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Sidewalk Level of Service Considering Land Use Patterns

용도지역 특성을 고려한 보도 설계 서비스수준 평가방안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Pedestrians and vehicle users should be treated with equal importance in urban street design. However, current street design suggests that the design criteria for sidewalks is based on the functional hierarchy of the vehicl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idewalk design standards that give more weight to pedestrians rather than vehicles. For thi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evel of service of pedestrian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designing sidewalks. Currently, level of service (LOS) criteria for pedestrians in the Korean Highway Capacity Manual are based on pedestrian volume, but the volume of pedestrians is seldomly estimated in practice. So, the current LOS criteria has limitations in terms of practical use. Also, the study assumes that the pedestrian flow rate is hardly the dominant factor that could affect the LOS of pedestrians at most urban sidewalks. In this context, the study considers a new LOS for sidewalk design based on the comfort of pedestrians while passing pedestrians coming from the opposite direction. Then the study attempts to link the new LOS criteria to the land use patterns using data of pedestrian traffic characteristics acquired from the field. In addition to this, the scope in which the suggested criteria can be applied is suggested.

도시 가로 설계에서 보행자와 자동차는 동등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 도로 설계 기준은 자동차의 이동과 접근성에 기반한 도로 기능 분류 체계에 보도 설계를 적용하고 있어 보행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둔 설계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도시 보도 설계 단계에서 보행자 서비스수준을 고려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현 도로용량편람에 제시된 기준은 보행 속도 등 보행 교통량에 기반하여 보행서비스수준을 평가토록 하고 있으나 도시 도로 설계 실무에서 보행 교통량은 거의 예측하지 않고 있으며, 도시부의 대다수 가로의 보도에서 보행 통행량 기반의 서비스수준 평가는 매우 드물게 경험하고 있어 서비스수준 평가 범위가 매우 제약되었다고 본다. 본 연구는 마주보고 통행하는 보행자들이 상충 시 경험하는 쾌적 수준에 기반한 보행 서비스수준 평가기준을 검토하고, 이를 용도지역별로 조사된 보행 통행 특성과 연계하여 도시 보도의 설계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서비스수준 평가기준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1), 도로용량편람
  2. 박영춘.권용석(2003), '중심지역 보행자의 보행속 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15권 제2호, 한국지역개발학회, pp.114-126
  3. 박동주(1993), 보행목적에 따른 보행교통류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임정실.오영태(2002), '보행자 도로의 용량산정',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91-99
  5. 임진경.신혜숙.김형철(2004), '유형별 보행자도로의 서비스수준 평가기준 설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4권, 제5D호, 대한토목학회, pp.723-728
  6. 김용석.최재성(2006), '보행자와 자동차를 동시에 고려한 도시 가로의 균형적 계획 및 설계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4권 제6호, 대한교통학회, pp.55-64
  7. Flannery, Aimee(2006), 'Customer-Based Measures of Level of Service?, ITE Journal, pp.17-21
  8. Henson, Colin (2000), 'Level of Service for Pedestrians', ITE Journal, pp.26-30
  9. Landis Bruce W., Vattikuti, Venkat R., Ottenberg, Russel M., Mcleod Douglas S., and Guttenplan, Martin(2001), 'Modeling the Roadside Walking Environment -Pedestrian Level of Service-',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773, pp.82-88
  10. Zacharias, John (1999), 'The Amsterdam Experiment in Mixing Pedestrians, Trams and Bicycles', ITE Journal, pp.22-28
  11. Highway Capacity Manual(2000),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