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Nutrient Concentrations and Fertilization Intervals on Growth of Native Pteridophyte on Greenhouse

자생 앙치류의 양액농도와 관주주기가 생육에 미치는 영향

  • 서종택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
  • 유동림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
  • 이현숙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
  • 남춘우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
  • 김수정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nutritional concentrations and fertilization intervals on growth of native pteridophyte (Pteris multifida, Cyrtomium falcatum, Cheilanthes argentea).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treated with non-treat, 500X, 1,000X and 2,000X solution, and fertilization periods were treated in everyday, 5, 10 and 20day respectively, under the 30% shading net. Pteris multfida appeared to be very good for growth by fertilizing at intervals of 10 day with nutrient concentration of 2,000X drainage solution. The growth of Cyrtomium falcatum was the best in the treatment of $1,000{\sim}2,000X$ concentration for 10 days while that of Cheilanthes argentea was the highest in the treatment of 1,000X concentration for 5days.

양액농도 및 저면공급주기를 달리하여 양치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고자 봉의꼬리, 부싯깃고사리, 도깨비고비를 시험화종으로 하고 양액농도를 무처리, 500배, 1,000배, 2,000배액 등 4처리, 관주주기를 매일, 5일, 10일, 20일 등으로 4처리로 하여 시험한 결과 봉의꼬리는 무처리 매일관수에 비하여 2,000배액을 10일 간격으로 처리한 것이 생육이 좋았고 도깨비고비는 $1,000{\sim}2,000$배액을 10일 간격으로 처리하는 것이 좋으며 부싯깃고사리는 1,000배액에서 5일 간격으로 처리한 것이 생육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봉의꼬리는 2,000배액 10일, 도깨비고비는 $1,000{\sim}2,000$배액에 10일, 부싯깃고사리는 1,000배액에 5일 간격으로 관주하는 것이 생육이 가장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종명. 1995. 나팔백합의 분화재배시 관수방법, 양액농도 및 배 양토가 염류집적과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 회지36(5): 715-724
  2. 김유선, 이정식, 윤평섭. 2003. 옥상 환경에서 토심, 광, 양액 농도가 몇 가지 자생식물에 미치는 영향. 원예과학기술지별호 21(별호1) pp. 87
  3. 이정화, 문윤자, 박기배, 허무룡, 박중춘. 1999. 저면급액시 양액 농도가 6종 허브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40(3): 399-402
  4. 이정식, 노승문, 김유선, 박기영. 2003. 벽면녹화용 담쟁이덩굴의 육묘용 적정 관비양액농도. 원예과학기술지별호 21(별호1) pp. 88
  5. 하호수, 정현환, 오명민, 정지원, 김기선. 2002. 양액 및 질소 이온 농도가 향유(Elsholtzia ciliata)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원예과 학기술지별호 20(별호I) pp. 97
  6. 지은영, 오욱, 김선화, 김기선. 1998. 국화의 펄라이트 양액재배 시 양액농도 및 관주주기가 생유과 절화 품질에 미치는 영향. 원예과학기술지 16(2): 247-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