양식 25주년 기념논문, 미성사, pp. 178-186
  11. 중앙수산시험장, 1958. 남한 하천에 소상하는 연어자원의 동태조사와 인공부화에 관한 시험. 중앙시험장 사업보고(2), 2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