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가로

Search Result 1,225,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Green View Index Improvement Program for Urban Roads Using a Green Infrastructure Theory - Focused on Chengdu City, Sichuan Province, China - (그린인프라스트럭처 개념을 적용한 가로 녹시율 개선 방안 - 중국 쓰촨성(四川省) 청두시(成都市)을 중심으로 -)

  • Hou, ShuJun;Jung, Taeyeo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1 no.6
    • /
    • pp.61-74
    • /
    • 2023
  • The concept of "green infrastructure" emphasize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and urban social systems, thereby providing services that protect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improve the quality of human life. The Green View Index(GVI) is an important indicator for measuring the supply of urban green space and contains more 3D spatial elements concerning the green space ratio. This study focused on an area within the Third Ring Road in the city of Chengdu, Sichuan Province, China.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hree-fold.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GVI in urban streets and its correlation with the urban park green space system using Street View image data. Seco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low GVI streets were analyzed. Third, to analyze the connectivity between road traffic and street GVI using space syntax were analyzed. This study found that the Street GVI was higher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study area than in the northeastern par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treet GVI correlated with urban park green space. Second, the street areas with low GVI are mainly concentrated in areas with dense commercial facilities, areas with new construction, areas around elevated roads, roads below Class 4, and crossroads areas. Third, the high integration and low GVI areas were mainly concentrated within the First Ring Road in the city as judged by the concentration of vehicles and population. This study provides base material for future programs to improve the GVI of streets in Chengdu, Sichuan Province.

Health Status of Rural and Urban residents by Screening Test (Screening Test에 의한 농촌(農村) 및 도시주민(都市住民)들의 건강상태(健康狀態))

  • Lee, Sung-Kwan;Yoon, Nun-Gi;Suh, Suk-Kwon;Lee, Chung-Wo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13 no.1
    • /
    • pp.88-96
    • /
    • 1988
  • 농촌주민(農村住民) 400명(名) 도시주민(都市住民) 600명(名)에 대한 혈액(血液) 및 혈청학적검사(血淸學的檢査)를 통하여 그 건강상태(健康狀態)를 조사(調査)한바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지역별(地域別) 각종검사(各種檢査)의 평균치(平均値)는 농촌남자(農村男子)에서 적혈구수(赤血球數), 혈색소량(血色素量), 적혈구용적치(赤血球容積値)들은 도시주민(都市住民)이 농촌주민(農村住民)에 비(比)하여 높았고 백혈구수(白血球數)는 농촌주민(農村住民)에서 높았다. 신기능검사(腎機能檢査)에서 혈중요소질소치(血中尿素窒素値) 및 creatinine치(値)는 도시주민(都市住民)에서 높았고 간기능검사(肝機能檢査)에서는 총단백질량(總蛋白質量), bilirubin 및 alkaline phosphatase치(値)는 도시주민(都市住民)에서 albumin, SGOT는 농촌주민(農村住民)에서 높았다. 기타(其他)범주에서는 혈중(血中) calcium은 도시주민(都市住民)에서 인(燐), 혈당(血糖) 및 cholesterol(値)는 농촌주민(農村住民)에서 높았다. 평균치(平均値)는 성별차이(性別差異)에서는 농촌(農村), 도시(都市) 모두 남자(男子)의 평균치(平均値)가 총단백질치(總蛋白質値) 및 인치(燐値)를 제(除)하고는 모두 남자(男子)에서 높았다. 다음으로 각검사치(各檢査値)의 정상범위(正常範圍)에 대한 이상치율(異常値率)을 보면 농촌남자(農村男子)에서 적혈구용적치(赤血球容積値)에서 정상범위(正常範圍)가 하치율(下値率)이 도시남자(都市男子)에 비하여 높았으나 백혈구수치(白血球數値)는 농촌주민(農村住民)에서 정상범위이상치(正常範圍以上値)가 높았다. 혈중요소실요치(血中尿素窒素値)는 정상범위이상(正常範圍以上), 이하치간(以下値間)이나 도농주민간(都農住民間)에 별차이(別差異)가 없었고 creatinine은 도시주민(都市住民)에서 이상치율(異常値率)이 높았다. 간기능검사(肝機能檢査)에서는 총단백(總蛋白), alkaline phosphatase는 도시주민(都市住民)에서 정상범위이상치(正常範圍以上値)가 고율(高率)인데 반(反)하여 albumine SGOT 및 SGPT는 농촌주민(農村住民)에서 이상치율(以上値率)이 높았다. 기타(其他)범주에서는 calcium은 도시주민(都市住民)에서 인(燐) 및 혈당치(血糖値)는 농촌주민(農村住民)에서 정상범위이상치율(正常範圍以上値率)이 높았고 cholesterol치는 정상범위이하(正常範圍以下) 및 이상치(以上値) 모두 도시주민(都市住民)에서 고율(高率)이었다. 여자(女子)에서는 혈액상(血液相)에서는 남자(男子)에 비(比)하여 정상범위이상치(正常範圍以上値)의 빈도(頻度)가 더욱 심하였으나 기타치(其他値)에서는 남자(男子)에 비(比)하여 도농간(都農間)의 차이(差異)가 적은점(點)을 제외(除外)하고는 거의 같은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 PDF

헤이안쿄[平安京]의 변용과 중세 초기 정권도시

  • 오노 마사토시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6 no.1
    • /
    • pp.4-31
    • /
    • 2013
  • 본고는 중세도시연구의 관점에서 도성 헤이안쿄(平安京)가 중세 교토(京都)로 변화하는 계기와 그 의미, 그것이 새로운 무가(武家) 정권도시(政權都市)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하여 논하였다. 율령제 마지막 도성인 헤이안쿄는 천황을 절대적 정점으로 한 중앙집권이 동심원구조로 구현된 '왕성(王城)의 땅'이었으나, 10세기 후반 이후 도성의 구심점이었던 내리(內裏)가 헤이안큐(平安宮) 밖으로 나오는 등의 변화가 시작되었고, 도성의 이념과 틀이 급속하게 해체 변용되었다. 또 고대왕권을 대신하여 새로운 형태로 왕권과 여러 권력을 담당한 원(院)과 롱관가(瀧關家), 대두하는 무가권력 등이 그 본거지에 권력의 개성과 시대성을 반영한 새로운 경관과 공간원리를 생성하였다. 그것은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갖는다. (1) 큰 정토정원을 갖는 御堂(사찰)과 세트를 이룬 御所(천황의 거소). (2)황통(천황가 내의 계통)과 가족의 상징으로서 조상을 모신 분묘를 중심으로 한 도시형성. (3) 내리를 기점으로 남북으로 주축을 갖는 고대도성과 달리, 어당과 어소가 동서로 배열된 동서가로를 주축으로 한 도시계획. (4) 수도와 외부를 잇는 교통의 결절점에 입지하였고, 특히 하천변을 향해 적극적으로 확장된 도시. 일본 중세는 무가정권의 시대를 맞이하여 도고쿠(東國) 초기 무가정권의 본거지 히라이즈미(平泉)와 최초의 막부가 열린 가마쿠라(鎌倉)가 모델로 한 것은 '도성 헤이안큐'가 아니라 헤이안큐 수도 밖 신도시의 경관과 공간원리였다. 특히 히라이즈미와 가마쿠라 등이 가정기관(家政機關)과 조상의 묘를 중심으로 한 '가족 원리'에 따른 정권도시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것은 단순한 도시의 모방이 아니라 주종관계를 축으로 의제적인 '집(家) 원리'로 권력이 형성된 무가에는 더욱 어울리는 논리이며, 또 고대와는 다른 새로운 시대의 논리였기 때문이다. 그 한편으로 무가의 대들보로서 무사들에 의해 추대된 초기 무가정권은 도시의 논리와 경관을 도입하였을 뿐 아니라 그들과 공통의 가치관을 표현하는 것도 중요한 요소였다. 그것이 최신의 도시를 모방한 어당과, 그것과는 대조적인 도고쿠 무가의 전통적인 어소의 병립이라는 종교공간과 정치 일상공간에서의 권위표상의 의식적인 분리에 의해 표현되었다. 히라이즈미와 가마쿠라에서는 유통, 상공업 등의 도시기능과 도시적인 경관이 정비되기까지 약 50년의 시간이 경과할 필요가 있었다. 12세기 일본의 무가정권은 스스로의 거점으로서 도시를 기획, 형성하는 의식과 실현하는 능력을 얼마나 가지고 있었는가 검토가 필요하다. 명확한 동아시아모델의 도성을 실현함으로써 왕권의 존재를 드러낸 고대 율령정권과의 차이점은 매우 크다. 이후 무가가 권력의 의도를 도시구조로서 명확하게 드러낸 것은 15세기 후반의 전국시대 다이묘(大名)의 죠카마치(城下町)로부터이다. 특히 16세기 후반부터 천하통일을 실현한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연합정권에서는 구체적인 성(城)과, 그 성을 중심으로 한 계층성을 명시한 죠카마치의 공간설계가 있었다. 여기서는 다시금 '도시의 경관'이 명확한 권력의 상징으로서 기능하게 된 것이다.

국내 도시 커뮤니티가든의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 Kim, Hye-Ju;Choe,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 /
    • 2017.10a
    • /
    • pp.48-50
    • /
    • 2017
  • 오늘날의 정원(Garden)은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는데 이중 커뮤니티가든(Community Garden)은 도시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자리잡고 있다. 도시에서의 커뮤니티가든은 커뮤니티 활동을 활발하게 펼칠 수 있는 터가 되어주고 있는바 이에 국내 도시 커뮤니티가든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위해 이론적고찰과 현장답사, 자료분석을 토대로 하여 한국적 맥락의 도시 커뮤니티가든에 대한 개념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국내 주요 도시 13곳 내에 위치한 35개 사례지를 선정하여 조사한 결과 한국적 맥락의 도시 커뮤니티가든은 주민조직과 지자체의 행정지도가 어우러진 도심내 유휴지 또는 마을 공터에 조성된 공동경작 또는 개인경작이 어우러진 정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의 도시 커뮤니티가든은 해당 지자체의 관리와 보조금 지급여부에 따라 커뮤니티가든의 물리적 상태가 달라졌으며 따라서, 주민조직체계에 대한 지원과 효율적인 관리시스템이 확립된다면 도시 커뮤니티가든의 지속가능성은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국내외 건강도시 네트워크 관련 조직의 운영 현황 및 지원 방향

  • Song, Ye-Ri-A;Nam, Eun-U;Mun, Ji-Yeong;Choe, E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86-86
    • /
    • 2009
  • 목적 : 국내외 건강도시 네트워크 관련 조직의 운영 현황을 분석함으로서 대한민국 건강도시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국내 건강도시 네트워크의 활성화 방안과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방법 : 국내외 관련 자료의 수집을 위하여 38개 건강도시 담당자를 대상으로 2009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1개월간 설문조사 및 담당자 면접조사를 실시함. 조사 결과는 SWOT 분석에 의하여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결과 : 국내 건강도시 응답률은 82.4%였음. 국내 건강도시는 사업 담당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및 정보 교류를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었고, 건강도시사업계획서를 76.3%가 작성하였음. 건강도시의 규모는 중소도시(시) 31%, 농어촌(군) 22%, 대도시(구) 47%로 조사됨. 건강도시사업 담당부서는 71%가 보건소이었으며, 건강도시업무 전담인력 보유 도시는 19%였음. 건강증진기금을 재원으로 활용하는 도시는 34%에 불과하였음. 국외 현황으로는 브라질에서는 건강도시 관련 석사과정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국가별로 추진 방법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음. 결론 : 우리나라는 2007년도부터 건강도시협의회가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고, 정부에서는 2008년도부터 교육훈련 비용 및 전담인력을 지원하고 있었음. 그러나 사업을 추진 중인 자체단체는 아직 예산의 부족과 전담인력의 부족, 그리고, 보건소를 중심으로 한 사업 추진으로 인하여 본 청사와의 갈등 등이 있었음. 향후 건강도시사업을 위한 지침서 개발, 정부의 예산 지원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음.

  • PDF

Luminous Characteristics of Urban Street Between Day and Night (도시가로의 주.야간 빛환경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Shim, In-Bo;Kim, Bong-Kyun;Kim, Jeong-Ta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05a
    • /
    • pp.194-201
    • /
    • 2005
  • 도시에서의 빛의 연출은 도시의 축을 부각시키고, 가로의 아이덴티티를 연출함으로서 도시의 인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야간의 경관은 인공조명을 이용한 빛의 연출로 주간과는 다른 빛환경 경관을 연출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 가로 중에서 상업가로와 주거가로를 대상으로 주 야간의 빛환경 특성을 분석하여, 가로의 용도에 따른 주야간의 빛환경 차이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 가로의 일정길이에 대하여 수평면조도, 스칼라 조도, 휘도 및 색온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결과를 용도별, 주 야별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측정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수평면조도의 측정 결과, 주간의 주거가로에 비하여 상업가로가 28.8[%] 높게 나타났으며 야간의 경우 87.2[%] 높게 나타났다. (2) 스칼라조도의 측정결과, 스칼라조도의 특성상 전반적으로 균일한 분포를 보이며, 수평면 조도와 마찬가지로 주간에 비하여 야간에 84[%] 높은 값이 측정되었다. (3) 휘도의 측정 결과, 주간 배경에 대한 대상의 휘도비는 상업과 주거가로가 1:2이하로 나타나 조화로운 가로경관을 연출하며, 야간배경에 대한 대상의 휘도비는 상업가로는 1:17로 활기 있는 경관을 연출하고 주거가로는 1:5로 가로경관 이미지에 적당한 강조효과가 나타났다. (4) 색온도의 측정 결과, 주간의 배경은 맑은 하늘의 색온도를 나타냈으며 대상은 상쾌하고 활동적인 이미지의 색온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야간의 경우 상업가로와 주거가로 모두 나트륨 등의 영향을 받아 전반적으로 따뜻한 느낌의 색온도가 연출되었다.

  • PDF

지역건축탐방(12) - 진주ㆍ마산ㆍ창원

  • Go, Seong-Ryong
    • Korean Architects
    • /
    • no.6 s.362
    • /
    • pp.77-109
    • /
    • 1999
  • 경남지역 역사이래 구한말까지 지역중심도시였으나 근대화의 길에서 빗겨나간 1천년 역사도시 진주, 개화기부터 제3공화국까지 경남의 산업도시로서 지역발전에 중심역할을 다하고 있는 산업도시 마산, 그리고 정치적 결단으로 재빠르게 건설된 계획도시이며 경남도청소재지인 행정도시 창원. 각 도시가 살아온 배경이 너무나 다른 세 도시를 하나의 권역으로 묶어 논하기는 정말 어렵지만 경남 남부지역의 거점도시들로서 각 도시들이 띠고 있는 지역적 특성과 건축의 모습, 그리고 각 도시에서 지역적 특성들을 만들어내고 있는 지역건축가들을 개관한다. 아울러 경남 남부지역건축의 지역성은 가능한가에 대해 토론하며 지역의 정체성을 찾아보아 진주 ㆍ마산ㆍ창원으로 대표되는 경남남부 지역의 도시건축의 미래와 발전방향을 가름한다.

  • PDF

MULTI-STAGE AND MULTI-OBJECTIVE ALLICATION PROCEDURES OF URBAN PARKS USING LOCATION DECISION SUPPORT SYSTEMS (공간의사결정보조체계를 이용한 다단계 및 다목적 도시 공원 배분에 관한 연구)

  • 이외희;더글라스존스톤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24 no.1
    • /
    • pp.79-96
    • /
    • 1996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의사결정보조체계를 도시 시설중의 하나인 공원배분계획에 이용하여 현재 이용되고 있는 공원 배분 계획의 결점을 보완하는데 있다. 두 가지 요소 즉 이용자 행태 및 효율성과 형평성을 고려한 정책이 공원 배분계획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효율성과 형평성을 중심으로 공원배분계획을 살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공간의사결정보조체계가 이용되었는데, 이는 많은 양의 데이터나 계산을 물론 가중치, 계획 기준 등 변수를 변화시켜 봄으로서 여러 가지 대안을 쉽게 평가할 수 있어 공원배분계획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도시 공원을 위한 GIS 응용 공간의사결정보조체계의 유용성은 원형 연구를 통해 살펴 보았다. 원형은 여러 가지 유형중 도시 근린공원을 이용하여 도시 지역을 모사한 것이다. 원형연구에서 UPLDSS의 모델들이 다단계 및 다목적 계획을 잘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UPLDSS는 계획가가 계획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시나리오를 만들어 그에 따른 대안을 구축하고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것을 특히 계획가가 여러 가지 대안 중 어느 대안이 우수한지 쉽게 평가하기 어려울 때 계획가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다른 위계의 공원 계획에도 이용될 수 있음은물론 다른 도시 시설물의 배치에도 이용될 수 있다.

  • PDF

지역건축탐방(15) - 신도시(하)

  • Dong, Jeong-Geun
    • Korean Architects
    • /
    • no.2 s.370
    • /
    • pp.43-43
    • /
    • 2000
  • 신도시는 수도권 주택문제 해결을 위하여 1980년대부터 건설되어 왔다. 행정기관의 분산정책과 함께 개발된 과천 신도시와, 주택 200만호 건설을 위하여 급조된 분당, 일산 등 신도시들이 건설되면서 건설업계는 한동안 호황과 함께 자재, 인력 부족이라는 몸살을 앓기도 하였다. 고층 고밀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구성된 신도시는 주택 보급률 향상에는 도움을 주었지만 주거의 질에 대한 문제의 심각성을 부각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가장 빠른 기간에 거대한 신도시 건설은 세계 도시사에 신기록으로 남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건설배경이나 건설과정의 어려움을 잊고 이제는 위성도시로 자리잡아 가면서 나름대로의 지역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대부분 수도권에 위치한 신도시의 주민은 수도권 주변에서 떠돌다 모여들었고, 서울을 생활기반으로 삼고 있다. 낯선 곳에 낯선 사람들이 모여 새로운 도시설계 기법으로 설계된 낯선 도시에서 만나 살아가는 그들은 그들 나름대로의 새로운 도시 문화를 구축하고 있다. 그들은 급변하는 우리 현실에서 신도시에 대한 적용을 어떻게 하고 있는가? 신도시, 그곳에도 지역성은 있는가? 각 지역별로 새롭게 형성된 신 문화지형은 어떠한 모습으로 형성되고 있는가? 그리고 그곳에서 새롭게 자라나고 있는 도시건축문화는 무엇인가?라는 의문은 건설후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 건설이 완성될 때까지, 또 계속 팽창되어 가는 신도시에 던져질 화두이다. 지역건축탐방은 인천을 시작으로 전국을 돌아 이제 신도시와 북한 편으로 마감을 하게되었다. 이 연제를 계기로 지역건축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고조되었고, 또 지역건축에 관심이 있었던 건축사(가)나 학자들의 모임이 활성화 되기도 하였다. 지역성에 대한 문제는 지역주민의 꾸준한 관심에서 출발되고 그 지역을 만들어나가는 건축사(가)들의 의식속에서 자라나게 된다. 또한 지역건축의 활성화는 지역문화형성의 밑거름이 되고 나아가 우리문화의 원천이 될 것이다. 지역성에 대한 문제는 앞으로 더욱 논의가 되어야할 영원한 과제이다. 신도시 편은 1999년 12월호 상편에 이어 이번호에 하편을 게재한다.

  • PDF

지역건축탐방(15) - 신도시(상)

  • Dong, Jeong-Geun
    • Korean Architects
    • /
    • no.12 s.368
    • /
    • pp.61-78
    • /
    • 1999
  • 신도시는 수도권 주택문제 해결을 위하여 1980년대부터 건설되어 왔다. 행정기관의 분산정책과 함께 개발된 과천 신도시와, 주택 200만호 건설을 위하여 급조된 분당, 일산 등 신도시들이 건설되면서 건설업계는 한동안 호황과 함께 자재, 인력 부족이라는 몸살을 앓기도 하였다. 고층 고밀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구성된 신도시는 주택 보급률 향상에는 도움을 주었지만 주거의 질에 대한 문제의 심각성을 부각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가장 빠른 기간에 거대한 신도시 건설은 세계 도시사에 신기록으로 남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건설배경이나 건설과정의 어려움을 잊고 이제는 위성도시로 자리잡아 가면서 나름대로의 지역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대부분 수도권에 위치한 신도시의 주민은 수도권 주변에서 떠돌다 모여들었고, 서울을 생활기반으로 삼고 있다. 낯선 곳에 낯선 사람들이 모여 새로운 도시설계 기법으로 설계된 낯선 도시에서 만나 살아가는 그들은 그들 나름대로의 새로운 도시 문화를 구축하고 있다. 그들은 급변하는 우리 현실에서 신도시에 대한 적용을 어떻게 하고 있는가? 신도시, 그곳에도 지역성은 있는가? 각 지역별로 새롭게 형성된 신 문화지형은 어떠한 모습으로 형성되고 있는가? 그리고 그곳에서 새롭게 자라나고 있는 도시건축문화는 무엇인가? 라는 의문은 건설 후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 건설이 완성될 때까지, 또 계속 팽창되어 가는 신도시에 던져질 화두이다. 지역건축탐방은 인천을 시작으로 전국을 돌아 이제 신도시와 북한 편으로 마감을 하게 되었다. 이 연제를 계기로 지역건축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고조되었고, 또 지역건축에 관심이 있었던 건축사(가)나 학자들의 모임이 활성화 되기도 하였다. 지역성에 대한 문제는 지역주민의 꾸준한 관심에서 출발되고 그 지역을 만들어나가는 건축사(가)들의 의식속에서 자라나게 된다. 또한 지역건축의 활성화는 지역문화형성의 밑거름이 되고 나아가 우리문화의 원천이 될 것이다. 지역성에 대한 문제는 앞으로 더욱 논의가 되어야할 영원한 과제이다. 신도시 편은 이번호에 상편을 싣고, 하편은 2000년 2월호에 게제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