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practical skill instruction of the heat treatment and the tensile strength test to improve the key competencies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열처리와 인장시험 실기수업이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07.04.30
  • Accepted : 2007.06.12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at the practical skill instruction of the heat treatment and the tensile strength test us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i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skill instruction in improving the key competencies. For the study, various literature researches were reviewed intensively about problem solving process, problem -based learning, and learning principals. The process of the practical skill instruction us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was composed with planning, executing, testing and evaluating. Based up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practical skill instruction us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practical skill instruction of the heat treatment and the tensile strength test in improving the key competencies.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수업을 공업계 고등학교 열처리와 인장시험 실기수업에 적용하여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첫째, 공업계 고등학교의 실기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수업 모형을 구안 적용하였다. 둘째,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국내 외 관련 문헌을 분석 고찰하여 이를 근거로 공업계고등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직업기초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은 학생들이 실생활의 비 구조화된 문제를 중심으로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업형태로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 과정, 즉 계획, 실행, 평가의 과정을 거쳐 학생이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에서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은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이 중에서도 문제해결 및 발표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 (1997). 왜 구성주의인가?. 서울: 문음사
  2. 강인애. (2003). PBL의 이론과 실제. 문음사
  3. 권현진. (2005). 기술 관련 전문가의 인식에 기초한 기술적 창조성 모형 개발.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교육개혁위원회. (1995). 신교육 체제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 교육부
  5. 김익수. (2006).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이 학생들의 행동목표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익수, 문대영, 류창열(2006).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의 문제중심학습에 의한실기 수업 모형.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1(2), 1-40
  7. 김호동. (1999). 컴퓨터 프로그래머의 직무수행평가를 위한 BARS제작. 호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나승일, 서우석, 송병국, 이종범, 정철영. (1998). 직업기초능력의 영역분류 및 하위요소 추출. 직업교육연구, 17(2), 15-38
  9. 노태천. (1993). 공업고등학교 교육의 성격은 어떠해야 하는가. 한국직업교육학회지, 12(1), 70-73
  10. 노태천. (1998). 정보화시대에 대비한 공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성격과 목표의 구성 방향. 충남대학교 공업교육연구소 논문집, 12(1), 26-27
  11. 류창열. (1993). 새로운 기술혁신에 따른 직업-기술계 교사에게 필요한 자질. 대한공업교육학회지, 18(1), 86-93
  12. 류창열. (1999). 공업.기술교육원론. 교육과학사
  13. 류창열. (2003). 기술교육원론. 충남대학교출판부
  14. 류창열. (2005). 체계적 기술교과교수설계(STEID)모형 개발과 그 적용방안. 한국기술교육학회지, 5(1), 94-95
  15. 문대영. (2001). 초.중등학교 학생의 적응자.혁신자 역할분담 문제해결활동이 기술적 창의력 계발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문대영, 류창열. (1997). 급변하는 산업현장에 대비하여 공업계 고등학교는 어떤 능력을 갖춘 인력을 양성해야 하는가?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2(2), 25-38
  17. 박동열. (2005). 평가방법 및 진단. 직업기초능력지도 과정자료집, 서울대학교 농생대부설 중등교육연수원
  18. 박흥준. (2003). 기술교과 건설기술단원의 문제중심학습이 학업성취와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여광응, 정용석 공역. (1997). THINK ALOUD. 도서출판 특수교육
  20. 이무근 역 (1988). 직업교육의 전개. 교육신서 73. 배영사
  21. 이수경. (1999). 실업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방법 연구(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2. 이수경. (2000). 실업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방법 연구(I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3. 이재원 외. (1984). 공업기술 교수법. 성안당
  24. 임선빈. (1996). 문제해결 학습을 위한 수업설계의 기본방향. 교육문제연구, 8, 228-248, 서울: 고려대학교
  25. 임세영 역. (1993). 프로젝트 및 전이지향적 직업훈련. 한국산업인력관리 공단
  26. 정범모. (1968). 교육과 교육학. 배영사
  27. 정철영, 강경종, 나승일, 서우석, 송병국. (2000). 초.중등학교에서의 직업기초능력 강화방안. 직업교육연구, 19(2), 1-22
  28. 최유현. (1995). 기술교과 교육에 있어서 기술적 교양목표 성취를 위한 문제해결수업 전략의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최유현. (2005). 기술교과 교육학. 형설출판사
  30. 林 和夫. (1995). 하이테크 시대의 기능교육. 김영종, 김정식, 노태천 공역. (2004). 도서출판 인터비전
  31. 片桐重男. (이용율 외 역) (1992). 문제해결 과정과 발문분석. 경문사
  32. Anderson, L. D. (1989). Problem Solving in Technology Education. The Technology Teacher, 49(1), 3-7
  33. Baker, G. E., & Dugger, J. C. (1986). Helping students develop problem solving skills. The technology teacher, 45(4), 10-13
  34. Barrows, H. S. & Myers, A. C. (1993). Practice-Based Learning in secondary school. Available from the Problem-Based Learning Institute, Springfield, IL
  35. Bransford, J. D. & Stein, B. S. (1984). The IDEAL problem solver. SanFrancisco, CA: Freeman
  36. Brightman, H. J. (1981). Problem solving: A logical and creative approach. Atlanta: Business Publication Division,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37. Burke, J. B., Hansen, J. H., Houston, W. R., & Johnson, C. (1975). Criteria for describing and assessing competency programmes. New York: Syrause University, National Consortium of Competency Based Education Centres
  38. Halfin, H. H. (1973). Technology: A process approach. (Doctoral dissertation, West Virginia University, 1973)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11(1), 1111A
  39. Hutchinson. J., & Karsnitz, L. (1994). Design and problem solving in technology. Albany, NY: Delmar Publisher
  40. Leighbody, G. G. & Kidd, D. M. (1968). Methods of Teaching Shop and Technical Subjects. Delmar Publishers Inc, 21-27
  41. Rogers, C. (1983). Freedom to Learn. 연문희 역(1990). 학습의 자유-인간 중심 교육. 도서출판 문음사
  42. School Curriculum and Assessment Authority (1994). Design and Technology in the National Curriculum-Draft Proposals, May 1994, SCAA/HMSO, London
  43. 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 (1992). Learning a living: A blueprint for high performance. A SCANS report for America 2000.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Labor
  44. Schilling, E. G. (1987). Problem Orientated Learning in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대한공업교육학회지, 12(2), 64-70
  45. Stasz, C., Ramsey, K., Eden, R., DaVanzo, J., Farris, H., & H., & Lewis, M. (1992). Classrooms that work : Teaching generic skills in academic and vocational settings, MR-169-NCRVE/UCB. Santa Monica, CA: RAND