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of New Design Wave by Spread Parameter and Expected Sliding Distance of Caisson Breakwater

확산모수와 제이슨방파제 기대활동량을 이용한 개정 설계파 분석

  • 김동현 (군산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과) ;
  • 윤길림 (한국해양연구원, 연안개발연구본부) ;
  • 심재설 (한국해양연구원, 연안개발연구본부)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Extreme value distributions for new deep sea wave were analyzed by using spread parameter and correlations between spread parameter and sliding distance of caisson breakwater were shown in numerical example. When spread parameter is larger than as usual, there occurred extra-ordinarily large wave height among 50 annual maximum significant waves generated by extreme value distribution. Spread parameter of new design wave is identified to be comparably larger than some foreign coastal areas and may cause large sliding displacement though deterministic safety factor for sliding is satisfied with enough margin.

개정설계파의 극치분포를 확산모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케이슨방파제 기대활동량 산정을 통하여 확산모수가 방파제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확산모수가 통상적 값보다 클 때 극치분포함수를 이용해 발생시킨 년최대 유의파 중에서 50년 빈도 설계파보다 매우 큰 이례적인 파가 발생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개정설계파의 확산모수는 외국사례와 비교한 결과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며 방파제 기대활동량 평가시 결정론적 안전율이 충분히 높은 경우에도 매우 큰 활동량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현. (2005). 소파케이슨 방파제의 기대활동량 산정.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7(4), pp. 213-220
  2. 김승우, 서경덕, 오영민. (2005). 동해항 방파제를 대상으로한 신뢰성 설계법의 비교연구(1. 피복블록의 안정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7(3), pp. 188-201
  3. 한국해양연구원. (2005). 전해역 심해설계파 추정 보고서 II
  4. Ang, A.H.S. and Tang. W.H. (1984). Probability concepts in engineering planning and design, Vol. II: decision, risk, and reliability. John Wiley & Sons
  5. Goda, Y. (2004). Spread parameter of extreme wave height distribution for performanc-based design of maritime structures. J. Wtrwy., Port, Coast. and Oc. Engrg., 130(1), 29-38 https://doi.org/10.1061/(ASCE)0733-950X(2004)130:1(29)
  6. 대우건설. (2004). 울산신항 남방파제 및 기타공사 기본실시설계용역 보고서
  7. 삼성물산. (1999). 울산신항방파제 1단계(1공구)축조공사실시설계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