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Effect Area of Subway Station Using GIS & Multi-temporal Satellite Images

GIS와 다시기 위성영상을 이용한 전철역세권의 분석

  • 박재국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동문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양인태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Among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within urban area, electric railway (subway) has been a regionally based facility tha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foundation of territory development and arrangement of living foundation and living environment while supplementing the regional road network. In this regard, the subway stations should be allocated in the right place to ensure mobility, convenience and economic feasibility, some of transportation characteristics of road network combined with the subway. However, it would be very hard to evaluate quantitatively the effects of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such as subway in metropolitan cities on regional development and change in land use and to suggest the data that would be utilized in future city planning corresponding to their results.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the change in land use by the conditions of location of subway stations quantitatively; then, it evaluated and analyzed the change in land use for the internal and external parts of the surrounding areas of subway stations through the GIS spatial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landsat TM satellite image for utilizing it as reference material for the new establishment of subway stations in the future.

도심지역 내의 공공 교통시설 중에 전철은 지역 내의 도로망과 유기적으로 상호 기능을 보완해 가면서 국토발전의 기반과 생활기반의 정비, 생활환경의 개선에 큰 역할을 담당하는 지역기반시설이다. 따라서 전철역은 그 기능을 충실히 담당하기 위해 전철과 연계된 도로망의 교통 특성인 기동성, 편리성,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 적재적소에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대도시에서의 대중 교통수단인 전철역 등의 공공 교통시설이 지역발전과 토지이용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며, 그 결과에 따라 향후 도시계획 등에 활용 가능한 자료를 제시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전철역의 입지에 의한 토지이용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향후 전철역 신설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GIS공간분석기능과 다시기 위성영상분류를 통해 전철 역세권의 내부와 외부에 대한 토지이용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 및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문 (2002),지형공간정보체계를 이용한 도로의 최적노선선 정시스템 개발,박사학위논문,강원대학교 대학원,춘천시
  2. 김동문 (1996),교통영향평가를 위한 GIS의 적용기법,석사학위 논문,강원대학교 대학원,춘천시
  3. 김황배,김동문 (2005),GIS를 활용한 도시의 한계교통용량과 개발밀도 평가,대한토목학회논문집,대한토목학회,25권 3D 호,pp. 395-402
  4. 민숙주,김계현,박태욱,전방진 (2004),GIS 기반의 통계정보를 이용한 토지이용 분류,한국측량학회 2004 학술발표회논문집,한국측량학회,pp. 343-347
  5. 박형근(1995),GSIS를 이용한 도로교통용량에 따른 최적경로 선정,석사학위논문,강원대학교 대학원,춘천시
  6. 양인태,김통문,최승필 (2002),AHP 기법을 이용한 도로의 노선 선정시 다중인자의 정량화 연구,한국측량학회지,한국측량학회,제 20권,제 2호 pp. 199-206
  7. 이종출,이용희,노태호,김세준 (2006),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심지 토지이용 분석,한국측량학회 2006 학술발표회 논문집,한국측량학회,pp. 419-424
  8. 한성만(2003),'GIS를 이용한 원격탐사 영상의 변화탐지기법 개발',박사학위논문,강원대학교 대학원,춘천시
  9. Robb D. Macleod and Russell G. Congalton. (1998),'A Quantitative Comparison of Change-Detection Algorithms for Monitoring Eelgrass from Remotely Sensed Data',PE & RS,Vol. 64,No.3,pp. 207-216
  10. Wang,F. (1993),'A Knowledge-based Vision System for Detection Land Changes at Urban Fringes',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 Remote Sensing,Vol. 31, pp. 136-145 https://doi.org/10.1109/36.210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