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mination of Toxocara canis in soil of playground in a detached dwelling area of Daejeon city

대전광역시 관내 단독주택지역내 어린이공원에서 채취한 토양중 개회충란 오염실태

  • Chung, Nyun-Ki (Daejeo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
  • Lee, Seok-Ju (Daejeo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
  • Han, So-Young (Daejeo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
  • Park, Jong-Min (Daejeo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
  • Ha, Sook-Hee (Daejeo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
  • Jang, Seung-Ik (Daejeo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 정년기 (대전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 이석주 (대전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 한소영 (대전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 박종민 (대전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 하숙희 (대전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 장승익 (대전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Published : 2007.03.30

Abstract

In order to survey the prevalence of Toxocara cams in soil of playground in a detached dwelling area, 150 samples were taken from playground 50 unit. The survey was carried out during 3 months from July to September in 2006. The Egg of Toxocara canis were detected in 6 samples (4.0%) from 150 cases of playground. The prevalence of T canis by month was 6.0% in July, 4.0% in August, 2.0% in September, respectively. This study results suggested that the prevalence of T canis were decreased in 2006 compared to 18.5% (30 positive/162 samples) in 2000.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ohmynews.com/articleview/. 2005
  2. http://blog.naver.com/post/. 2005
  3. 민홍기. 1981. 인수공통기생충의 역학적 조사연구. 한국기생충학잡지 19(1): 60-75
  4. 오윤희, 송운재, 이필돈 등. 1998. 대전광역시 애완견의 장내 기생충 감염 실태 조사. 한국가축위생학회지 12(4):391-400
  5. 이재일, 이정길, 김오남. 1982. 광주지역 놀이터 흙에서의 기생충란 및 유충의 검출. 대한수의학회지 22(2):253-257
  6. 정년기, 오윤희, 김수곤 등. 2001. 대전광역시 관내 단독 주택지역 내 어린이공원에서 채취한 토양 중 기생충란 오염실태. 한국가축위생학회지 24(3):263-270
  7. 대전광역시. 2006. 도시공원현황. 환경국 공원녹지과, 행정간행물 발간등록번호 56-6300000-000128-11:17-33
  8. 이 재구. 1989. 수의기생충학 실험 실습. 대한교과서(주). 서울:1-5, 49-86
  9. 이재구. 1987. 최신수의기생충학. 대한교과서(주). 서울:105-264
  10. Dubin S, Segall S, Martindale J. 1975. Contamination of soil in two city parks with canine nematode oxa including Toxocara canis. A preliminary study. AJPH 65:1242-1245 https://doi.org/10.2105/AJPH.65.11.1242
  11. Foreyt WJ. 1989. Veterinary parasitology reference manual. Washington State University:14-35
  12. 최동로, 최궤문, 최용분 등. 1991. 한국의 식물기생선충총설.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삼미인쇄사:24-33. 108-119
  13. Ayoub SM. 1978. Plant nematology. an agricultural trainning aid. department of food and agriculture division of plant industry laboratory service. California:31-32
  14. Taylor AL, Sasser JN. 1978. Biology, identification and control of root-knot nematodes.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Graphics:1-85
  15. 강영배. 1991. 가축 주요 내부기생충 충란 원색 도감. 예명사. 서울:87-104
  16. 양홍지. 1994. 가축 기생충 도감. 샤론. 서울:16-149
  17. 정년기, 이정희, 오윤희, 등. 2000. 대전광역시 대단위 아파트 단지 내 어린이 놀이터 토양중 기생충란 오염실태. 한국가축위생학회지 23(1):29-37
  18. 조미영, 강승원, 임홍규, 등. 2000. 서울지역 어린이 놀이터 모래에서 개 선충류 충란 조사. 보건환경연구논문집 36:424-430
  19. 조미영, 강승원, 채희선 등. 2001. 서울지역 어린이 놀이터 모래에서 개 회충류 충란 조사. 보건환경연구논문집 37:432-436
  20. 가축위생연구부 시험검사실. 2003. 광주지역 놀이터의 토양 중 기생충란 오염실태 조사. 광주보건환경연구원보 6:228-2321
  21. 정년기. 2006. 대전광역시 대단위 아파트 단지 내 어린이 놀이터 토양 중 개회충란 오염실태.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30(1):69-76
  22. Dada BJO, Lindquist WD. 1979. Studies on flotation techniques for the recovery of helminth eggs from soil and the prevalence of toxocara spp. in some Kansas public places. JAVMA 174:1208-1210
  23. Surgan MH, Colgan KB, Kennett SI, et al. 1980. A survey of canine toxocariasis and toxocaral soil contamination in Essex county, New Jersey. AJPH 70:1207-1208 https://doi.org/10.2105/AJPH.70.11.1207
  24. Borg OA, Woodruff AW. 1973. Prevalence of infective ova of Toxocara species in public places. Brit Med J 4:470-472 https://doi.org/10.1136/bmj.4.5890.470
  25. Pegg EJ. 1975. Dog roundworms and public health. Vet Rec 97:78-80
  26. 서병설. 1989. 최신임상기생충학. 일조각, 2판. 서울:166-173
  27. Soulsby EJL. 1974. Parasitic zoonoses,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Academic Press. Inc, London:305-311
  28. 이재일, 김호남, 이정길. 1982. 전남지방 축견의 내부기생충 조사. 대한수의학회지 22(2):259-263
  29. 윤희정, 홍기옥, 이병천 등. 1995. 분변검사로 조사된 개의 장내 기생충 감염실태와 그 문제점 및 예방대책.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19(3):257-261
  30. 이미순, 이현범. 1996. 대구지방의 개에 기생하는 소장 내 선충류의 분류와 감염상황. 대한수의학회지 36(2):483-484
  31. 강승원, 장환, 정우석. 2000. 국내사육견의 장내 기생충 감염실태.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24:195-202
  32. http://www.molog.go.kr. 2006
  33. http://enguard.co.kr/product06.htm.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